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공공자전거
이 목록은 대한민국의 공공자전거를 정리한 것이다. 2022년 자료를 기본으로 작성하였다.
지방자치단체
[편집]현재 운영
[편집]명칭 | 서비스 지역 | 비고 |
---|---|---|
따릉이 | 서울특별시 | |
TAZO | 고양시, 수원시, 인천광역시 연수구 | |
타슈 | 대전광역시 | |
백제씽씽 | 공주시, 부여군 | |
어울링 | 세종특별자치시 | |
타랑께 | 광주광역시 | |
여수랑 | 여수시 | |
온누리 | 순천시 | |
꽃싱이 | 전주시 | |
경북도청 공익자전거 | 예천군 | |
별타고 | 영천시 | |
타실라 | 경주시 | |
타반나 | 부산광역시 기장군 | |
누비자 | 창원시 | 최초의 무인대여자전거 |
그린씽 | 거창군 | |
타고가야 | 김해시 | |
양산시 공공자전거 | 양산시 | |
e바퀴로 | 원주시 |
과거
[편집]민간
[편집]명칭 | 서비스 지역 | 비고 |
---|---|---|
알파카 | 서울, 수원, 안성, 안양, 오산, 용인, 평택, 화성, 성남, 안산, 양평, 경기광주, 원주, 홍천, 아산, 청주, 충주, 제천, 대전, 천안, 예산, 옥천, 계룡, 금산, 전주, 광양, 대구, 안동, 영주, 예천, 구미, 부산, 울산, 진주, 창원, 양산, 김해 | |
일레클 | 마포(여의도)[1], 과천, 수원, 김포, 남양주, 부천, 시흥, 안양, 의왕, 양주, 파주, 화성, 오산, 군포, 남양주, 천안, 아산, 세종, 충주[2], 부산(강서), 김해, 창원(성산), 제주[3] | |
유니콘바이크 | 은평[1] | |
에브리바이크 | 서울, 광명, 안양, 의왕, 군포, 안산, 평택 | |
메리바이크(메리쉐어링) | 서울(용산·서초·강남), 수원, 제부도[4], 세종, 군산, 여수, 경주, 제주, 서귀포 | |
지바이크(GCOO, 지쿠) | 서울(서초,강남,신사,논현,대치,도곡,노원,강서.강동), 인천, 고양, 수원, 안산, 용인, 춘천, 대전, 광주, 순천, 대구, 경산, 안동, 제주, 충주 | |
카카오T 바이크 | 송파[1], 성남, 인천, 하남, 안산, 김포, 고양, 파주, 대전, 청주, 전주, 광주, 대구, 울산 | |
ZET | 대전, 제주[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