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군정기 교육과정
미 군정기의 교육과정은 미군정 학무국에서 교육과정을 만들어서 발표하였으며, 미군정 교육과정을 총 2시기로 구분이 되며 1945년 9월 24일부터 1946년 9월까지의 시기와 1946년 9월부터 제1차 교육과정을 적용한 시기로 구분이 된다.
제1시기(1945년 9월 24일~1946년 9월)
[편집]매일신보의 「군정청 학무군, 신교육방침 각도에 지시」(매일신보, 1945년 9월 18일자)에 의하면 초등학교는 9월 24일에 개교되며 초등학교에서 수학할 수 있는 연령대는 만6세이상부터 만12세까지이다. 각 학교의 교과목의 경우에는 조선의 이익에 반하는 교과 내용이 담겨있는 경우는 금하였다.[1]
매일신보의 「중등교과 과정 결정」(매일신보, 1945년 9월 30일)에 의한 중등교과과정은 아래와 같다.[2]
학년 | 공민 | 국어 | 역사지리 | 수학 | 물리화학생물 | 가사 | 재봉 | 영어 | 체육 | 음악 | 습자 | 도서 | 수예 | 실업 | 계 | |
---|---|---|---|---|---|---|---|---|---|---|---|---|---|---|---|---|
제1학년 | 중학 | 2 | 7 | 3 | 4 | 4 | 0 | 0 | 5 | 3 | 1 | 2 | 1 | 0 | 1 | 32 |
고여 | 2 | 7 | 3 | 3 | 3 | 2 | 2 | 4 | 2 | 2 | 2 | 1 | 1 | 0 | 34 | |
제2학년 | 중학 | 2 | 7 | 3 | 4 | 4 | 0 | 0 | 5 | 3 | 1 | 1 | 1 | 0 | 1 | 32 |
고여 | 2 | 7 | 3 | 3 | 3 | 2 | 3 | 4 | 2 | 2 | 0 | 0 | 1 | 0 | 34 | |
제3학년 | 중학 | 2 | 6 | 4 | 4 | 5 | 0 | 0 | 5 | 3 | 2 | 0 | 1 | 0 | 2 | 34 |
고여 | 2 | 6 | 3 | 2 | 4 | 4 | 3 | 4 | 2 | 2 | 0 | 1 | 1 | 1 | 35 | |
제4학년 | 중학 | 2 | 5 | 4 | 4 | 5 | 0 | 0 | 5 | 3 | 2 | 0 | 0 | 0 | 3 | 34 |
고여 | 2 | 5 | 3 | 3 | 4 | 4 | 4 | 4 | 2 | 2 | 0 | 1 | 1 | 1 | 35 |
다만, 실업학교의 경우에는 위의 표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을 수정하여 실업과목을 늘릴 수 있다.
매일신보의 「중등학교 교과과정 결정」의 원문에 있는 중학(中學)과 고여(高女) 및 계(計)에 대한 해석은「우리나라 상업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중학은 남자 중학교를 의미하고 여고는 여자 중학교를 의미하는 말이며, 계는 기준이라고 하였다.[3]
※공민(公民): 중등교육을 이수 중인 있는 사람에게 사회에 필요한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가르치는 과목.[4]
제2시기(1946년 9월~제1차 교육과정)
[편집]국민학교
[편집]국민학교는 초등교육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으로, 현재의 초등학교와 같은 개념이다. 그리고 취학연령은 만6세부터이고 총 6개의 학년이 있다.
학년 | 국어(읽기) | 국어(말하기·듣기) | 국어(짓기) | 국어(쓰기) | 산수(수학) | 사회생활 | 이과(과학) |
---|---|---|---|---|---|---|---|
제1학년 | 240 | 40 | 40 | 40 | 142 | 152 | 0 |
제2학년 | 240 | 40 | 40 | 40 | 152 | 153 | 0 |
제3학년 | 240 | 40 | 40 | 40 | 200 | 210 | 0 |
제4학년 | 240 | 40 | 40 | 40 | 243 | 190 | 139 |
제5학년 | 200 | 40 | 40 | 40 | 151 | 190 | 149 |
제6학년 | 180 | 36 | 36 | 36 | 199 | 192 | 144 |
초급중학교
[편집]초급중학교는 중등교육을 담당하는 교육기관으로 국민학교를 졸업한 자를 대상으로 기본적인 중등교육을 가르치며, 지금의 중학교와 같은 개념이며, 학년은 총 3개이다.
학년 | 국어(읽기) | 국어(짓기와 문법) | 수학 | 일반과학 | 영어 |
---|---|---|---|---|---|
제1학년 | 148 | 37 | 175 | 600교시/3년 | 150 |
제2학년 | 148 | 37 | 175 | 150 | |
제3학년 | 111 | 74 | 175 | 150 |
고급중학교
[편집]고급중학교는 중등교육을 담당하는 교육기관으로, 초급중학교를 졸업한 자에 한해서 더 높은 중등교육을 이수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학년은 총 3개이다. 지금의 고등학교와 같은 개념이다.
학년 | 국어(읽기) | 국어(짓기와 문법) | 국어(국문학사) | 수학 | 물리(필수) | 화학(필수) | 생물(필수) | 물리(선택) | 화학(선택) | 생물(선택) | 영어 |
---|---|---|---|---|---|---|---|---|---|---|---|
제1학년 | 74 | 37 | 0 | 175 | 120/2년 | 120/2년 | 160/2년 | 0 | 0 | 0 | 90 150 240 |
제1학년 | 74 | 37 | 0 | 0 | 0 | 0 | 0 | 90 150 240 | |||
제1학년 | 74 | 0 | 37 | 175 | 0 | 0 | 0 | 120 | 80 | 200 | 90 150 240 |
영어 교과의 경우에는 각 학교의 사정에 따라서 연간 90시간(매주 3시간), 연간 150시간(매주 5시간), 연간 240시간(매주 8시간)을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다.
상업중학교
[편집]상업중학교 실업과목 교육과정은 아래와 표와 같다.
학년 | 상업 경제 | 부기 회계 | 주산 | 상업 수학 | 무역론 | 경영 경제학 | 상품학 | 통계학 | 법규 |
---|---|---|---|---|---|---|---|---|---|
제1학년 | 74 | 74 | 74 | 0 | 0 | 0 | 0 | 0 | 0 |
제2학년 | 74 | 74 | 74 | 0 | 0 | 0 | 0 | 0 | 0 |
제3학년 | 74 | 74 | 74 | 0 | 0 | 0 | 0 | 0 | 0 |
제4학년 | 111 | 111 | 37 | 111 | 0 | 0 | 0 | 0 | 74 |
제5학년 | 111 | 111 | 37 | 111 | 0 | 0 | 0 | 0 | 74 |
제6학년 | 111 | 111 | 37 | 0 | 74 | 74 | 74 | 74 | 0 |
참고 문헌
[편집]- ↑ 군정청 학무국, 신교육방침 각도에 지시, 매일신보, 19450918, 왼쪽에 1차 이전으로 들어가서 초·등중학교(1945.09)에 들어가면 있습니다.
- ↑ 중등학교 교과과정 결정, 매일신보, 19450930, 왼쪽에 1차 이전으로 들어가서 초·등중학교(1945.09)에 들어가면 있습니다.
- ↑ 「우리나라 상업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권대성, 경기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쪽, 1993
- ↑ 공민(公民), 네이버 한자사전
- ↑ 『초중등학교각과 교수요목』, 군정청 학무국, 2~5쪽, 16쪽, 21~27쪽, 37~56쪽, 1946.
- ↑ 『초중등학교각과 교수요목』, 군정청 학무국, 6쪽, 17쪽, 18쪽, 28~29쪽, 1946.
- ↑ 『초중등학교각과 교수요목』, 군정청 학무국, 9~14쪽, 17쪽, 18쪽, 30~31쪽, 1946.
- ↑ 『초중등학교각과 교수요목』, 군정청 학무국, 67쪽, 70쪽, 73쪽, 75~80쪽, 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