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가톨릭 교구
로마 가톨릭 교구(敎區:Dioeces)는 가톨릭의 부분교회로서 지역단위로 구성되며 교황이 교구장인 거룩한 로마교구와 합하여 로마가톨릭교회를 구성한다
종류
[편집]교구의 종류는 자립기능을 가지는 교구와 자립기능은 가지나 준교구인 자치관리구와 자립기능이없는 교황직속 전교지역 준교구로 구성한다
교구
[편집]교구(敎區:Dioeces)는 주교(主敎:bishop)에게 해당 교구 사제단의 협력을 받아서 사목하도록 위탁된 하느님 백성들의 개별교회이다.
교구는 그 관리하는 교구장 주교의 직에 따라서 로마교구,총대주교구,대교구,일반주교구로 구분된다.
- 로마교구:로마교구는 수위교구이며 일명"거룩한 로마교회"라고도 불린다 로마교구는 베드로 사도 사도직을 계승하는 교구이므로 로마 교구장은 주교단장이되며 주교회의장인 로마교구장인 로마주교는 교황이라고도 불린다. 로마주교는 로마관구의 관구장 대주교이기도 한다
- 총대주교구
- 동방예법의 총대주교구는 해당 예법에 대하여 재치권을 행사하는 총대주교가 관리하며 동방예법의 총대주교는 교황의 수위권에 참여하는 주교이다
- 라틴예법의 총대주교구는 2종류로 정식 총대주교구는 관구장급 대주교인 일반 총대주교 에게 부여 하며 현재는 베니스,리스본,예루살렘의 3곳의 총대주교구가 있으며, 명의 총대주교는 기존 대교구의 교구장인 대주교직에 덧붙여준다
- 대교구
- 관구장 대교구: 교구의 연합인 관구의 중심교구를 맡은 대교구로 관구장 대주교가 사목한다
- 일반 대교구: 관구에 속한 대교구로 일반 대주교가 사목한다
- 일반교구
- 일반교구는 관구에 속한 일반 대주교가 사목하는 교구 와 일반주교가 사목하는 교구가 있다
자치 관리구
[편집]교구에 준하는 개별교회로 성직 자치구와 자치수도원구가 있으며 현재는 새로운 자치관리구는 설립을 금하고 있다. 자치관리구는 자치교회이므로 관구에 구성되기도 한다
- 성직자치구(聖職自治區:Preatura territoralis): 고위성직자에게 해당지치구 사제단의 협력을 받아서 사목하도록 위탁된 하느님 백성의 개별 교회이다
- 자치수도원구(自治修道院區:Abbatia territoralis):자치수도원장에게 해당지치수도원 사제단의 협력을 받아서 사목하도록 위탁된 하느님 백성의 개별 교회이다
전교지역 준교구
[편집]전교지역으로 편성된 대목구,지목구,직할서리구는 교황의 이름으로 대리 사목하는 하느님 백성의 개별 교회로 교황에게 직속된다
- 대목구(代牧區:Vicariatus apostolica):명의주교가 임명되며 교황의 이름으로 일반교구와 같은 사목을 한다
- 지목구(知牧區:Praefecto apostolica): 사제가 임명되며 교황의 이름으로 대리사목하나 성품성사는 행하지 못한다(명의 주교 임명시는 예외)
- 직할 서리구(直轄署理區:Administratio apostolica):사제나 명의주교가 교황의 이름으로 대리사목하는 개별 교회임(지목구에 준함)
출처
[편집]- ,가톨릭 교회법 330조,336조 참조
- , 가톨릭 교회법 368조 ,369조,370조,371조,372조 373조374조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