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케 히데시
| ||||
![]() 1955년 촬영 | ||||
기본 정보 | ||||
---|---|---|---|---|
국적 | 일본 | |||
생년월일 | 1934년 4월 5일 | (91세)|||
출신지 | 오카야마현 고지마군 고토우라정(현: 구라시키시) | |||
신장 | 176 cm | |||
체중 | 70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3루수 | |||
프로 입단 연도 | 1953년 | |||
첫 출장 | 1953년 | |||
마지막 경기 | 1967년 |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 ||||
미야케 히데시 | |
---|---|
일본어식 한자 표기 | 三宅 秀史 |
가나 표기 | みやけ ひでし |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 미야케 히데시 |
통용식 표기 | 미야케 히데시 |
로마자 | Hideshi Miyake |
미야케 히데시(일본어: 三宅 秀史, 1934년 4월 5일 ~ )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오카야마현 고지마군 고토우라정(현: 구라시키시) 출신이며 현역 시절 포지션은 내야수였다. 1966년부터 현역에서 은퇴할 때까지는 등록명으로 미야케 노부카즈(
경륜 선수인 미야케 신이 조카로 있다.
인물
[편집]오카야마 현립 난카이 고등학교(현: 오카야마 현립 구라시키와슈 고등학교) 시절에는 3학년인 1952년 하계 고시엔 대회에서는 오카야마 현 예선의 결승전에서 오카야마 히가시 고등학교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나 동 주고쿠 대회에서 돗토리현의 돗토리 현립 사카이 고등학교에 패배해 고시엔에 출장하지는 못했다.[1] 고교 시절에는 2루수였다.[1]
고교 동창이자 야구부의 에이스였던 다시로 데루카쓰를 보러온 오사카 타이거스의 스카우트 아오키 이치조의 눈에 띄어 타이거스에 입단하게 되었다.[1] 한편 다시로는 고쿠테쓰 스왈로스에 입단했다.
오사카 타이거스에서는 프로 3년차부터 주전 3루수로 활약하며 빠른 발과 강한 어깨를 지닌 유격수 요시다 요시오와 함께 ‘철벽 3-유간’을 구성하며 당시부터 수비의 명수로 이름을 날렸다. 1957년에는 리그 최다인 31개의 2루타를 날리며 활약했고 같은 해 베스트 나인을 획득했다. 1958년에는 타격에 눈을 떠 타율 2할 6푼 7리, 홈런 21개, 도루 35개를 기록했다. 이후에도 두 자릿수 홈런과 도루를 기록하며 맹활약하지만 3루수 베스트 나인은 나가시마 시게오가 독점했다.
1962년 9월 5일까지 882경기 연속 출장과 700경기 연속 전 이닝 출장(2004년에 가네모토 도모아키가 기록을 경신했으며 한신 구단 등록 선수로서의 기록도 가네모토가 2007년에 경신)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1] 그러나 다음날인 9월 6일에 경기를 앞두고 가와사키 구장에서 연습을 하던 중 고야마 마사아키의 캐치볼의 송구가 야마모토 데쓰야의 미트를 크게 빗겨나가 그 공이 미야케의 왼쪽 눈을 강타했다. 이 사고로 인해 미야케는 안구가 파열되는 중상을 입고 말았다. 따라서 1.5였던 시력이 0.1까지 하락했으며 이것이 선수 생활을 끊기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1] 이후 눈에 띄는 활약은 없었고 결국 1967년 현역에서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친정팀인 한신의 코치를 역임했다.
2004년 8월 1일에 가네모토가 연속 경기 전 이닝 출장의 신기록을 갱신 했을 때 가네모토에게 꽃다발을 증정했다.
《애제의 3루수 미야케 히데시》(히라오카 야스히로 저)에 따르면 히라오카가 야구 인생에서 후회되는 점이 있냐고 물어보자 미야케는 “그게…. 많이 있습니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1]
만담가인 쓰키테이 핫포가 한신의 팬이 된 계기는 미야케와의 만남이었다. 쓰키테이가 안과에 입원해 있던 미야케와 만나 사인을 요구하자 미야케는 그의 눈동자를 응시한 채 “야구를 좋아하십니까”라고 말하며 사인을 해주었다고 한다. 또한 오카다 아키노부는 어릴적 미야케와 캐치볼을 했던 경험이 있고 미야케를 동경해 후일 한신에 입단하자 같은 등번호인 16번을 달았다.[1] 이외에도 한신의 팬은 아니지만 탤런트 에이 로쿠스케가 미야케를 좋아하며 미야케와 같은 등번호인 16번의 선수들을 응원하고 있다고 한다.
플레이 스타일
[편집]3루 수비 실력은 일본 야구계에서도 최상급으로 수비의 명수로 알려져 있었다.[2] 그 플레이는 쉬운 타구를 선방해 보이는 나가시마 시게오에게 어려운 타구를 미야케는 다이빙 캐치 등을 하지 않고 모두 정면에서 잡아냈다고 한다.[2] 기본에 충실한 플레이로 오버스로로 던져 정확하게 송구했으며[2] 강한 어깨를 가지고 있었다.[2] 화려함은 부족했지만 어떤 어려운 타구의 처리라도 파인 플레이로 연결해 신의 조화라고 할 수 있는 수비는 팬은 물론이고 적장인 가와카미 데쓰하루 감독조차 “미야케와 나가시마의 수비는 어른과 어린이 정도로 다르다”라고 말할 정도였다. 같은 시기의 한신의 유격수 요시다 요시오와의 ‘철벽 3-유간’이나 2루수 가마다 미노루까지 가세한 ‘내야 철벽 수비’는 ‘일본 야구계 최고의 수비’라는 평가를 받으며 심지어는 “시합 전의 노크에서도 돈이 잡힌다”라고 할 정도였다(다만 1루수였던 후지모토 가쓰미나 도오이 고로의 수비는 세간의 평가처럼 능숙하다고 말할 수는 없었다). 또한 빠른 발도 가지고 있어 주전으로 정착한 이후부터 캐치볼 사고로 중상을 입었던 1964년까지 매년 두 자릿수 도루를 기록했다. 특히 전 이닝 출장을 기록하고 있던 시기에는 매년 25도루 전후로 기록하기도 했다. 다만 타격은 눈에 띄는 성적을 남기진 못했으나 베스트 나인을 획득한 1957년에는 리그 최다인 31개의 2루타를 날리기도 했다. 타격에 눈을 뜬 1958년 이후부터 1964년까지 매년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하기도 했다. 비율은 낮지만 펀치력이 있는 타격으로 고야마 마사아키는 “마음껏 휘두르는 좋은 스윙에서 나오는 날카로운 타구는 일품이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2]
상대팀에서 붙인 별명은 ‘고양이’였는데,[2] 이것은 미야케가 주루시에 소리도 내지 않고 전진과 수비에서도 태연하게 파인 플레이를 보여주는 점, 성격이 차분했다는 점에서 붙여졌다.[2]
상세 정보
[편집]출신 학교
[편집]- 오카야마 현립 난카이 고등학교(현: 오카야마 현립 구라시키와슈 고등학교)
선수 경력
[편집]- 오사카 타이거스·한신 타이거스(1953년 ~ 1967년)
지도자 경력
[편집]- 한신 타이거스 코치(1968년 ~ 1971년)
수상·타이틀 경력
[편집]- 베스트 나인 : 1회(1957년)
개인 기록
[편집]- 올스타전 출장 : 4회(1957년 ~ 1960년)
- 통산 1000경기 출장 : 1962년 4월 22일(역대 69번째)
등번호
[편집]- 38(1953년)
- 16(1954년 ~ 1967년)
- 52(1968년 ~ 1969년)
- 65(1970년)
- 76(1971년)
등록명
[편집]三宅 秀史 (1953년 ~ 1965년)三宅 伸和 (1966년 ~ 1967년)- 三宅 培司(1968년 ~ 1971년)
연도별 타격 성적
[편집]연 도 | 소 속 | 경 기 | 타 석 | 타 수 | 득 점 | 안 타 | 2 루 타 | 3 루 타 | 홈 런 | 루 타 | 타 점 | 도 루 | 도 루 자 | 희 생 번 | 희 생 플 | 볼 넷 | 고 4 | 사 구 | 삼 진 | 병 살 타 | 타 율 | 출 루 율 | 장 타 율 | O P S |
---|---|---|---|---|---|---|---|---|---|---|---|---|---|---|---|---|---|---|---|---|---|---|---|---|
1953년 | 오사카 한신 | 26 | 61 | 58 | 7 | 13 | 2 | 1 | 1 | 20 | 7 | 0 | 0 | 0 | -- | 3 | -- | 0 | 7 | 2 | .224 | .262 | .345 | .607 |
1954년 | 58 | 93 | 84 | 12 | 18 | 3 | 2 | 3 | 34 | 6 | 2 | 1 | 1 | 0 | 7 | -- | 1 | 18 | 3 | .214 | .283 | .405 | .687 | |
1955년 | 126 | 409 | 385 | 34 | 95 | 11 | 5 | 3 | 125 | 24 | 18 | 9 | 3 | 1 | 19 | 1 | 1 | 67 | 7 | .247 | .284 | .325 | .609 | |
1956년 | 128 | 373 | 345 | 31 | 76 | 11 | 6 | 5 | 114 | 16 | 18 | 4 | 5 | 1 | 19 | 0 | 3 | 58 | 5 | .220 | .267 | .330 | .597 | |
1957년 | 130 | 517 | 460 | 56 | 123 | 31 | 4 | 7 | 183 | 51 | 23 | 8 | 9 | 2 | 45 | 0 | 1 | 62 | 6 | .267 | .334 | .398 | .732 | |
1958년 | 130 | 565 | 510 | 81 | 137 | 22 | 6 | 21 | 234 | 48 | 35 | 16 | 8 | 1 | 44 | 0 | 2 | 107 | 5 | .269 | .329 | .459 | .788 | |
1959년 | 130 | 551 | 497 | 62 | 133 | 26 | 6 | 18 | 225 | 63 | 30 | 11 | 4 | 5 | 44 | 3 | 1 | 68 | 12 | .268 | .328 | .453 | .781 | |
1960년 | 130 | 546 | 480 | 61 | 130 | 29 | 7 | 12 | 209 | 51 | 29 | 13 | 4 | 2 | 57 | 7 | 2 | 69 | 10 | .271 | .351 | .435 | .786 | |
1961년 | 130 | 545 | 483 | 69 | 132 | 20 | 4 | 15 | 205 | 56 | 23 | 3 | 7 | 2 | 51 | 2 | 2 | 60 | 16 | .273 | .345 | .424 | .770 | |
1962년 | 114 | 474 | 427 | 54 | 99 | 22 | 2 | 11 | 158 | 35 | 14 | 8 | 4 | 2 | 39 | 0 | 2 | 64 | 11 | .232 | .299 | .370 | .669 | |
1963년 | 24 | 50 | 48 | 4 | 9 | 2 | 1 | 1 | 16 | 5 | 1 | 0 | 0 | 0 | 2 | 0 | 0 | 15 | 2 | .188 | .220 | .333 | .553 | |
1964년 | 35 | 72 | 65 | 11 | 12 | 2 | 0 | 3 | 23 | 12 | 1 | 1 | 1 | 1 | 5 | 0 | 0 | 8 | 5 | .185 | .243 | .354 | .597 | |
1965년 | 32 | 30 | 28 | 5 | 2 | 0 | 0 | 0 | 2 | 0 | 4 | 4 | 0 | 0 | 2 | 0 | 0 | 7 | 0 | .071 | .133 | .071 | .205 | |
1966년 | 25 | 25 | 24 | 1 | 4 | 1 | 0 | 0 | 5 | 2 | 1 | 0 | 0 | 0 | 0 | 0 | 1 | 4 | 1 | .167 | .200 | .208 | .408 | |
1967년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 | ---- | ---- | |
통산 : 15년 | 1219 | 4311 | 3894 | 488 | 983 | 182 | 44 | 100 | 1553 | 376 | 199 | 78 | 46 | 17 | 337 | 13 | 16 | 614 | 85 | .252 | .315 | .399 | .713 |
-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 오사카(오사카 타이거스)는 1961년에 한신(한신 타이거스)으로 구단명을 변경.
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 (일본어) 개인 연도별 성적: 미야케 노부카즈 - 일본 야구 기구 (NPB.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