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량부
모량부(牟梁部)는 진한 6부의 하나로서, 점량부(漸梁部), 잠탁부(岑啄部)라고도 한다. 모량, 박곡 등 경주의 서촌이 속하였다. 지금의 경주시 건천읍, 현곡면, 서면, 산내면 등이 해당된다.
역사
[편집]촌장 구례마(俱禮馬, 혹은 仇禮馬)가 경주 이산(伊山)으로 내려와서 무산대수촌(茂山大樹村)을 형성하여 사로 6촌의 일원이 되었다. 신라 유리 이사금이 무산대수촌을 모량부라 고치고 손(孫)씨라 사성하였다. 고려 태조가 장복부(長福部)로 개칭하였다.
주요 지역
[편집]- 모량(牟梁)
지금의 경주시 건천읍 모량리에 있는 지역으로, 고려 시기에는 경주도에 속한 역이 위치했다.
- 박곡(朴谷)
지금의 경주시 서면 박곡리에 소재한 지역이다.
- 이산(伊山)
지금의 경주시 현곡면에 있는 구미산(龜尾山)으로, 개비산(皆比山)이라고 하기도 한다.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가 득도한 곳이다.[1]
- 서술(西述)
지금의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선도산(仙桃山)으로, 서산(西山), 서술산(西述山), 서형산(西兄山) 등의 명칭이 있다. 신라 경주 오악 중에서 서악(西嶽)에 해당된다. 이후 통일 신라 대에 이 일대에 상성군이 설치되었고, 소사(小祀)를 지낸 곳이다.[2][3]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주말산행|경상도의 산|구미산 594.4m|경북 경주시 건천읍·현곡면] 최제우가 나고 득도한 동학의 성지”. 2018년 3월 8일. 2021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021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021년 10월 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