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엄땅다람쥐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쥐목 | |
과: | 다람쥐과 | |
아과: | 땅다람쥐아과 | |
족: | 마멋족 | |
속: | 전북구땅다람쥐속 | |
종: | 메리엄땅다람쥐 (U. canus) | |
학명 | ||
Urocitellus canus | ||
(Merriam, 1898) | ||
학명이명 | ||
Spermophilus canus Merriam, 1898 | ||
아종 | ||
| ||
보전상태 | ||
|
메리엄땅다람쥐(Urocitellus canus)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미국 아이다호주와 네바다주, 오리건주에서 발견된다.[1]
특징
[편집]메리엄땅다람쥐는 작은 회색 땅다람쥐로 겉모습이 비교적 뚜렷하지 않다. 꼬리를 제외한 성체의 몸길이는 18.8~21.8cm이고, 꼬리 길이는 3.1~5.0cm이다. 몸무게는 영양 상태에 따라 연중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성체 암컷 몸무게는 144~210g이고, 수컷은 146~300g이다.[3] 털은 짧고, 줄무늬나 반점과 같은 특이한 표지는 없다. 몸 대부분은 회색빛 담황색 털로 덮여 있으며, 배 쪽은 연한 담황색과 흰색을 띤다. 나머지 대부분의 땅다람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고 좁은 꼬리를 갖고 있다. 그러나 유전자 검사를 통해 타운센드땅다람쥐와 파이우트땅다람쥐로부터 확실히 구별할 수 있으며, 이 종들은 오랫동안 별도의 종으로 간주되지 않았다.[3]
분포 및 서식지
[편집]오리건주 거의 전역에서 발견되지만 북부와 서부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일부 개체군은 오리건주 남쪽 주 경계선 지역까지 서식하며, 캘리포니아주 북동쪽 구석 끝과 네바다주 북서부 끝까지 분포하지만 나머지 개체군은 스네이크 강 서안을 따라 아이다호주 서부까지 서식한다.[3] 메리엄땅다람쥐의 토착 서식지는 주로 그레이트베이슨산쑥(Artemisia tridentata)이 우점종이고, 갯능쟁이(Atriplex confertifolia)와 사르코바투스속(Sarcobatus) 식물이 자라는 건조한 덤불 지역이다.[4] 향나무 산림 가장자리에서도 발견되며, 사람이 만든 목초지와 들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3]
아종
[편집]2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
- Urocitellus canus canus - 오리건 주, 캘리포니아 주, 네바다 주
- Urocitellus canus vigilis - 스네이크 강 지역(오리건주 동부, 아이다호주 서부)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2009년 헬겐(Helge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5]
마멋족 |
| ||||||||||||||||||||||||||||||||||||||||||||||||||||||||||||||||||||||||||||||||||||||||||||||||||||||||||||||||||||||||||||||
생태 및 습성
[편집]메리엄땅다람쥐는 주행성, 잡식성 동물로 넓은 범위의 씨앗과 뿌리, 구근뿐만 아니라 매미와 같은 곤충 등도 먹는다.[6] 농작물이나 자주개자리 등을 먹으며, 해충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원숭이올빼미와 미국수리부엉이를 포함한 포식자가 알려져 있으며, 매와 뱀 그리고 다양한 식육류 포유류도 포식자로 추정된다.[3] 굴을 파고 살며, 입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드물게 활동하고 일반적으로 활동 영역은 1ha 이하이다. 연중 대부분 동안 겨울잠을 잔다. 현지 서식지가 일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3월 초에 굴에서 나와 8월 초에 다시 들어간다. 4월 말 또는 5월 초에 매년 최대 10마리까지 새끼를 낳는다.[6] 임신 기간과 이유 기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각각 3~4주로 추정된다. 조용하고 비밀스러운 동물로 날카롭고 찍찍거리는 울음 소리를 내며, 먹이를 찾아 낮은 덤불에 오르는 모습이 관찰되고 헤엄을 잘 친다.[3]
각주
[편집]- ↑ 가 나 “Spermophilus can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Thorington, R.W., Jr.; Hoffman, R.S. (2005). “Family Sciuridae” [다람쥐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754–81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가 나 다 라 마 바 Cole, F.R. & Wilson, D.E. (2009). “Urocitellus canus (Rodentia: Sciuridae)”. 《Mammalian Species》 834: 1–8. doi:10.1644/834.1.
- ↑ Feldhammer, G.A. (1979). “Vegetation and edaphic factors affecting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small mammals in southeast Oregon”. 《Great Basin Naturalist》 39 (3): 207–218.
- ↑ Helgen, Kristofer M.; Cole, F. Russell; Helgen, Lauren E.; Wilson, Don E. (April 2009). “Generic Revision in the Holarctic Ground Squirrel Genus Spermophilus” (PDF). 《Journal of Mammalogy》 90 (2): 270–305. doi:10.1644/07-MAMM-A-309.1. 2011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Bailey, V. (1936). “The mammals and life zones of Oregon”. 《North American Fauna》 55 (1): 155–158. doi:10.3996/nafa.55.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