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피로신
![]()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9-[(E)-4-[(2S,3R,4R,5S)-3,4-dihydroxy-5-[[(2S,3S)-3-[(2S,3S)-3-hydroxybutan-2-yl]oxiran-2-yl]methyl]oxan-2-yl]-3-methylbut-2-enoyl]oxynonanoic acid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12650-69-0 |
ATC 코드 | D06AX09 R01AX06 |
PubChem | 446596 |
드러그뱅크 | DB00410 |
ChemSpider | 393914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26H44O9 |
분자량 | ?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유의어 | muciprocin[1] |
물리적 성질 | |
녹는점 | 77–78 °C (171–172 °F)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 |
단백질 결합 | 97%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 |
생물학적 반감기 | 20 to 40 minutes |
배출 | ?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B1(오스트레일리아)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Topical |
무피로신(영어: mupirocin)은 농가진이나 모낭염과 같은 표재성 피부 감염에 유용한 국소 항생제이다. 무피로신은 박트로반(영어: Bactroban)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된다.[3][4][5] 무피로신은 또한 증상 없이 코에 존재할 때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을 제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4] 내성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10일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5] 무피로신은 피부에 바르는 크림이나 연고로 사용된다.[4]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Fleischer, Alan B. (2002). 《Emergency Dermatology: A Rapid Treatment Guide》 (영어). McGraw Hill Professional. 173쪽. ISBN 9780071379953. 2017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Drug Product Database Online Query”. 《health-products.canada.ca》 (영어). 2019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AlHoufie, Sari Talal S.; Foster, Howard A. (2016년 8월 1일). “Effects of sub-lethal concentrations of mupirocin on global transcription in Staphylococcus aureus 8325-4 and a model for the escape from inhibition”.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65 (8): 858–866. doi:10.1099/jmm.0.000270. PMID 27184545.
- ↑ 가 나 다 “Mupirocin”.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6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Stuart MC, Kouimtzi M, Hill SR, 편집. 《WHO Model Formulary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298쪽. hdl:10665/44053. ISBN 9789241547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