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애치슨
도널드 애치슨 Ernest Donald Acheson | |
![]() 2004년의 도널드 애치슨 | |
출생 | 1926년 9월 17일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
---|---|
사망 | 2010년 1월 10일 | (83세)
국적 | 영국 |
출신 학교 | 옥스퍼드 대학교 |
주요 업적 | 건강 불평등에 관한 애치슨 보고서 |
수상 | 대영 제국 훈장 2등급 (1986)[1] |
분야 | 의학, 사회역학 |
도널드 애치슨 경(Sir Donald Acheson)은 영국의 의사, 역학자이다. 영국 보건복지부에서 의료수석(Chief Medical Officer)을 역임하였다.
생애
[편집]1951년 옥스퍼드 대학교의 브레이지노스 칼리지를 졸업하였다.[2] 미들섹스 병원에서 수련받은 후 1968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근무하였다. 1968년부터 1978년까지 사우샘프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1983년부터 1991년까지 영국 정부에서 의료수석을 맡았다.[3] 이 시기 영국의 에이즈와 광우병 문제 해결에 노력하였다.[4] 1998년 토니 블레어 총리의 요청으로 건강불평등에 대한 보고서인 애치슨 보고서를 발표한다.
애치슨 보고서
[편집]애치슨 보고서는 이전의 블랙 보고서(1980), 이후의 마멋 리뷰(2010)와 함께 영국의 건강 불평등 문제와 해결 방안에 대해 보고한다. 이에 따라 영국 재무부와 보건복지부가 건강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는 데 합의하였다.[5] 애치슨 보고서는 영국 정부의 건강형평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ir Donald Acheson”. 《The Telegraph》. 2010년 1월 13일. 2019년 9월 10일에 확인함.
- ↑ Dean, Malcolm (2010년 1월 13일). “Sir Donald Acheson”. 《The Guardian》. 2019년 9월 10일에 확인함.
- ↑ Sheard, Sally (2010). “Donald Acheson”. 《BMJ》 340: c419. doi:10.1136/bmj.c419.
- ↑ Watts, Geoff (2010년 3월 20일). “Ernest Donald Acheson”. 《Lancet》 375 (9719): 978. doi:10.1016/S0140-6736(10)60428-X.
- ↑ 김동진 (2017년 9월). “지역 간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영국의 대응 정책 분석과 함의 고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년 9월 10일에 확인함.
- ↑ 윤태호 (2013년 3월). “건강형평 정책의 국제 동향: 영국, 네델란드, 스웨덴, 세계보건기구의 경험으로부터의 교훈” (PDF).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6 (3): 195-205. doi:10.5124/jkma.2013.56.3.195. 2018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이 글은 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