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역

문양
역사 전경
역사 전경
승강장(당역 종착)
승강장(당역 종착)
Map
개괄
관할 기관 대구교통공사
소재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역길 71
좌표 북위 35° 51′ 51″ 동경 128° 26′ 13″ / 북위 35.86417° 동경 128.43694°  / 35.86417; 128.43694
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역 구조 1면 2선(섬식)
개업일 2005년 10월 18일
역 번호 216
거리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 기점 0.0㎞
216
217 다사
(2.9 km)

문양역(Munyang station, 汶陽驛)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양역길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전철역이다. 현재 2호선의 기점으로, 인근에 문양차량사업소가 있다. 이 역에만 지상 구간이다.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하며, 해당 전동열차는 다음날 새벽에 이곡역으로 회송하여 운행을 시작한다.

대한민국 도시철도 역들 중에서 유일하게 로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1]이며, 무지개 색깔의 피아노 건반이 도배된 것이 특징이다.

특징[편집]

대구 도시철도 최초이자, 2호선 29개 역들 중 유일한 중량 전철 전용 지상역이다.[2] 문양역 뒤쪽에는 문양차량사업소가 있고, 역과 선로 주위로는 마천산이 둘러싸고 있다.[3] 2008년 12월 13일, 승강장 선로 상단에 우천시를 대비하여 지붕을 새로 설치하였다.[4] 문양차량사업소에서는 경검수만 담당하고, 중검수는 2호선 청라언덕역과 1호선 명덕역 간의 연결 선로(영남대 방향 → 설화명곡 방향. 3호선과는 별개.)를 통해 월배차량사업소로 회송하여 실시한다.

2008년 10월 22일, 문양역 인근에 달성군 농산물 직판장을 설치하기로 하였고[5] 2009년 9월 24일 문양역 1층에 마련하였다.[6] 문양역 1층은 환승용 주차장과 농산물 직판장, 2층은 환승용 주차장[7]이고 3층에 역무실 및 승차권 발매기/교통카드 충전소, 4층에 승강장이 있다.

이 역은 원래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건설계획에는 없었던 역이나, 다사읍 문양·부곡리 일대 주민들의 교통편의, 문양차량사업소로 인한 소음 문제에 대한 보상책으로 다사역에서 선로를 연장하여 차량기지 옆에 신설했다.

역명의 유래[편집]

문수(汶水, 현재의 낙동강) 주변에 위치한 양지바른 마을이라고 하여 문양리(汶陽里)라는 지명이 붙었다.

역 구조[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상역이다. 로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시·종착역
| 하 상 |
다사
상행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당역 종착
하행 반월당 · 범어 · 영남대 방면
  • 승강장 번호는 없다.
  • 승강장에서 반대방면 열차로 갈아 탈 수 있다.

배선도[편집]

문양역과 문양차량사업소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