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약학대학
약학대학은 약사를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둔다. 약학대학의 교육과정은 현재 4년의 학부 과정이였으나, 2009년부터 6년제 교과과정을 시행을 하고 있다.[1] 6년제 교과과정은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을 치러야 입학할 수 있다. 학교에 따라 약학과, 제약학과, 약과학과, 한약학과[2], 혁신신약학과가 개설돼 있다. 이중 약학과와 제약학과가 약사에 관한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약사가 되기 위해서는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약사시험에 합격해서 면허를 취득하여야 한다.
현황
[편집]권역 시·도 대학 정원 설립 주체 설립 연도 홈페이지 수도권(총 848명) 서울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40명 사립 1955년 [1] 서울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80명 사립 1954년 [2] 서울 동덕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40명 사립 1955년 [3][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서울 삼육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사립 1982년 [4] 서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63명 국립 1950년 [5]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부 80명 사립 1953년 [6]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120명 사립 1945년 [7] 보관됨 2007-08-20 - 웨이백 머신 서울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부 120명 사립 1953년 [8] 경기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사립 2011년 경기 동국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사립 2011년 [9] 경기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65명 사립 1953년 [10] 경기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사립 2011년 [11] 경기 차의과학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사립 2011년 [12] 경기 한양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사립 2011년 [13] 보관됨 2015-03-01 - 웨이백 머신 인천 가천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사립 2011년 [14][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인천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사립 2011년 [15][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강원권(총 50명) 강원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50명 국립 1982년 [16] 충청권(총 160명) 대전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부 50명 국립 1979년 [17] 세종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사립 2011년 [18] 충남 단국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사립 2011년 [19][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충북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50명 국립 1956년 [20] 영남권(총 350명) 대구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사립 2011년 대구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국립 2011년 경북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부 50명 사립 1953년 [21] 경북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부 70명 사립 1954년 [22] 부산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50명 사립 1981년 [23] 부산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부 60명 국립 1953년 [24] 경남 경상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국립 2011년 경남 인제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사립 2011년 호남권(총 305명)
전북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40명 사립 1965년 [25] 전북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40명 사립 1979년 [26] 전북 전북대학교 약학대학 30명 국립 2020년 광주 전남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부 60명 국립 1982년 광주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75명 사립 1954년 [27] 전남 목포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국립 2011년 전남 순천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30명 국립 2011년 제주권(총 30명) 제주 제주대학교 약학대학 30명 국립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