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팔공산 동봉 석조약사여래입상
![]() | |
![]() | |
종목 | 유형문화재 (구)제20호 (1988년 5월 30일 지정) |
---|---|
수량 | 1구 |
위치 | |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 산1-3번지 |
좌표 | 북위 36° 0′ 34″ 동경 128° 40′ 8″ / 북위 36.00944° 동경 128.66889°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대구 팔공산 동봉 석조약사여래입상(大邱 八公山 東峰 石造藥師如來立像)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 팔공산 중앙봉의 정상에 위치하고 있는 전체 높이 6m에 달하는 거대한 석불입상이다. 1988년 5월 30일 대구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되었다.
현지 안내문
[편집]대구 팔공산 중앙봉의 정상에 위치하고 있는 전체 높이 6m에 달하는 거대한 석불입상이다.[1]
얼굴은 두 볼이 풍만하고 입가에 약간의 미소를 띠고 있어서 자비스러움을 느끼게 한다. 신체에 비해 큰 오른팔은 안쪽으로 늘어뜨렸는데 다섯손가락의 길이가 고르지 않아 부자연스러우며, 왼팔은 가슴 앞으로 올려 무언가를 잡고 있는 듯하나 확실하지 않다. 옷자락 밖으로 노출된 발끝은 발가락의 조각이 뚜렷하여 거대한 불상임에도 안정감을 준다.[1]
거대한 불상에 잘 조화되어 있는 옷주름이나 인상 등의 조각수법으로 보아 관봉(冠峰)의 석조여래좌상과 같은 시대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추정된다.[1]
개요
[편집]거대한 불상에 잘 조화되어 있는 옷주름이나 인상 등의 조각 수법으로 보아 관봉(冠峰)의 석조여래좌상과 같은 시대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추정된다.[2][3]
평가
[편집]상체에 비해 하체가 넓어 보이며 왼손보다 아래에 있는 오른손이 과장되어 보인다. 이는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보는 앙각(仰角, low angle)의 표현기법이다.[3]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입상은 마애불과 석불의 장점만을 취한 듯 큰 바위에 환조(丸彫)에 가까운 고부조로 새겼다. 머리는 소발이며 육계는 두툼하지만 높이는 낮다. 양쪽의 귀는 목까지 길게 늘어졌으나 목이 짧아 삼도가 불분명하다. 법의는 통견이다.[3]
얼굴은 두 볼이 풍만하고 입가에 약간의 미소를 띠고 있어서 자비스러움을 느끼게 한다. 신체에 비해 큰 오른팔은 안쪽으로 늘어뜨렸는데 다섯손가락의 길이가 고르지 않아 부자연스러우며,[2] 왼팔은 가슴 앞으로 올려 무언가를 잡고 있는 듯하나 확실하지 않다.[2][3] 옷자락 밖으로 노출된 발끝은 발가락의 조각이 뚜렷하여 거대한 불상임에도 안정감을 준다.[2]
각주
[편집]같이 보기
[편집]- 대구 팔공산 마애약사여래좌상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
참고 자료
[편집]- 대구 팔공산 동봉 석조약사여래입상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