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시오정
데시오정 天塩町 てしおちょう | |||||
---|---|---|---|---|---|
![]() | |||||
| |||||
국가 | ![]() | ||||
지방 | 홋카이도 지방 | ||||
도도부현 | 홋카이도 | ||||
지청/진흥국 | 루모이 진흥국 | ||||
군 | 데시오군 | ||||
시정촌코드 | 01487-7 | ||||
면적 | 353.56 km2 | ||||
인구 | 2,560명 [편집] (주민기본대장인구, 2025년 4월 30일) | ||||
인구 밀도 | 7.24명/km2 | ||||
정목 | 오야마진달래 | ||||
정화 | 해당화 | ||||
정조 | コガラ | ||||
정장 | 요시다 타다시 (吉田 忠) | ||||
정사무소 소재지 | 〒098-3398 홋카이도 데시오군 데시오정 新栄通 8초메 1466-113 북위 44° 53′ 18″ 동경 141° 44′ 43.3″ / 북위 44.88833° 동경 141.745361° | ||||
웹사이트 | 데시오정 ![]() | ||||
![]() | |||||
데시오정(일본어: 天塩町)은 일본 홋카이도 북부의 서해안에 위치한 정이다. 홋카이도에서 2번째로 긴 강인 데시오강의 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큼직한 가막조개의 산지로서 유명하다. 정명은 데시오강에서 유래한다.
강의 이름이기도 한 ‘데시오’는 아이누어의 ‘테시·오’(テシ・オ, 대들보가 있다)로부터 유래했다. 데시오강의 중류(나카가와군 비후카정 온네나이 부근)에 일찍이 대들보 모양의 바위가 강을 횡단하고 있었던 것에서 유래한다.
지리
[편집]루모이 관내 북부에 위치한다. 데시오강 하구에 위치하여 이 지역에 취락이 발전하고 있다.
기후
[편집]데시오정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7.9 (46.2) | 7.9 (46.2) | 13.6 (56.5) | 21.4 (70.5) | 25.9 (78.6) | 30.0 (86.0) | 33.8 (92.8) | 32.5 (90.5) | 32.3 (90.1) | 23.1 (73.6) | 17.2 (63.0) | 12.3 (54.1) | 33.8 (92.8)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2.3 (27.9) | −1.8 (28.8) | 1.9 (35.4) | 8.1 (46.6) | 14.0 (57.2) | 18.3 (64.9) | 22.3 (72.1) | 23.6 (74.5) | 20.8 (69.4) | 14.4 (57.9) | 6.7 (44.1) | 0.3 (32.5) | 10.5 (50.9) |
일일 평균 기온 °C (°F) | −5.4 (22.3) | −5.3 (22.5) | −1.4 (29.5) | 4.3 (39.7) | 9.6 (49.3) | 13.8 (56.8) | 18.1 (64.6) | 19.5 (67.1) | 16.2 (61.2) | 10.4 (50.7) | 3.5 (38.3) | −2.5 (27.5) | 6.7 (44.1)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9.9 (14.2) | −10.8 (12.6) | −6.1 (21.0) | −0.4 (31.3) | 4.6 (40.3) | 9.1 (48.4) | 14.0 (57.2) | 15.2 (59.4) | 10.7 (51.3) | 5.3 (41.5) | −0.1 (31.8) | −6.1 (21.0) | 2.1 (35.8) |
역대 최저 기온 °C (°F) | −30.6 (−23.1) | −28.5 (−19.3) | −22.0 (−7.6) | −11.0 (12.2) | −5.7 (21.7) | −2.9 (26.8) | 2.0 (35.6) | 4.5 (40.1) | −1.2 (29.8) | −5.2 (22.6) | −10.2 (13.6) | −25.5 (−13.9) | −30.6 (−23.1)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44.6 (1.76) | 31.5 (1.24) | 34.4 (1.35) | 41.4 (1.63) | 61.2 (2.41) | 56.0 (2.20) | 109.2 (4.30) | 123.5 (4.86) | 124.1 (4.89) | 127.0 (5.00) | 100.5 (3.96) | 60.1 (2.37) | 915.4 (36.04) |
평균 강설량 cm (인치) | 219 (86) | 167 (66) | 118 (46) | 14 (5.5) | 0 (0) | 0 (0) | 0 (0) | 0 (0) | 0 (0) | 1 (0.4) | 49 (19) | 191 (75) | 759 (297.9) |
평균 강우일수 | 16.4 | 12.0 | 10.2 | 9.5 | 9.5 | 8.8 | 9.1 | 9.4 | 11.7 | 15.1 | 16.5 | 17.2 | 145.4 |
평균 강설일수 | 23.0 | 20.1 | 16.7 | 2.3 | 0 | 0 | 0 | 0 | 0 | 0.1 | 5.5 | 20.2 | 87.9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52.7 | 78.7 | 138.3 | 166.5 | 185.3 | 153.9 | 150.8 | 159.8 | 173.7 | 127.4 | 54.7 | 31.7 | 1,473.5 |
출처: 일본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7년~현재)[1][2] |
인접한 자치체
[편집]역사
[편집]홋카이도 제2의 대하, 데시오강의 하구에 위치하고 또 하구부로부터 사로베트 원야에 걸쳐 길게 발달한 사주에 의해서 형성된 천연의 방파제(이 부분은 호로노베정에 속한다)에 의해 매우 좋은 항구를 형성해 메이지 시대에는 데시오강 유역의 삼림에서 벌채한 목재의 집적지이자 또 군청, 경찰, 영림서 등의 각종 행정시설이 놓여 도호쿠(道北)의 핵심 도시 중 하나로 번창했다.
- 1915년 - 2급 정촌제 시행, 데시오군 데시오촌이 되었다.
- 1924년 - 1급 정촌제 시행, 정으로 승격했다.
경제
[편집]주요 산업은 어업, 낙농이다. 가막조개의 어획량은 홋카이도 제일을 자랑한다
교통
[편집]도로
[편집]각주
[편집]- ↑ 観測史上1~10位の値(年間を通じての値). 일본 기상청. 2022년 2월 21일에 확인함.
- ↑ 気象庁 / 平年値(年・月ごとの値). 일본 기상청. 2022년 2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일본어) 데시오정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