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라라 (윤형주의 노래)
〈라라라〉 | |
---|---|
윤형주의 싱글 | |
《별밤에 부치는 노래 씨리즈 VOL.3》의 싱글 | |
발매일 | 1971년 7월 1일 |
장르 | 포크 |
길이 | 3:09 |
레이블 | 유니버살레코드사 |
송라이터 | 윤형주 |
프로듀서 | 이종환 |
〈라라라〉는 1971년 윤형주가 김세환과 함께 만든 앨범인 《별밤에 부치는 노래 씨리즈 VOL.3》에 수록된 노래이다. 윤형주가 단독으로 작곡 및 작사했으며, 대중에는 '조개껍질 묶어'라는 이명으로 알려져있다. 이후 1972년 윤형주의 단독 앨범인 《그님》에 수록되기도 했다. 〈라라라〉는 여름 특유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가사와 멜로디로 당대 청년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이른바 '통기타 문화'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1]
개요
[편집]〈라라라〉는 1970년 대천해수욕장에서 윤형주에 의해 즉석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닷가에서 알게 된 여학생들이 자리를 뜨려 하자 30분만에 만들어서 부른 것이 〈라라라〉의 시초이다. 윤형주는 조선일보에 기고한 글에서 "떠나겠다는 여학생을 막기 위해 '이 노래가 좋으면 떠나지 말라'며 노래를 만들었는데, 오선지도 없어 빈 종이에 부랴부랴 작곡과 작사를 끝내서 통기타로 노래를 불렀다"며 회고했다.[2] 이후 당시 MBC 라디오의 인기 프로그램이었던 별이 빛나는 밤에의 DJ 이종환의 눈에 띄어 앨범을 내게 되었고, 1971년 《별밤에 부치는 노래 씨리즈 VOL.3》이라는 음반을 김세환과 함께 내게 된다. 이 앨범은 1만 장이 넘는 판매고를 올리며 승승장구했지만, 당시 공연윤리위원회가 패티김의 노래 〈사랑이란 두 글자〉의 표절이라는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로 방송금지곡에 〈라라라〉를 지정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3]
특히 윤형주를 비롯한 포크 가수들은 〈라라라〉의 성공으로 통기타와 청바지, 생맥주로 대표되는 당대 청년의 아이콘이 되었지만, 당시 대학가에서는 '대학생들이 비판적 정신을 잃고 외래 문화에만 빠진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4] 그럼에도 꾸준히 인기를 끈 〈라라라〉는 여름과 당대 청년을 모두 상징하는 노래로 남게 되었다. 특히 2005년에는 처음 이 노래가 만들어졌던 대천해수욕장에 〈라라라〉의 노래비가 세워지는 등,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음악으로서의 가치를 드러내기도 했다.[5]
리메이크
[편집]
〈라라라〉는 여름의 분위기를 살리는 가사로, 1970년대를 다루는 매체와 작품 등을 통해 활발한 리메이크가 이루어졌다. 강하늘은 윤형주, 송창식, 김세환 등 쎄시봉 구성원들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 《쎄시봉》에 출연하면서 영화의 OST 중 하나로 〈라라라〉를 불렀다. 우쿨렐레피크닉과 함께 부른 이 노래는 〈조개껍질 묶어〉라는 이름으로 발매되기도 했다.[6]
각주
[편집]- ↑ 임준재 (2005년 3월 1일). “'조개껍질 묶어...' 윤형주 노래비 건립”. 《연합뉴스》. 2021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윤형주 (2011년 9월 6일). “[세시봉, 우리들의 이야기] "즉석 만남 여대생 붙잡자" 30분 만에 뚝딱 만든 노래가 대박”. 《조선일보》. 2021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이영미 대중문화평론가 (2012년 5월 31일). “10월유신 40주년 ‘금지곡 콘서트’”. 《경향신문》. 2021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한홍구 (2012년 10월 5일). “박정희는 통기타를 어떻게 부숴버렸나”. 《한겨레》. 2021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김선우 (2005년 2월 23일). “[연예]대천해수욕장에 윤형주 노래비 세운다”. 《동아일보》. 2021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고경석 (2015년 1월 27일). “복고 열풍, 이번엔 포크송”. 《한국일보》. 2021년 10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