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반곡리 마애여래좌상
![]() | |
종목 |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구)제677호 (2019년 10월 21일 지정) |
---|---|
시대 | 고려 |
소유 | 경상북도 문경시 (국유) |
위치 | |
주소 |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반곡리 월방산 |
좌표 | 북위 36° 36′ 28″ 동경 128° 13′ 21″ / 북위 36.60778° 동경 128.22250° |
문경 반곡리 마애여래좌상(聞慶 盤谷里 磨崖如來坐像)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반곡리 뒷산의 암벽에 새겨진 고려 중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마애불이다. 문경 반곡리 마애불좌상(聞慶 盤谷里 磨崖佛坐像)으로도 불리며 2019년 10월 17일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1][2]
특징
[편집]완만한 경사의 바위면을 이용해 감실을 파고 제작된 높이 340cm, 폭 210cm의 마애여래좌상으로 연화대좌 위에 양손을 가슴 앞에서 모으고 앉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얼굴은 고부조(高浮彫) 기법으로 제작되었으며 머리와 상반신, 하반신의 비율이 같다.[3] 무릎 아래 부분이 불분명하게 처리되어 미완성된 마애불로 추정되며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근처에 절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관련 기록은 존재하지 않으며 반암사(盤岩寺)가 있었다는 이야기만 존재한다.[2]
각주
[편집]- ↑ 이승형 (2019년 10월 17일). “안동 애련암 아미타삼존도 등 8건 경북도 유형문화재 지정”. 《연합뉴스》. 2024년 1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문경 반곡리 마애불좌상”. 《두산백과》. 2024년 1월 28일에 확인함.
-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 문경 반곡리 마애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2024년 1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문경 반곡리 마애여래좌상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