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감주나무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장미군 |
목: | 무환자나무목 |
과: | 무환자나무과 |
아과: | 무환자나무아과 |
속: | 모감주나무속 |
종: | 모감주나무 |
학명 | |
Koelreuteria paniculata | |
Laxm. 1772 | |
학명이명 | |
Koelreuteria apiculata |
모감주나무(영어: goldenrain tree, China tree, pride of India 또는 varnish tree, Koelreuteria paniculata)는 중국과 한국이 원산지인 나무이다. 갈잎작은키나무로 17m까지 자란다. 관상수로 심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25~30cm인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3~10cm, 긴 타원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7~15개씩 달린다. 늦봄이나 초여름에 가지 끝에서 나무 가득 원추꽃차례에 자잘하며 노란색 꽃이 핀다. 10월에 여무는 열매는 삭과로 갈라지면서 3개의 둥글고 검은 씨가 나온다.
씨로 염주를 만들기 때문에 염주나무라고도 부른다.
사진
[편집]- 노란 꽃
- 삭과인 열매와 검은 씨
- 열매를 달고 겨울을 나는 모감주나무
같이 보기
[편집]대한민국에서는 아래의 모감주나무를 천연기념물로 보호한다.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모감주나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이 글은 무환자나무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