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 (플랫폼)
![]() | |
개발자 | (주)당근마켓 |
---|---|
서비스 이름 | 당신 근처의 당근 |
언어 | 한국어, 영어 등 |
웹사이트 | https://www.daangn.com/ |
당근(Daangn)은 대한민국의 중고 거래, 소상공인 홍보 등 생활정보 소프트웨어다. 중고거래, 지역업체, 질문답변, 부동산, 구인구직 등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생활정보를 검색하고 게시자와 실시간으로 채팅할 수 있다.[1] 당근마켓 서비스 이용자 수가 급증했으며, 중고거래 앱 관심도 설문조사에서 중고나라보다 당근마켓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2]
연혁
[편집]- 2023. 8. 당근마켓에서 당근으로 서비스명 변경
- 2022. 5. 주 이용자 수 1200만 명, 월 이용자 수 1800만 명, 누적 가입자 3000만 명[3]
- 2021. 3. 주 이용자 수 1000만 명, 월 이용자 수 1500만 명, 누적 가입자 2000만 명[4]
- 2021. 2. 일본 진출
- 2020. 9. 월 사용자 수 1000만 명[5]
- 2019. 12. 구글 플레이 올해의 베스트 앱 대상 선정[6]
- 2019. 9. 알토스벤처스, 굿워터 캐피탈, 소프트뱅크 벤처스, 카카오벤처스, 캡스톤파트너스, 스트롱벤처스로부터 400억원의 시리즈C 라운드 투자유치
- 2019. 5. 누적 다운로드 600만, 월 방문자 수 250만 명
- 2018. 1. 가입자 수 100만 명 달성, 지역 광고주를 위한 광고주 센터 오픈
- 2016. 12. (주)엔사십이에서 (주)당근마켓으로 사명 변경
- 2015. 7. 법인 (주)엔사십이 설립, 직장인 기반 '판교장터' 앱 개발
기능
[편집]중고 거래
[편집]GPS 값을 근거로 지역 인증을 받은 사용자들끼리 중고 거래를 할 수 있다. 거래 게시글 피드, 커뮤니티, 채팅 기능을 지원한다.
지역 업체 광고
[편집]소상공인들이 광고비를 내고 자신의 업체를 광고 할 수 있다.[7][8]
각주
[편집]- ↑ “당근마켓 소개”. 당근마켓. 2020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중고나라’ 제친 ‘당근마켓’, 중고거래 소비자 관심도 1위”. 2021년 4월 1일. 2021년 4월 1일에 확인함.
- ↑ “당근마켓 "국민 5명 중 1명은 매주 이용"…누적 가입자 3000만명 돌파”. 뉴스1. 2022년 6월 14일. 2022년 6월 14일에 확인함.
- ↑ 박대의 기자 (2021년 4월 12일). “당근마켓 1주일에 1000만명 접속…"구매자 겸 판매자가 대부분"”. 매일경제. 2021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당근마켓, 월 사용자수 1000만...새로운 '국민앱'의 탄생”. 2020년 9월 9일. 2020년 9월 10일에 확인함.
- ↑ “당근마켓, 구글플레이 올해의 베스트앱 대상”. Platum. 2020년 3월 18일에 확인함.
- ↑ ““이웃과 중고 거래할 수 있냐고요? 당근이죠!””. 조선일보. 2020년 1월 3일. 2020년 4월 10일에 확인함.
- ↑ “구글도 인정한 당근마켓…"동네서 사고파니 사기 줄고 정 쑥쑥"”. 이데일리. 2019년 12월 26일. 2020년 4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당근
- 공식 웹사이트
- Karrot Canada - Canada Website
- Karrot US - US Website
- Karrot UK - UK Website
- Karrot Japan - Japan Website
- 당근 - 페이스북
- (영어) Daangn - 깃허브
![]() | 이 글은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