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오반드파
종교 | |
---|---|
수니파 | |
경전 | |
쿠란, 하디스, 순나 |

데오반드파(Deobandism)는 19세기 후반 인도의 데오반드(Deoband) 마을의 다르울 울룸(Darul Uloom) 신학교를 중심으로 형성된 수니파(주로 하나피파) 이슬람[1][2] 내 이슬람 부흥운동이다.[3][4][5] 신학교는 1857-58년 세포이 항쟁[6][7]이 일어난 지 8년 만인 1866년 무함마드 카심 나노타비, 라시드 아흐마드 간고히, 그 밖의 여러 인물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복합 민족주의 교리의 전파를 통해 인도 독립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8][9][10]
데오반드 학파는 초기에는 평화적 갈림길에서 기독교 및 힌두교 학자들과의 종교간 논쟁을 벌였고,[3] 설립 초기 단계에서는 당시의 데오반드 철학자들이 힌두교, 기독교, 무슬림의 단결을 이야기했기 때문에 운영비는 힌두교도가 일부 부담했다고 한다. 다문화주의와 인도의 분할에 대한 반대로,[10] 현재의 살라피스트적 입장과 이슬람 근본주의와는 크게 다르다.
현재 주로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를 중심으로 한 데오반드 운동은 영국[11]으로 확산되었고 남아공에서도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12] 파키스탄과 아프간 지부와 원래의 인도 마드라사는 인도-파키스탄 국경과 관련된 정치적 이유로 인도 분할 이후 접촉이 훨씬 적었다.[3]
데오반드 운동은 예언자 시대에 실천된 대로 이슬람의 기본을 되찾고자 하며, 이를 도덕적이고 물질적인 서구화 영향으로부터 '정화'하려고 한다.[13] 살라프파[13] 또는 비 살라프파[13]로 묘사되어 왔지만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살라프파의 영향을 받았다.[3] 데오반드 학파의 설립자들, 즉 무함마드 카심 나노타비와 라시드 아흐마드 간고히는 이슬람 학자의 종교-정치적 교리에서 영감을 이끌어 냈고, 무자드 샤 왈리울라[4]도 와하비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았다.[4]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 일부 데오반드 추종자는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많은 자금을 지원받았다.[14] 파키스탄 정부는 (카슈미르에서) 소련과 인도와 싸우기 위해 일부러 데오반드파에 전투성을 배양했다. 공급된 돈과 총은 후에 시민 갈등을 부채질했다.[15] 최근에는 국방주택청과 같은 파키스탄의 시설들이 공공주택단지 내 이슬람 사원의 다른 종파 이맘을 임명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데오반드 운동의 추종자들은 매우 다양하다. 어떤 이들은 비폭력을 옹호하지만 파키스탄 탈레반(TTP)을 비롯하여 TTP, SSP, 라슈카레 타이바 등 데오반드 무장세력은 전투적이다.[16] 라호르의 다르바르, 카라치의 압둘라 샤 가지 묘, 발루치스탄의 칼 마가시, 페샤와르의 라만 바바 묘 등 바렐비 운동의 수니파 무슬림에게 거룩한 수피 유적지를 공격해 파괴했다. 다양한 바렐비 지도자들의 살해도 데오반드 무장세력에 의해 저질러졌다. 일부 데오반드 지도자들은 반시야 및 무장단체와도 유대관계를 맺고 있으며, 무장단체를 모집하고 있다; 다른 디반디 지도자들은 그러한 활동이 파키스탄 정치를 그들의 종교에 침입하는 것과 같은 것을 분개한다.[15][17] 다르울울룸 데오반드는 탈레반의 시민적 행동을 일관되게 지지해 왔으나[18] 2000년대 이슬람 테러리즘을 거듭 규탄하며 2008년 이에 대한 파트와를 내놓았다.[3]
각주
[편집]- ↑ Commins, David (2009). 《The Wahhabi Mission and Saudi Arabia》. New York: I.B. Tauris. 138–139쪽. ISBN 978-0-85773-135-7.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 ↑ Ingram, Brannon D. (2018). 《Revival from Below: The Deoband Movement and Global Islam》. Oakla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98002. LCCN 2018014045.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Puri, Luv (2009년 11월 3일). “The Past and Future of Deobandi Islam”. 《CTC Sentinel》 (West Point, New York: Combating Terrorism Center) 2 (11): 19–22. 2022년 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Syed, Jawad; Pio, Edwina; Kamran, Tahir; Zaidi, Abbas, 편집. (2016). 《Faith-Based Violence and Deobandi Militancy in Pakistan》. London: Palgrave Macmillan. 139쪽. doi:10.1057/978-1-349-94966-3. ISBN 978-1-349-94965-6. LCCN 2016951736.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 ↑ Asthana, N. C.; Nirmal, Anjali (2009). 《Urban Terrorism: Myths and Realities》. Jaipur: Shashi Jain for Pointer Publishers. 66쪽. ISBN 978-81-7132-598-6.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 ↑ Ingram, Brannon D. (June 2009). “Sufis, Scholars, and Scapegoats: Rashid Ahmad Gangohi (d. 1905) and the Deobandi Critique of Sufism”. 《The Muslim World》 (Chichester, West Sussex: Wiley-Blackwell) 99 (3): 478–501. doi:10.1111/j.1478-1913.2009.01281.x.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 ↑ Lewis, B.; Pellat, Ch.; Schacht, J., 편집. (1991) [1965]. 《Encyclopaedia of Islam》 2 2판. Leiden: Brill Publishers. 205쪽. ISBN 90-04-07026-5.
- ↑ Barbhuiya, Atiqur Rahman (2020년 1월 27일). 《Indigenous People of Barak Valley》 (영어). Notion Press. ISBN 978-1-64678-800-2.
- ↑ McDermott, Rachel Fell; Gordon, Leonard A.; Embree, Ainslie T.; Pritchett, Frances W.; Dalton, Dennis, 편집. (2014). 〈To Independence and Partition〉. 《Sources of Indian Traditions: Modern India, Pakistan, and Bangladesh》. Introduction to Asian Civilizations 2 3판.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457쪽. ISBN 978-0-231-13830-7. JSTOR 10.7312/mcde13830.15.
- ↑ 가 나 Ali, Asghar (2011년 4월 9일). “Islamic identity in secular India”. 《The Milli Gazette》 (영어).
- ↑ Timol, Riyaz (2019년 10월 14일). “Structures of Organisation and Loci of Authority in a Glocal Islamic Movement: The Tablighi Jama'at in Britain”. 《Religions》 (MDPI) 10 (10): 573. doi:10.3390/rel10100573.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 ↑ Reetz, Dietrich (2011). 〈The Tablīghī Madrassas in Lenasia and Azaadville: Local Players in the Global 'Islamic Field'〉. Tayob, Abdulkader; Niehaus, Inga; Weisse, Wolfram. 《Muslim Schools and Education in Europe and South Africa》. Münster: Waxmann Verlag. 85–88쪽. ISBN 978-3-8309-7554-0.
- ↑ 가 나 다 Pike, John (2011년 7월 5일). “Barelvi Islam”. GlobalSecurity.org. 2003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5일에 확인함.
- ↑ Sareen, Sushant (2005). 《The Jihad Factory: Pakistan's Islamic Revolution in the Making》. New Delhi: Har Anand Publications. 282쪽. ISBN 9788124110751.
- ↑ 가 나 Bennett Jones, Owen. “The Deobandis”. BBC., Bennett Jones, Owen. “The Deobandis: India”. BBC., Bennett Jones, Owen. “The Deobandis: Pakistan”., Bennett Jones, Owen. “The Deobandis: Britain”.
- ↑ Syed, Jawad; Pio, Edwina; Kamran, Tahir; Zaidi, Abbas, 편집. (2016). 《Faith-Based Violence and Deobandi Militancy in Pakistan》. London: Palgrave Macmillan. 371쪽. doi:10.1057/978-1-349-94966-3. ISBN 978-1-349-94965-6. LCCN 2016951736. 2020년 9월 8일에 확인함.
- ↑ Maley, William (2001). 《Fundamentalism Reborn? Afghanistan and the Taliban》. C Hurst & Co. 14쪽. ISBN 978-1-85065-360-8.
- ↑ Abbas, Tahir (2011). 〈Islamic political radicalism: origins and destinations〉. 《Islamic Radicalism and Multicultural Politics: The British Experience》. London: Routledge. 33–34쪽. ISBN 978-0-415-572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