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트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라트비아 | |||
---|---|---|---|
협회 | 라트비아 축구 협회 | ||
대륙 연맹 | 유럽 축구 연맹 | ||
감독 | ![]() | ||
주장 | 마리야 이브라기모바 | ||
최다 출전자 | 아나스타시야 로차네(100) | ||
최다 득점자 | 카를리나 믹소네(23) | ||
FIFA 코드 | LVA | ||
| |||
FIFA 랭킹 | |||
최고 순위 | 61 (2004년 12월) | ||
최저 순위 | 107 (2015년 9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스웨덴 뉘네스함; 1993년 8월 18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키프로스 예로스키푸; 2015년 3월 13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잉글랜드 동커스터; 2021년 11월 30일,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라트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라트비아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대표팀으로 라트비아 축구 협회에서 관리한다. 1993년 8월 18일 스웨덴과의 국제 A매치 첫 경기에서 0-9로 패했으며 현재까지 FIFA 여자 월드컵과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그리고 올림픽 본선 출전 기록이 없다.
국제 대회 경력
[편집]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예비라운드에서 1승 2무·2위의 성적을 기록했다. 또한 같은 발트해 국가인 에스토니아를 상대로 4골을 기록하는 등 7골을 기록하며 라트비아 여자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득점 기록을 경신했다. 라트비아는 카자흐스탄에 밀려 예선 조별리그 진출에는 아쉽게 실패했다.
UEFA 여자 유로 2017 예선 예비라운드에서 1승 1무 1패·2위의 성적을 기록했고 이 과정에서 5골을 기록하여 여자 유로 대회 예선 최다 득점 기록도 경신했다. 라트비아는 몰도바에 밀려 예선 조별리그 진출에 실패했다.
여자 발틱컵
[편집]21번의 여자 발틱컵에 출전하여 이 중 5번의 대회(1997, 2011, 2017, 2018, 2019)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번의 대회(1996, 2016)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이 대회 3연패를 달성하면서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가장 좋은 성과를 남겼다.
성적
[편집]FIFA 여자 월드컵
[편집]올림픽 축구
[편집]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편집]- 1984년: 불참
- 1987년: 불참
- 1989년: 불참
- 1991년: 불참
- 1993년: 불참
- 1995년: 예선 탈락
- 1997년: 불참
- 2001년: 불참
- 2005년: 불참
- 2009년: 예선 탈락
- 2013년: 예선 탈락
개인 기록
[편집]최다 출전 기록
[편집]- 아나스타시야 로차네(100)
- 카를리나 믹소네(73)
- 산드라 보이타네(70)
- 올가 셰우초바(67)
- 빅토리야 자이치코바(64)
- 레나테 페도토바(49)
- 엘리자 스프룬툴레(49)
- 크리스티네 기르주다(47)
- 마리야 이브라기모바(38)
- 안나 플락세(37)
최다 득점 기록
[편집]- 카를리나 믹소네(23)
- 레나테 페도토바(16)
- 산드라 보이타네(15)
- 올가 셰우초바(14)
- 리에네 바치에테(7)
- 아나스타시야 폴류호비차(6)
- 빅토리야 자이치코바(5)
- 아나스타시야 로차네(3)
- 디아나 수비트라(3)
- 소피야 가란차(2)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라트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이 글은 축구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라트비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