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령고원전지훈련장
전체 명칭 | 대관령고원전지훈련장 주경기장 |
---|---|
원어 명칭 | Daegwallyeong Gowon Training Field |
위치 |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올림픽로 220 (횡계리 346번지) |
좌표 | 북위 37° 40′ 02″ 동경 128° 42′ 21″ / 북위 37.667344° 동경 128.705882° |
기공 | 2018년 6월[1] |
건설 기간 | 5개월 |
개장 | 2018년 11월[2][3] |
소유 | 평창군청[2] |
운영 | 평창군청 경제건설국 시설관리과[2][4] |
건설 비용 | 33억 원[2] |
표면 | 마사 (필드), 우레탄 (트랙) |
규모 | 필드: 105 × 68 m 트랙: 400 m × 8 레인 |
좌석 | 750석[2][5] |
수용 인원 | 900명[2] |
![]() |
대관령고원전지훈련장(大關嶺高原轉地訓鍊場, Daegwallyeong Gowon Training Field)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에 있는 스포츠 시설이다. 마사 필드와 우레탄 트랙이 갖춰져 있는 경기장이며, 평창올림픽스타디움이 철거된 부지에 건설되었다.
역사
[편집]2011년 5월 4일에 대관령전지훈련장이 준공되었다. 이후 2018년 동계 올림픽과 2018년 동계 패럴림픽 개최를 위해 평창올림픽스타디움이 건설되면서 철거되었다[6][7]. 이후 2018년 6월에 평창올림픽스타디움이 철거되면서 해당 부지에 대관령고원전지훈련장이 건설되었다.
각주
[편집]- ↑ 김경석 (2019년 2월 4일). “[평창은 지금] ①올림픽 시설 어떻게 활용되나”. 뉴스원.
- ↑ 가 나 다 라 마 바 《2023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22년 12월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4.
- ↑ “제237회 평창군의회(임시회) 본회의 회의록”. 평창군의회. 2018년 7월 12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평창군청 조직도”. 평창군청.
- ↑ “대관령고원전지훈련장”. 평창군청.
- ↑ 《2016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2015년 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16.
- ↑ 《대관령 전지훈련장 조성 정책실명제 사업관리이력서》. 평창군청.
참고 문헌
[편집]- “대관령고원전지훈련장”. 평창군청.
- 《2019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18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0.
- 《2023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22년 12월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