롄윈강시
약자: 苏G | |
![]() | |
행정 단위 | 지급시 |
---|---|
청사소재지 | 하이저우구 |
면적 | 7,446km2 |
인구 (2007년) 인구밀도 | 4,820,000명 /km2 |
지역전화 | 518 |
우편번호 | 222002 |
시차 | UTC+8 |
웹사이트: www.lyg.gov.cn |
롄윈강시(중국어 간체자: 连云港, 정체자: 連雲港, 병음: Liányúngǎng)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의 지급시이다. 롄윈강의 이름은 롄윈강 앞바다에 있는 롄섬과 장쑤성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윈타이산에서 유래되었다. 1680년대에 청 조정이 외국과의 교역을 위해 개항한 4개의 항구 중 하나이다(나머지는 닝보시, 샤먼시, 광저우시이다).
지리
[편집]롄윈강시는 장쑤성의 동북쪽에 위치해 있고 황해에 접해 있다. 북쪽은 산둥성 르자오시, 서쪽은 쉬저우시, 화이안시, 남쪽은 화이안시, 옌청시에 접해 있다. 기후는 해류의 영향으로 온화하고 연평균 기온은 14°C, 연평균 강수량은 900mm이다. 시는 일반적으로 평지이지만 서쪽은 산지가 위치해 있다.
면적은 7,446km², 인구는 482만 명이다. 농업도 발달되어 있다.
롄윈강시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17.5 (63.5) | 24.8 (76.6) | 28.0 (82.4) | 33.1 (91.6) | 37.1 (98.8) | 37.9 (100.2) | 40.2 (104.4) | 37.8 (100.0) | 35.8 (96.4) | 32.4 (90.3) | 27.7 (81.9) | 20.2 (68.4) | 40.2 (104.4)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5.6 (42.1) | 8.4 (47.1) | 13.8 (56.8) | 20.2 (68.4) | 25.5 (77.9) | 29.2 (84.6) | 31.0 (87.8) | 30.3 (86.5) | 26.9 (80.4) | 21.8 (71.2) | 14.7 (58.5) | 7.9 (46.2) | 19.6 (67.3) |
일일 평균 기온 °C (°F) | 1.0 (33.8) | 3.4 (38.1) | 8.3 (46.9) | 14.5 (58.1) | 20.0 (68.0) | 24.1 (75.4) | 27.1 (80.8) | 26.6 (79.9) | 22.6 (72.7) | 16.7 (62.1) | 9.8 (49.6) | 3.2 (37.8) | 14.8 (58.6)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2.6 (27.3) | −0.6 (30.9) | 3.7 (38.7) | 9.6 (49.3) | 15.3 (59.5) | 20.0 (68.0) | 24.0 (75.2) | 23.7 (74.7) | 19.0 (66.2) | 12.6 (54.7) | 5.8 (42.4) | −0.5 (31.1) | 10.8 (51.5) |
역대 최저 기온 °C (°F) | −12.3 (9.9) | −13.2 (8.2) | −9.1 (15.6) | −1.4 (29.5) | 5.5 (41.9) | 12.6 (54.7) | 18.0 (64.4) | 15.6 (60.1) | 9.7 (49.5) | −0.1 (31.8) | −7.1 (19.2) | −12.1 (10.2) | −13.2 (8.2)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17.5 (0.69) | 22.3 (0.88) | 33.0 (1.30) | 42.5 (1.67) | 63.9 (2.52) | 106.6 (4.20) | 252.5 (9.94) | 198.5 (7.81) | 79.7 (3.14) | 33.4 (1.31) | 36.0 (1.42) | 18.7 (0.74) | 904.6 (35.62)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4.6 | 5.5 | 6.0 | 6.4 | 8.1 | 7.3 | 13.6 | 12.1 | 7.6 | 5.6 | 5.7 | 4.4 | 86.9 |
평균 강설일수 | 2.7 | 3.0 | 1.2 | 0.1 | 0 | 0 | 0 | 0 | 0 | 0 | 0.5 | 1.3 | 8.8 |
평균 상대 습도 (%) | 66 | 66 | 64 | 65 | 69 | 74 | 82 | 83 | 76 | 70 | 69 | 66 | 71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56.8 | 156.8 | 200.2 | 220.7 | 232.1 | 193.8 | 182.7 | 192.2 | 190.7 | 189.2 | 159.4 | 160.0 | 2,234.6 |
가능 일조율 | 50 | 50 | 54 | 56 | 54 | 45 | 42 | 47 | 52 | 55 | 52 | 52 | 51 |
출처: 중국기상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81년~2010년)[1][2] |
경제
[편집]롄윈강시는 전국 10대 항만 가운데 1개에 속해 있고, 중국에 있는 14개 대외 개방 도시의 하나이다. 최근 중국 동부의 공업과 무역, 관광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고 전 세계 해상 교통 네트워크의 한 부분이다. 이 항구는 동부 해안의 중앙에 위치해있고 서쪽의 육로와 동쪽의 해로를 연결한다. 한국과 일본은 롄윈강시를 통해 중국 동부에 경제적이고 편리하게 도착할 수 있다.

행정 구역
[편집]시할구
현
자매 도시
[편집]각주
[편집]- ↑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중국어 간체). 중국기상국. 2023년 6월 25일에 확인함.
- ↑ “Experience Template” 中国气象数据网 (중국어 간체). 중국기상국. 2023년 6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한국어)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