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크먼 스트리트역 (IRT 브로드웨이-7번로선)

디크먼 스트리트 Dyckman Street | |||||||
---|---|---|---|---|---|---|---|
![]() | |||||||
역 승강장 | |||||||
개괄 | |||||||
주소 | Dyckman Street & Nagle Avenue New York, NY 10034 | ||||||
구 | 맨해튼 | ||||||
소재지 | 인우드 | ||||||
좌표 | 북위 40° 51′ 40″ 서경 73° 55′ 30″ / 북위 40.861° 서경 73.925° | ||||||
디비전 | A (IRT) | ||||||
노선 | IRT 브로드웨이-7번로선 | ||||||
운행 계통 | 1 ![]() | ||||||
기타 연결교통 | ![]() ![]() | ||||||
구조 | 성토 / 평면 | ||||||
승강장 | 2 상대식 승강장 | ||||||
선로 | 2 | ||||||
기타 정보 | |||||||
개업일 | 1906년 3월 12일 | ||||||
역 코드 | 299[1] | ||||||
접근성 | ![]() | ||||||
OMNY 지원 | No | ||||||
이용량 | |||||||
이용객 수 | 2,263,932[2] ![]() | ||||||
순위 | 424개 중 204위 | ||||||
인접역 | |||||||
북행 | 밴코틀랜드 파크-242번가 (급행): 틀:NYCS Broadway–Seventh north express 207번가 (완행): 틀:NYCS Broadway–Seventh north local | ||||||
남행 | 191번가: 1 ![]() | ||||||
북행 ![]() | 통행불가 통행가능한 다음 북행역: 231번가: 1 ![]() | ||||||
남행 ![]() | 96번가: 1 ![]() | ||||||
| |||||||
디크먼 스트리트 지하철역 (IRT) Dyckman Street Subway Station (IRT) | |||||||
복합자산: | New York City Subway System MPS | ||||||
NRHP등록번호: | 04001021[3] | ||||||
NRHP지정일: | 2004년 9월 17일 |
디크먼 스트리트(영어: Dyckman Street)역은 뉴욕 지하철의 IRT 브로드웨이-7번로선에 있는 역이다. 맨해튼 인우드의 디크먼가(Dyckman Street)와 네이글 애비뉴(Nagle Avenue) 교차로 인근에 위치하며 전시간 1 열차가 운행한다.
역사
[편집]공사 및 개장
[편집]첫 번째 지하철의 웨스트 사이드 분기에는 168번가, 181번가, 191번가역이 아직 완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1906년 3월 12일, 디크먼 스트리트에 첫 번째 역이 개설된 가운데 북쪽으로 221번가와 브로드웨이의 임시 종점까지 연장되었다.[4][5][6] 이 연장은 급행 열차가 221번가로 운행되기 시작한 1906년 5월 30일까지 157번가와 221번가 사이를 운행하는 셔틀 열차로 운행하였다.[7][8]
역 개조
[편집]1948년에 103번가에서 238번가까지 IRT 브로드웨이-7번로 선 승강장이 514 피트 (157 m)로 연장되어 10량 급행열차가 이 역에 정차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전에는, 그 역에는 6량짜리 완행열차만 정차할 수 있었다. 승강장 증축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다. 1948년 4월 6일, 125번가역을 제외한 103번가-디크몬 스트리트간 승강장 확장이 시작되었다.[9][10]
2014년 2월, 지속적인 재활의 일환으로 MTA는 거리층에서 대합실까지 경사로를 건설하고 남행 승강장과 대합실을 연결하는 엘리베이터를 개통했다.[11] 당초 역 개보수에서 계획되지 않았던 엘리베이터는 연합척추협회의 소송으로 인해 건설되었다.[12] 이 엘리베이터는 "기계실 없는" 설계로 뉴욕 지하철에 설치된 최초의 엘리베이터이다. 개보수에는 터널 복구, 승강장 재배치 및 복구, 주철 조명설비 신설 등도 포함되었다.[13]
이 역은 북행쪽이 먼저 개조된 후에 소송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장애인들이 접근할 수 없는 역이고, 어떤 경우에도 이 지역의 지형으로 인해 엘리베이터를 북행 승강장에 추가하는 비용이 엄청나게 많이 들었다.[14] 북행 승강장 장애인 시설은 MTA의 "Fast Forward"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19년 2월에 제안되었다.[15]
역 구조
[편집]P 승강장층 | 상대식 승강장 | |
북행 | ← ![]() (운행 없음: 242번가) | |
남행 | ![]() | |
상대식 승강장 ![]() | ||
G | 거리층 | 역사, 출구, 운임 구역 틀:NYCS Platform Layout access |


이 역은 지면과 반지하에 위치하며, 2개의 승강장과 2개의 선로가 있다.[16] 역 남쪽은 지상 평면에 위치한다. 워싱턴 헤이츠 마인 터널(Washington Heights Mine Tunnel)의 북쪽 통로에 위치해 있으며, 이 터널은 IRT 브로드웨이-7번로 선을 통해 맨해튼의 세븐스 애비뉴 라인을 통해 맨해튼 편암을 통과한다. 역 북쪽에 위치한 어퍼 맨해튼의 지형은 갑자기 낮아지고 노선은 밴코틀랜드 파크-242번가역으로 올라간다.[16]
두 승강장 모두 중앙에 베이지색 앞유리와 녹색 프레임과 윤곽이 있는 빨간색 캐노피가 있다. 허리높이의 강철 펜스는 양쪽을 따라 뻗어있다. 사우스 페리행 승강장은 242번가행 승강장보다 북쪽으로 더 경사져 있어 상쇄된다. 각 승강장에는 2개의 "DYCKMAN ST" 모자이크 역명판이 있다.
이 역은 브로드웨이-7번로 선 고가역에서 두 개의 선로만을 가진 두 개의 역 중 하나이다.(다른 하나는 242번가 역). 현재 영업 운행에 사용되지 않는 가운데 급행 선로는 이 역의 바로 북쪽에서 생겨나 242번가 바로 남쪽으로 직행한다.[16] 측선은 역의 남쪽에 위치했지만, 승강장이 확장되면서 철거되었다.
이 역은 인근의 변전소 17(Substation 17)과 마찬가지로 미국 국립사적지[17]에 등재되어 있다.
1991년 대기실의 예술 작품은 워포 홀럽(Wopo Holup)의 "Flight"이다. 이 작품은 날고 있는 새들을 묘사한 세라믹 구조 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출구
[편집]역의 유일한 출구는 네이글 애비뉴, 디크먼가, 힐사이드 애비뉴의 남쪽 모퉁이에 있는 고가역사에 있다. 거리에서 역사까지 경사로와 계단으로 연결된다. 여기에는 개찰구 뱅크, 토큰 부스, 각 승강장과 연결되는 두 개의 계단이 있고, 남행 승강장과 연결되는 엘리베이터가 있다.[18]남행 엘리베이터는 힐사이드 애비뉴와 세인트 니콜라스 애비뉴(St. Nicholas Avenue), 포트 조지 힐(Fort George Hill)의 남서쪽 모퉁이에 위치해 있으며, 역사로 연결된 경사로를 통해 들어갈 수 있다.[19]
- 개조전의 승강장
- 개조중인 승강장
- 개조후의 승강장
각주
[편집]- ↑ “Station Developers' Information”.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7년 6월 13일에 확인함.
- ↑ “Facts and Figures: Annual Subway Ridership 2011–2016”.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7년 5월 31일. 2017년 6월 1일에 확인함.
- ↑ “NPS Focus”.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National Park Service. 2008년 7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 “Farthest North in Town by the Interborough”. 《The New York Times》. 1907년 1월 14일. 18면.
- ↑ District, New York (State) Public Service Commission First (1913년 1월 1일). 《Report of the Public Service Commission for the First District of the State of New York》 (영어). J.B. Lyon Company.
- ↑ “Trains To Ship Canal: But They Whiz by Washington Heights Station” (PDF). 《The New York Times》. 1906년 3월 13일. 2015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1]
- ↑ “Express to 221st Street: Will Run In the Subway To-day–New 181st Street Station Ready.” (PDF). 2016년 9월 1일에 확인함.
- ↑ 《Report for the three and one-half years ending June 30, 1949.》. New York City Board of Transportation. 1949. hdl:2027/mdp.39015023094926.
- ↑ “More Long Platforms – Five Subway Stations on IRT to Accommodate 10-Car Trains” (PDF). 《The New York Times》. 1948년 7월 10일. 8면. ISSN 0362-4331. 2016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Kabak, Benjamin (2014년 2월 8일). “Dyckman St. reopens as work affects 8 subway lines”. 《secondavenuesagas.com》.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 ↑ Kabak, Benjamin (2011년 7월 21일). “Dyckman St. accessibility suit settled”. 《secondavenuesagas.com》.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 ↑ “Ribbon Cutting Marks MTA NYC Transit's Rehab of Dyckman St 1 IRT Stop”. MTA. February 6, 2014. February 9, 2014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Dwyer, Jim (2014년 2월 6일). “A Moving Glass Box Conquers Uneven Terrain at a Subway Station”.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2016년 8월 2일에 확인함.
- ↑ mtainfo (2019년 2월 6일). 《NYCT Public Event - Discussion About the Next Accessible Subway Stations - 02/06/2019》 (video) – YouTube 경유.
- ↑ 가 나 다 Dougherty, Peter (2006) [2002]. 《Tracks of the New York City Subway 2006》 (영어) 3판. Dougherty. OCLC 49777633 – Google Books 경유.
- ↑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New York County – Dyckman Street Subway Station (IRT)
- ↑ “MTA Neighborhood Maps: Washington Heights” (PDF).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5. 2016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 “mta.info - Accessibility”. 《mta.info》.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nycsubway.org – IRT West Side Line: Dyckman Street
- nycsubway.org – Flight Artwork by Wopo Holup (1991)
- Station Reporter – 1 Train
- The Subway Nut – Dyckman Street Pictures 보관됨 2017-06-15 - 웨이백 머신
- MTA's Arts For Transit – Dyckman Street (IRT Broadway–Seventh Avenue Line)
- Dyckman Street entrance from Google Maps Street View
- Platforms from Google Maps Street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