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애미 마스터스 (Miami Masters ) 또는 마이애미 오픈 프레젠티드 바이 이타우 (Miami Open Presented by Itau )은 매년 3월 미국 플로리다주 키 비스케인 에서 개최되는 남녀 통합 테니스 대회이다.
이 대회는 남자 투어 에서는 ATP 월드 투어 마스터스 1000 분류에 속하며 여자 투어 에서는 WTA 프리미어 멘데터리 분류에 속한다. 대회 장소는 크랜던 파크 내 테니스 센터 내에 위치한 테니스 센터이다.
이 대회는 립튼 국제 선수권 대회 (Lipton International Players Championships )라는 이름으로 처음 시작되었다가, 2000년 타이틀 스폰서가 바뀜에 따라 에릭슨 오픈 (Ericsson Open )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2002년부터는 나스닥-100 오픈 (NASDAQ-100 Open )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2007년 소니 에릭슨 사와 4년간 2천만 달러 규모의 스폰서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소니 에릭슨 오픈 (Sony Ericsson Open )으로 다시 명칭이 바뀌어 2014년까지 사용되었다. 2015년 대회부터 브라질의 이타우 우니방크가 현재까지 대회를 후원하고 있다. 현재 대회 명칭은 Miami Open Presented By Itau이다. 대회가 열리는 지역의 이름을 따라 마이애미 마스터스 로 부르기도 한다.
대회 트로피. 성적 포인트 상금 우승 1000 1,340,860 $ 준우승 600 654,380 $ 4강 360 327 965 $ 8강 180 167,195 $ 16강 90 88,135 $ 32강 45 47,170 $ 64강 25 25,465 $ 1회전 10 15,610 $
대회 개최 이래 남자 단식 결승전이 취소된 경우가 3회 존재한다. 1989년 토마스 무스터 가 결승전 전날 밤 음주 운전자의 차에 치이는 사고를 당해 몇 개월간 휠체어에 의지해야만 하는 상태가 되면서 결승전이 취소되었다. 무스터는 8년 후 이 대회에서 우승했다. 1996년 고란 이바니셰비치 가 목 경직 증상을 이유로 결승전 경기가 열리기 전에 기권했다. 2004년 기예르모 코리아 가 결승전 4세트 첫 게임에서 등 부위 통증으로 인해 기권했다. 이후 그의 증상은 신장 결석 때문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연도 우승 준우승 스코어 대회명 1985 팀 마요트 스콧 데이비스 4–6, 4–6, 6–3, 6–2, 6–4 Lipton International Players Championships 1986 이반 렌들 매츠 빌랜더 3–6, 6–1, 7–6, 6–4 1987 밀로슬라프 메치르시 이반 렌들 7–5, 6–2, 7–5 1988 매츠 빌랜더 지미 코너스 6–4, 4–6, 6–4, 6–4 1989 이반 렌들 토마스 무스터 부전승 ↓ ATP 마스터스 1000 대회 ↓ 1990 앤드리 애거시 스테판 에드베리 6–1, 6–4, 0–6, 6–2 1991 짐 쿠리어 데이비드 휘튼 4–6, 6–3, 6–4 1992 마이클 창 알베르토 만시니 7–5, 7–5 1993 피트 샘프러스 맬리비어 워싱턴 6–3, 6–2 Lipton Championships 1994 피트 샘프러스 앤드리 애거시 5–7, 6–3, 6–3 1995 앤드리 애거시 피트 샘프러스 3–6, 6–2, 7–6(3) 1996 앤드리 애거시 고란 이바니셰비치 3–0, 기권 1997 토마스 무스터 세르지 브루게라 7–6(6), 6–3, 6–1 1998 마르셀로 리오스 앤드리 애거시 7–5, 6–3, 6–4 1999 리하르트 크라이첵 세바스티앵 그로장 4–6, 6–1, 6–2, 7–5 2000 피트 샘프러스 구스타부 쿠에르텡 6–1, 6–7(2), 7–6(5), 7–6(8) Ericsson Open 2001 앤드리 애거시 잔 마이클 갬빌 7–6(4), 6–1, 6–0 2002 앤드리 애거시 로저 페더러 6–3, 6–3, 3–6, 6–4 NASDAQ-100 Open 2003 앤드리 애거시 카를로스 모야 6–3, 6–3 2004 앤디 로딕 기예르모 코리아 6–7, 6–3, 6–1, 기권 2005 로저 페더러 라파엘 나달 2–6, 6–7(4), 7–6(5), 6–3, 6–1 2006 로저 페더러 이반 류비치치 7–6(5), 7–6(4), 7–6(6) 2007 노바크 조코비치 기예르모 카냐스 6–3, 6–2, 6–4 Sony Ericsson Open 2008 니콜라이 다비덴코 라파엘 나달 6–4, 6–2 2009 앤디 머레이 노바크 조코비치 6–2, 7–5 2010 앤디 로딕 토마시 베르디흐 7-5, 6-4 2011 노바크 조코비치 라파엘 나달 4-6, 6-3, 7-6(7-4) 2012 노바크 조코비치 앤디 머레이 6-1, 7-6(7-4) 2013 앤디 머레이 다비드 페레르 2-6, 6-4, 7-6(7-4) Sony Open 2014 노바크 조코비치 라파엘 나달 6-3, 6-3 2015 노바크 조코비치 앤디 머레이 7-6(7-3), 4-6, 6-0 Maimi Open Presented By Itau 2016 노바크 조코비치 니시코리 케이 6-3, 6-3 2017 로저 페더러 라파엘 나달 6-3, 6-4
연도 우승 준우승 스코어 1985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크리스 에버트 6–2, 6–4 1986 크리스 에버트 슈테피 그라프 6–4, 6–2 1987 슈테피 그라프 크리스 에버트 6–1, 6–2 ↓ WTA 티어 I 대회 ↓ 1988 슈테피 그라프 크리스 에버트 6–4, 6–4 1989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크리스 에버트 6–1, 4–6, 6–2 1990 모니카 셀레스 유디트 비스너 6–1, 6–2 1991 모니카 셀레스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6–3, 7–5 1992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6–1, 6–4 1993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슈테피 그라프 6–4, 3–6, 6–3 1994 슈테피 그라프 나타샤 즈베레바 4–6, 6–1, 6–2 1995 슈테피 그라프 다테 기미코 6–1, 6–4 1996 슈테피 그라프 찬다 루빈 6–1, 6–3 1997 마르티나 힝기스 모니카 셀레스 6–2, 6–1 1998 비너스 윌리엄스 안나 쿠르니코바 2–6, 6–4, 6–1 1999 비너스 윌리엄스 세리나 윌리엄스 6–1, 4–6, 6–4 2000 마르티나 힝기스 린지 대븐포트 6–3, 6–2 2001 비너스 윌리엄스 제니퍼 카프리아티 4–6, 6–1, 7–6(4) 2002 세리나 윌리엄스 제니퍼 카프리아티 7–5, 7–6(4) 2003 세리나 윌리엄스 제니퍼 카프리아티 4–6, 6–4, 6–1 2004 세리나 윌리엄스 옐레나 데멘티예바 6–1, 6–1 2005 킴 클레이스터르스 마리아 샤라포바 6–3, 7–5 2006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마리아 샤라포바 6–4, 6–3 2007 세리나 윌리엄스 쥐스틴 에냉 0–6, 7–5, 6–3 2008 세리나 윌리엄스 옐레나 얀코비치 6–1, 5–7, 6–3 ↓ WTA 프리미어 대회 ↓ 2009 빅토리야 아자렌카 세리나 윌리엄스 6–3, 6–1 2010 킴 클레이스터르스 비너스 윌리엄스 6–2, 6–1
연도 우승 준우승 스코어 2010 루카시 들로우히 리앤더 페이즈 마헤시 부파티 막스 미르니 6–2, 7–5 2009 막스 미르니 안디 람 애슐리 피셔 스티븐 허스 6–7(4), 6–2, [10–7] 2008 밥 브라이언 마이크 브라이언 마헤시 부파티 마크 놀즈 6–2, 6–2 2007 밥 브라이언 마이크 브라이언 마르틴 담 리앤더 페이즈 6–7(7), 6–3, [10–7] 2006 요나스 비에르크만 막스 미르니 밥 브라이언 마이크 브라이언 6–4, 6–4 2005 요나스 비에르크만 막스 미르니 웨인 블랙 케빈 울리엣 6–1, 6–2 2004 웨인 블랙 케빈 울리엣 요나스 비에르크만 토드 우드브리지 6–2, 7–6(12) 2003 로저 페더러 막스 미르니 리앤더 페이즈 David Rikl 7–5, 6–3 2002 마크 놀즈 다니엘 네스터 도널드 존슨 재리드 팔머 6–3, 3–6, 6–1 2001 Jiří Novák David Rikl 요나스 비에르크만 토드 우드브리지 7–5, 7–6(3) 2000 토드 우드브리지 마크 우드포드 마르틴 담 Dominik Hrbatý 6–3, 6–4 1999 웨인 블랙 샌던 스톨 보리스 베커 잔 마이클 갬빌 6–1, 6–1 1998 엘리스 퍼레이라 릭 리치 알렉스 오브라이언 조나단 스타크 6–2, 6–4 1997 토드 우드브리지 마크 우드포드 마크 놀즈 다니엘 네스터 7–6, 7–6 1996 토드 우드브리지 마크 우드포드 엘리스 퍼레이라 Patrick Galbraith 6–1, 6–3 1995 토드 우드브리지 마크 우드포드 짐 그랩 패트릭 매켄로 6–3, 7–6 1994 Jacco Eltingh 파울 하르하위스 마크 놀즈 재리드 팔머 7–6, 7–6 1993 리하르트 크라이첵 Jan Siemerink 패트릭 매켄로 조나단 스타크 6–7, 6–4, 7–6 1992 켄 플래치 토드 위츠켄 켄트 키니어 Sven Salumaa 6–4, 6–3 1991 웨인 퍼레이라 Piet Norval 켄 플래치 로버트 세구소 5–7, 7–6, 6–2 1990 릭 리치 짐 퍼 보리스 베커 카시오 모타 6–3, 6–4 1989 Jakob Hlasek Anders Järryd 짐 그랩 패트릭 매켄로 6–3, 기권 1988 John Fitzgerald Anders Järryd 켄 플래치 로버트 세구소 7–6, 6–1, 7–5 1987 폴 아나콘 Christo van Rensburg 켄 플래치 로버트 세구소 6–2, 6–4, 6–4 1986 브래드 길버트 Vince Van Patten 스테판 에드베리 Anders Järryd W/O 1985 폴 아나콘 Christo van Rensburg Sherwood Stewart Kim Warwick 7–5, 7–5, 6–4
연도 우승 준우승 스코어 1985 히히 페르난데스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캐시 조던 하나 만들리코바 7–6(4), 6–2 1986 팸 슈리버 헬레나 수코바 크리스 에버트 웬디 턴불 6–2, 6–3 1987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팸 슈리버 클라우디아 코데킬슈 헬레나 수코바 6–3, 7–6(6) 1988 슈테피 그라프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히히 페르난데스 지나 개리슨 7–6(6), 6–3 1989 야나 노보트나 헬레나 수코바 히히 페르난데스 로리 맥닐 7–6(5), 6–4 1990 야나 노보트나 헬레나 수코바 Betsy Nagelsen 로빈 화이트 6–4, 6–3 1991 메리 조 퍼낸데즈 지나 개리슨 잭슨 히히 페르난데스 야나 노보트나 7–5, 6–2 1992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Larisa Savchenko Neiland 질 헤서링턴 Kathy Rinaldi 7–5, 5–7, 6–3 1993 야나 노보트나 Larisa Savchenko Neiland 질 헤서링턴 Kathy Rinaldi 6–2, 7–5 1994 히히 페르난데스 나타샤 즈베레바 패티 펜딕 메러디스 맥그래스 6–3, 6–1 1995 야나 노보트나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히히 페르난데스 나타샤 즈베레바 7–5, 2–6, 6–3 1996 야나 노보트나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메러디스 맥그래스 Larisa Savchenko Neiland 6–4, 6–4 1997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나타샤 즈베레바 Sabine Appelmans Miriam Oremans 6–4, 6–2 1998 마르티나 힝기스 야나 노보트나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나타샤 즈베레바 6–2, 3–6, 6–3 1999 마르티나 힝기스 야나 노보트나 메리 조 퍼낸데즈 모니카 셀레스 0–6, 6–4, 7–6(1) 2000 쥘리 알라르드 퀴지 스기야마 아이 니콜 애런트 Manon Bollegraf 4–6, 7–5, 6–4 2001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나탈리 토지아 리사 레이먼드 러네이 스터브스 6–0, 6–4 2002 리사 레이먼드 러네이 스터브스 비르히니아 루아노 파스쿠알 파올라 수아레스 7–6(4), 6–7(4), 6–3 2003 리즐 후버 막달레나 말레바 아사고에 시노부 미야기 나나 6–4, 3–6, 7–5 2004 나디아 페트로바 메이건 쇼너시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옐레나 리홉체바 6–2, 6–3 2005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앨리샤 몰릭 리사 레이먼드 러네이 스터브스 7–5, 6–7(5), 6–2 2006 리사 레이먼드 서맨사 스토서 리즐 후버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6–4, 7–5 2007 리사 레이먼드 서맨사 스토서 카라 블랙 리즐 후버 6–4, 3–6, [10–2] 2008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스기야마 아이 카라 블랙 리즐 후버 7–5, 4–6, [10–3] 2009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아멜리 모레스모 크베타 페슈케 리사 레이먼드 4–6, 6–3, [10–3] 2010 히셀라 둘코 플라비아 펜네타 나디아 페트로바 서맨사 스토서 6–3, 4–6, [10–7]
혼합 복식은 1985년 제1회 대회 때 한 번 열렸으며, 하인츠 군트하르트 와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팀이 우승했다.
미국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대회
국가급
종합경기대회
개별경기대회
동계스포츠 미식축구 축구 태권도 육상 수영 자전거 체조 농구 배구 비치발리볼 레슬링 야구 탁구 양궁 펜싱 사격 유도 근대5종 필드하키
프로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