반지방패근
반지방해근 | |
---|---|
![]() | |
![]() 앞가쪽에서 본 후두의 인대 | |
정보 | |
이는곳 | 반지연골의 앞쪽, 가쪽 |
닿는곳 | 방패연골의 판과 아래뿔 |
신경 | 위후두신경의 바깥가지 |
작용 | 성대주름를 늘이고 긴장시킴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cricothyroideus |
영어 | cricothyroid muscle |
TA98 | A06.2.08.001 |
TA2 | 2193 |
FMA | 46417 |
반지방패근(半指防牌筋, cricothyroid muscle) 또는 윤상갑상근(輪狀甲狀筋)은 후두를 긴장시키는 유일한 근육으로 발성을 돕는다. 위후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반지방패근이 작용하면 갑상샘을 앞쪽으로 기울여 성대의 긴장을 보조한다.
구조
[편집]반지방패근은 반지연골의 앞가쪽 측면에서 시작하여 방패연골의 아래뿔과 아래쪽 방패연골판에 닿는다.[1]
신경 분포
[편집]미주신경의 가지인 위후두신경이 분포하는 유일한 후두의 근육이다.[2][3] 다른 후두의 자체기원근육들에는 되돌이후두신경이 분포한다.
기능
[편집]반지방패근은 성대를 늘이고 긴장시키는데,[2][4] 반지연골활을 올리고 반지연골판의 위쪽 경계를 뒤쪽으로 기울인다.[2][4] 성대돌기와 갑상샘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며 성대주름이 뒤따라 길어져 더 높은 소리가 나오게 된다.[2] 반지방패근은 뒤반지모뿔근의 대항근이라고 할 수 있다[5]
임상적 중요성
[편집]연축성 발성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반지방패근에 보툴리눔 독소를 주입할 수 있다.[5] 이때 보통 근전도를 함께 수행한다.[5]
추가 이미지
[편집]- 갑상샘의 정맥
- 후두를 측면에서 본 모습. 근육들이 붙는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ricothyroid”. 《www.meddean.luc.edu》. 2022년 6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Duarte, Robert A.; Argoff, Charles E. (2009년 1월 1일), Argoff, Charles E.; McCleane, Gary, 편집., “Chapter 19 - Glossopharyngeal and other Facial Neuralgias”, 《Pain Management Secrets (Third Edition)》 (영어) (Philadelphia: Mosby), 116–118쪽, ISBN 978-0-323-04019-8, 2021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Kaplan, Edwin L.; Angelos, Peter; James, Benjamin C.; Nagar, Sapna; Grogan, Raymon H. (2016년 1월 1일), Jameson, J. Larry; De Groot, Leslie J; de Kretser, David M.; Giudice, Linda C., 편집., “Chapter 96 - Surgery of the Thyroid”, 《Endocrinology: Adult and Pediatric (Seventh Edition)》 (영어) (Philadelphia: W.B. Saunders), 1666–1692.e4쪽, doi:10.1016/b978-0-323-18907-1.00096-2, ISBN 978-0-323-18907-1, 2021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Berke, Gerald S.; Long, Jennifer L. (2010년 1월 1일), Brudzynski, Stefan M., 편집., “Chapter 10.1 - Functions of the larynx and production of sounds”, 《Handbook of Behavioral Neuroscience》, Handbook of Mammalian Vocalization (영어) (Elsevier) 19, 419–426쪽, 2021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Bentivoglio, Anna Rita; Fasano, Alfonso; Albanese, Alberto (2009년 1월 1일), Jankovic, Joseph; Albanese, Alberto; Atassi, M. Zouhair; Dolly, J. Oliver, 편집., “10 - Botulinum Neurotoxin in Tremors, Tics, Hemifacial Spasm, Spasmodic Dysphonia, and Stuttering”, 《Botulinum Toxin》 (영어) (Philadelphia: W.B. Saunders), 112–130쪽, doi:10.1016/b978-1-4160-4928-9.00010-x, ISBN 978-1-4160-4928-9, 2021년 1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