롭부리



롭부리(태국어: ลพบุรี, Lopburi)는 태국 방콕에서 북동쪽으로 150km 떨어진 롭부리 주의 주도이다. 2006년 현재 인구는 26,500명이다. 롭부리 시가지는 므앙롭부리군의 타힌 땀본 전역과 탈레춥손 땀본의 일부분에 걸쳐 있으며, 전체 면적은 6.85 km2이다.
개요
[편집]롭부리는 긴 역사를 가진 도시이며, 드바라바띠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1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당시에는 라보로 알려졌었다. 크메르 제국이 롭부리를 병탄했을 때, 그들은 이전의 모든 건물을 파괴했고, 그 때문에 현재 롭부리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유적은 크메르 사원이다. 이후 롭부리는 17세기 중반 아유타야 왕국의 나라이 대왕의 통치기에 타이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나라이 왕의 여름 궁전이 있는 두 번째 수도로서 역할을 하기까지 했다. 나라이 왕은 이곳에서 1년에 8개월을 머물렀다.
오늘날 이 도시는 시내 한가운데 사는 수백마리의 '게잡이 원숭이'로 유명하며, 특히 크메르 사원 《쁘랑 쌈 욧》과 크메르 사당인 《싸른 프라 깐》 주변은 더욱 유명하다. 이곳에 사는 사람들은 원숭이에게 먹이를 주며, 특히 11월 원숭이 축제 기간에는 풍족한 먹이를 준다. 이 원숭이들은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에, 눈에 보이는 것은 닥치는 대로 훔쳐가는 경우도 있다.
원래 힌두 사원이었던 쁘랑 쌈 욧은 세 개의 첨탑을 가지고 있으며, 브라마, 비슈누, 그리고 시바의 힌두교의 삼위일체를 상징한다. 이 사원은 이후 불교 사원으로 바뀌었다.
기후
[편집]Lop Buri (1981–2010)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38.4 (101.1) | 38.6 (101.5) | 39.4 (102.9) | 41.4 (106.5) | 40.8 (105.4) | 39.5 (103.1) | 38.3 (100.9) | 37.7 (99.9) | 36.2 (97.2) | 35.6 (96.1) | 35.8 (96.4) | 36.2 (97.2) | 41.4 (106.5)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32.9 (91.2) | 34.6 (94.3) | 36.0 (96.8) | 36.8 (98.2) | 35.3 (95.5) | 34.3 (93.7) | 33.7 (92.7) | 33.3 (91.9) | 32.8 (91.0) | 32.5 (90.5) | 32.2 (90.0) | 31.7 (89.1) | 33.8 (92.8) |
일일 평균 기온 °C (°F) | 26.4 (79.5) | 28.1 (82.6) | 29.5 (85.1) | 30.4 (86.7) | 29.5 (85.1) | 29.0 (84.2) | 28.6 (83.5) | 28.3 (82.9) | 28.0 (82.4) | 27.8 (82.0) | 27.1 (80.8) | 25.8 (78.4) | 28.2 (82.8)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21.1 (70.0) | 23.2 (73.8) | 24.8 (76.6) | 25.8 (78.4) | 25.6 (78.1) | 25.2 (77.4) | 24.9 (76.8) | 24.9 (76.8) | 24.7 (76.5) | 24.3 (75.7) | 22.8 (73.0) | 20.6 (69.1) | 24.0 (75.2) |
역대 최저 기온 °C (°F) | 12.0 (53.6) | 14.5 (58.1) | 16.4 (61.5) | 19.7 (67.5) | 17.9 (64.2) | 22.2 (72.0) | 21.5 (70.7) | 21.5 (70.7) | 20.5 (68.9) | 17.0 (62.6) | 13.8 (56.8) | 10.2 (50.4) | 10.2 (50.4) |
평균 강우량 mm (인치) | 5.7 (0.22) | 6.9 (0.27) | 32.1 (1.26) | 81.5 (3.21) | 147.1 (5.79) | 124.0 (4.88) | 120.1 (4.73) | 150.9 (5.94) | 265.5 (10.45) | 153.7 (6.05) | 33.1 (1.30) | 4.5 (0.18) | 1,125.1 (44.30) |
평균 강우일수 | 1.1 | 1.3 | 2.7 | 6.1 | 12.9 | 12.7 | 14.2 | 16.5 | 17.6 | 13.2 | 3.4 | 0.8 | 102.5 |
평균 상대 습도 (%) | 63 | 65 | 66 | 69 | 75 | 76 | 77 | 78 | 81 | 77 | 66 | 60 | 71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263.5 | 245.8 | 238.7 | 240.0 | 155.0 | 114.0 | 117.8 | 117.8 | 108.0 | 182.9 | 219.0 | 260.4 | 2,262.9 |
평균 일일 일조시간 | 8.5 | 8.7 | 7.7 | 8.0 | 5.0 | 3.8 | 3.8 | 3.8 | 3.6 | 5.9 | 7.3 | 8.4 | 6.2 |
출처 1: Thai Meteorological Department[1] | |||||||||||||
출처 2: Office of Water Management and Hydrology, Royal Irrigation Department (sun and humidity)[2] |
각주
[편집]- ↑ “Climatological Data for the Period 1981–2010”. Thai Meteorological Department. 15쪽. 2016년 8월 4일에 확인함.
- ↑ “ปริมาณการใช้น้ำของพืชอ้างอิงโดยวิธีของ Penman Monteith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by Penman Monteith)” (PDF) (태국어). Office of Water Management and Hydrology, Royal Irrigation Department. 75쪽. 2016년 8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