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인구순 자치구 목록
다음은 2020년현재 설치된 특별시, 광역시산하 자치구들의 인구순 목록이다. 현재인구는 2020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기준이다.
- 또한 현재(위 기준의 인구)인구가 인구최고점을 넘었을 경우에는 표기하지 않았다.
- 분구되기 직전의 인구가 최고점일 경우, 해당인구를 인구최고점으로 표기하였다.
- 이후 주민등록 인구가 나올때마다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 서울은 빨간색■, 부산은 파란색■, 대구는 연두색■, 인천은 노란색■, 광주는 갈색■, 대전은 보라색■, 울산은 회색■으로 소속을 나타내었습니다.
- 광역시산하의 군은 군이 아닌 사실상 자치구로 분류되므로 함께 표기하였습니다.
구 명칭 | 인구최고점(해당 구 설치이후) 및 해당연도 | 현재인구 | 막대그래프 | 비고 |
---|---|---|---|---|
송파구 | 687,789명(1992년) | 668,498명 | ![]() ![]() ![]() ![]() ![]() ![]() | 1988년 강동구로부터 분리설치 |
강서구 | 782,701명(1987년) | 582,586명 | ![]() ![]() ![]() ![]() ![]() ![]() ![]() | 1977년 영등포구로부터 분리설치 |
달서구 | 610,752명(2013년) | 561,568명 | ![]() ![]() ![]() ![]() ![]() ![]() | 1988년 서구·남구일부로 분리설치 |
서구 | 544,147명(2020년) | 543,627명 | ![]() ![]() ![]() ![]() ![]() ![]() ![]() | 1988년 북구로부터 분리설치 |
강남구 | 824,659명(1979년) | 540,127명 | ![]() ![]() ![]() ![]() ![]() | 1975년 성동구로부터 분리설치 |
남동구 | 538,976명(2018년) | 526,337명 | ![]() ![]() ![]() ![]() ![]() ![]() ![]() | 1988년 남구로부터 분리설치 |
노원구 | 646,821명(2002년) | 523,708명 | ![]() ![]() ![]() ![]() ![]() ![]() ![]() | 1988년 도봉구로부터 분리설치 |
관악구 | 899,648명(1980년) | 497,082명 | ![]() ![]() ![]() ![]() ![]() ![]() ![]() ![]() | 1973년 영등포구로부터 분리설치 |
부평구 | 753,871명(1995년) | 495,882명 | ![]() ![]() ![]() ![]() ![]() ![]() ![]() ![]() | 1968년인천시 북부에 설치 |
은평구 | 511,497명(1994년) | 480,617명 | ![]() ![]() ![]() ![]() ![]() | 1979년 서대문구로부터 분리설치 |
서구 | 509,225명(2005년) | 478,872명 | ![]() ![]() ![]() ![]() ![]() ![]() ![]() | 1988년 중구로부터 분리설치 |
강동구 | 1,130,473명(1987년) | 458,604명 | ![]() ![]() ![]() ![]() ![]() ![]() ![]() | 1979년 강남구로부터 분리설치 |
양천구 | 507,247명(1993년) | 455,058명 | ![]() ![]() ![]() ![]() ![]() ![]() | 1988년강서구로부터 분리설치 |
북구 | 468,082명(2007년) | 440,736명 | ![]() ![]() ![]() ![]() | 1963년북부출장소를관할로 설치 |
성북구 | 1,117,245명(1973년) | 438,051명 | ![]() ![]() ![]() ![]() ![]() ![]() ![]() ![]() | 1949년동대문구·고양군일부에설치 |
북구 | 476,848명(2000년) | 431,256명 | ![]() ![]() ![]() ![]() ![]() ![]() | 1980년 서구·동구일부로 분리설치 |
서초구 | 450,504명(2015년) | 425,431명 | ![]() ![]() ![]() ![]() ![]() ![]() ![]() | 1988년 강남구로부터 분리설치 |
수성구 | 468,757명(1998년) | 424,947명 | ![]() ![]() ![]() ![]() ![]() ![]() ![]() | 1980년 동구로부터 분리설치 |
광산구 | 407,371명(2020년) | 406,126명 | ![]() ![]() ![]() ![]() | 1988년 광산군·송정시지역에 설치 |
구로구 | 747,944명(1991년) | 405,194명 | ![]() ![]() ![]() ![]() ![]() | 1980년 영등포구로부터 분리설치 |
해운대구 | 428,912명(2013년) | 402,518명 | ![]() ![]() ![]() ![]() ![]() | 1980년 동래구로부터 분리설치 |
미추홀구 | 665,654명(1987년) | 402,392명 | ![]() ![]() ![]() ![]() ![]() | 1968년 인천시남부에 설치 |
중랑구 | 477,850명(1997년) | 395,194명 | ![]() ![]() ![]() ![]() ![]() ![]() ![]() | 1988년 동대문구로부터 분리설치 |
동작구 | 405,771명(1986년) | 391,896명 | ![]() ![]() ![]() ![]() ![]() ![]() ![]() | 1980년 관악구로부터 분리설치 |
연수구 | -명 | 385,973명 | ![]() ![]() ![]() ![]() ![]() | 1995년 남구로부터 분리설치 |
영등포구 | 469,862명(1991년) | 378,276명 | ![]() ![]() ![]() ![]() ![]() | 1943년 영등포출장소가 구로 승격 |
마포구 | 441,096명(1986년) | 372,320명 | ![]() ![]() ![]() ![]() ![]() ![]() ![]() ![]() | 1944년 서대문구로부터 분리설치 |
부산진구 | 812,250명(1975년) | 359,375명 | ![]() ![]() ![]() ![]() ![]() | 1957년 부산진출장소가 구로 승격 |
유성구 | 352,604명(2020년) | 351,790명 | ![]() ![]() ![]() ![]() ![]() ![]() | 1989년 서구·대덕군일부로 분리설치 |
광진구 | 396,585명(1998년) | 347,285명 | ![]() ![]() ![]() ![]() | 1995년 성동구로부터 분리설치 |
동대문구 | 942,287명(1986년) | 343,377명 | ![]() ![]() ![]() ![]() ![]() | 1943년 동대문출장소가 구로 승격 |
동구 | 435,525명(1980년) | 342,432명 | ![]() ![]() ![]() ![]() ![]() ![]() | 1963년 동부출장소가 구로 승격 |
도봉구 | 941,548명(1987년) | 326,082명 | ![]() ![]() ![]() ![]() ![]() | 1973년 성북구로부터 분리설치 |
남구 | 349,064명(2013년) | 320,716명 | ![]() ![]() ![]() ![]() ![]() | 1985년 울산시 남부에 설치 |
사하구 | 394,296명(1997년) | 312,840명 | ![]() ![]() ![]() ![]() | 1983년 부산시 직할 사하출장소가 구로 승격 |
서대문구 | 1,019,110명(1975년) | 312,325명 | ![]() ![]() ![]() ![]() ![]() | 1943년 서대문출장소가 구로 승격 |
강북구 | 395,471명(1995년) | 308,569명 | ![]() ![]() ![]() ![]() | 1995년 도봉구로부터 분리설치 |
서구 | 472,268명(1991년) | 297,214명 | ![]() ![]() ![]() ![]() ![]() | 1973년 광주시 서부에 설치 |
계양구 | 343,816명(2010년) | 297,148명 | ![]() ![]() ![]() ![]() ![]() | 1995년 북구로부터 분리설치 |
성동구 | 949,503명(1975년) | 294,272명 | ![]() ![]() ![]() ![]() ![]() | 1943년 성동출장소가 구로 승격 |
북구 | 575,560명(1995년) | 284,872명 | ![]() ![]() ![]() ![]() ![]() | 1978년 부산진구로부터 분리설치 |
동래구 | 879,073명(1987년) | 271,187명 | ![]() ![]() ![]() | 1957년 동래출장소가 구로 승격 |
남구 | 550,289명(1992년) | 268,249명 | ![]() ![]() ![]() | 1975년 부산진구·동래구일부로 분리설치 |
달성군 | -명 | 258,945명 | ![]() ![]() ![]() ![]() ![]() ![]() | 1995년 경상북도에서 대구광역시로 편입 |
중구 | 540,000명(1987년) | 236,492명 | ![]() ![]() ![]() ![]() ![]() ![]() ![]() | 1977년 중부출장소, 서부출장소가 구로 승격 |
금정구 | 322,381명(1993년) | 233,303명 | ![]() ![]() ![]() ![]() ![]() ![]() | 1988년 동래구로부터 분리설치 |
금천구 | 288,541명(1995년) | 232,003명 | ![]() ![]() ![]() ![]() ![]() ![]() | 1995년 구로구로부터 분리설치 |
용산구 | 334,537명(1976년) | 230,151명 | ![]() ![]() ![]() ![]() ![]() | 1943년 용산출장소가 구로 승격 |
울주군 | 223,429명(2019년) | 222,540명 | ![]() ![]() ![]() ![]() ![]() ![]() | 1995년 울산시와 통합, 이후1997년 울주군으로 개편 |
동구 | 369,241명(1988년) | 222,446명 | ![]() ![]() ![]() ![]() ![]() ![]() | 1977년 동부출장소, 북부출장소가 구로 승격 |
북구 | -명 | 218,882명 | ![]() ![]() ![]() ![]() ![]() | 1997년 중구·울주구일부로 분리설치 |
중구 | 286,352명(1996년) | 218,096명 | ![]() ![]() ![]() ![]() ![]() | 1985년 울산시북부에 설치 |
남구 | 262,514명(1995년) | 215,701명 | ![]() ![]() ![]() ![]() ![]() | 1995년 서구·광산구일부로 분리설치 |
사상구 | 301,127명(2001년) | 213,178명 | ![]() ![]() ![]() | 1995년 북구로부터 분리설치 |
연제구 | 249,140명(1995년) | 210,146명 | ![]() ![]() ![]() ![]() ![]() | 1995년 동래구로부터 분리설치 |
수영구 | 203,547명(1995년) | 176,885명 | ![]() ![]() ![]() | 1995년 남구로부터 분리설치 |
대덕구 | 231,372명(2001년) | 176,293명 | ![]() ![]() ![]() ![]() | 1989년 동구로부터 분리설치 |
기장군 | -명 | 173,918명 | ![]() ![]() | 1995년 양산군 5개읍면이 부산광역시에 편입 및 기장군설치 |
서구 | 576,583명(1987년) | 171,060명 | ![]() ![]() ![]() ![]() ![]() | 1963년 서부출장소가 구로 승격 |
동구 | 200,737명(1998년) | 157,111명 | ![]() ![]() ![]() ![]() | 1988년 울산시 직할 방어진출장소가 구로 승격 |
종로구 | 334,789명(1975년) | 149,549명 | ![]() ![]() ![]() ![]() | 1943년 종로출장소가 구로 승격 |
남구 | 358,527명(1987년) | 146,658명 | ![]() ![]() | 1963년 남부출장소가 구로 승격 |
중구 | -명 | 139,646명 | ![]() ![]() | 1968년 인천시청 일대에 설치 |
강서구 | -명 | 137,229명 | ![]() ![]() | 1989년 북구·김해군일부로 분리설치 |
중구 | 282,971명(1975년) | 125,505명 | ![]() ![]() ![]() ![]() ![]() | 1943년 중부출장소가 구로 승격 |
영도구 | 216,162명(1975년) | 113,621명 | ![]() ![]() ![]() | 1957년 영도출장소가 구로승격 |
서구 | 368,134명(1975년) | 108,119명 | ![]() ![]() ![]() | 1957년 서부출장소가 구로승격 |
동구 | 399,297명(1980년) | 102,645명 | ![]() ![]() ![]() ![]() ![]() ![]() | 1973년 광주시동부에 설치 |
동구 | 244,421명(1971년) | 89,031명 | ![]() ![]() ![]() ![]() ![]() | 1957년 동부출장소가 구로승격 |
중구 | 219,547명(1980년) | 76,727명 | ![]() ![]() ![]() | 1963년 중부출장소가 구로승격 |
강화군 | 118,482명(1966년) | 69,074명 | ![]() ![]() ![]() | 1995년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편입 |
동구 | 176,839명(1975년) | 62,747명 | ![]() ![]() ![]() ![]() ![]() | 1968년 인천시중동부지역에 설치 |
중구 | 126,679명(1966년) | 41,501명 | ![]() ![]() | 1957년 중부출장소가 구로승격 |
옹진군 | 55,224명(1973년) | 20,497명 | ![]() ![]() | 1995년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편입 |
새막대의 길이는 천의자리=1로하여 0.75를 곱하여 나타내시길 바랍니다. (예시:송파구(671,312명= 671.3×0.75=503.475) 또한 십의 자리가 5 이상이거나 1의자리가 5 이상일 때도 반올림 하여 곱한 뒤 나타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