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동월곡댁

대산동월곡댁
(大山洞月谷宅)
대한민국 경상북도민속문화재
종목민속문화재 (구)제46호
(1983년 6월 20일 지정)
수량일곽
시대일제강점기
관리이수빈 
위치
성주 대산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성주 대산리
성주 대산리
주소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한개2길 23-20 (대산리)
좌표북위 35° 55′ 50″ 동경 128° 19′ 39″ / 북위 35.93056° 동경 128.32750°  / 35.93056; 128.32750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대산동월곡댁(大山洞月谷宅)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이다. 1983년 6월 20일 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 제46호로 지정되었다.

지정 사유

[편집]

한개마을 북쪽 영취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한옥으로 대문에서 내려다 보이는 가옥 경치가 눈길을 끄는 곳이다. 1911년 이전희씨가 지은 집으로 가묘와 별당은 1930년에 늘려 지은 것이다. 집 이름은 이전희씨의 부인이 초전면 월곡동에 시집왔다하여 붙였다고 한다.

건물들은 대문채, 안채, 사랑채, 중문채, 고방채, 사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침이 一자형을 갖추고 있고 아래채, 고방채, 중문채 등은 튼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문채는 남쪽에 있으며 안채의 공간 구조는 규칙적이고 정교하다. 가장 넓은 터를 차지하고 있는 사랑채는 안채와 달리 담과 건물들의 선이 틀에서 벗어난 공간 구조를 갖추고 있다. 각 건물들은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모든 활동이 안마당을 중심으로 일어나도록 꾸몄다. 이것은 이 마을 고유의 건축배치법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주위의 다른 집들과 함께 좋은 비교가 되고 있다.

당시 생활양식과 건축사 민속을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되는 조선시대 양반집이다.

지정 내역

[편집]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
(단체)
지정일 참조
46-1호 안채
(안채)
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422 이수빈 1983년 6월 20일 지정
46-2호 사랑채
(사랑채)
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422 이수빈 1983년 6월 20일 지정
46-3호 대문채
(대문채)
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422 이수빈 1983년 6월 20일 지정
46-4호 중문채
(중문채)
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422 이수빈 1983년 6월 20일 지정
46-5호 고방채
(고방채)
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422 이수빈 1983년 6월 20일 지정
46-6호 사당
(사당)
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422 이수빈 1983년 6월 20일 지정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