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미디어시티역

디지털미디어시티
역명판
역명판
승강장
승강장
Map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 지하 175(증산동 223-27번지)
좌표 북위 37° 34′ 33.8″ 동경 126° 54′ 05.0″ / 북위 37.576056° 동경 126.901389°  / 37.576056; 126.901389
개업일 2000년 12월 15일
역 번호 618
승강장수 2면 2선(상대식)
거리표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기점 9.5 km
← 617 증산
(1.1 km)
619 월드컵경기장
(0.8 km)
디지털미디어시티
역사
역사
경의중앙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공사 당시)
경의중앙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공사 당시)
Map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수색관리역
소재지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로 193(수색동 37-2번지)
좌표 북위 37° 34′ 39.8″ 동경 126° 54′ 00.3″ / 북위 37.577722° 동경 126.900083°  / 37.577722; 126.900083
개업일 경의선: 2009년 7월 1일
경의·중앙선: 2014년 12월 27일
역 번호 K316
등급 배치간이역
승강장수 3면 4선(쌍상대식)
거리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선)
서울 기점 7.5 km[1]
← K317 수색
(0.6 km)
K315 가좌
(1.7 km)
디지털미디어시티
(스카이라이프)
역명판(부역명 표기 전)
역명판(부역명 표기 전)
승강장(부역명 표기 전)
승강장(부역명 표기 전)
개괄
관할 기관 공항철도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암로 지하 184(상암동 1140번지)
개업일 2010년 12월 29일
역 번호 A04
승강장수 2면 4선(쌍섬식)
거리표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기점 9.5 km
← A03 홍대입구
(3.4 km)
A042 마곡나루
(8.4 km)

디지털미디어시티역(Digital Media City station)은 서울특별시 은평구(6호선 및 경의선), 마포구(공항철도)에 걸쳐 있는 전철역이다. 서울 지하철 6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환승역으로, 역명의 머릿글자에서 따온 DMC역이라는 약칭으로 부르기도 하며, 한국철도공사의 전산망 역시 이 명칭을 사용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이 역부터 문산역을 지나서 임진강역까지 지상 구간이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이 역부터 서울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이 역과 마곡나루역 사이에는 일부 지상 구간이 존재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불광천,홍제천 하저터널로 홍대입구역과 연결된다.

2000년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으로서 최초로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당시 역명은 “수색”(水色)이었다. 이후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을 앞두고 동일 노선상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수색역과의 구분을 위하여, 인근의 디지털 미디어 시티에서 딴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변경하였다.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역사[편집]

구조[편집]

3개 역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그리며 만나며, 코레일 역과 공항철도 역 사이를 서울교통공사 역이 잇는 형태이다. 출구는 9개가 있다.

경의·중앙선 승강장과 6호선 승강장까지 이어지는 환승 통로와 6호선 승강장에서 공항철도 승강장까지 이어지는 환승 통로가 있으며 경의·중앙선에서 공항철도로 환승하려면 6호선 승강장을 거쳐야 하므로 환승 길이가 대단히 길기 때문에 홍대입구역이나 공덕역에서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경의·중앙선 - 6호선 또는 6호선 - 공항철도 환승 시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배선도[편집]

수색차량사업소수색역 및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