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 용연사 금강계단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
(達城 龍淵寺 金剛戒壇)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구)제539호
(1971년 7월 7일 지정)
수량1기
시대조선시대
소유용연사
위치
달성 용연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달성 용연사
달성 용연사
주소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반송리 915번지 용연사
좌표북위 35° 44′ 56″ 동경 128° 31′ 10″ / 북위 35.74889° 동경 128.51944°  / 35.74889; 128.51944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達城 龍淵寺 金剛戒壇)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 용연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계단(戒壇, 를 수여하는 식장)이다. 석가모니사리가 봉안되어 있다. 1971년 7월 7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539호로 지정되었고,[1] 2010년 12월 27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A]

개요

[편집]

계단(戒壇)은 계(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를 수여하는 식장으로, 이 곳에서 승려의 득도식을 비롯한 여러 의식이 행하여 진다. 용연사 내의 한적한 곳에 자리잡은 이 계단은 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임진왜란(1592) 때 난을 피해 묘향산으로 옮겼던 통도사의 부처사리를 사명대사의 제자 청진이 다시 통도사로 옮길 때 용연사의 승려들이 그 일부를 모셔와 이곳에 봉안하였다 한다.

돌난간이 둘러진 구역 안에 마련된 계단은 널찍한 2단의 기단(基壇)위로 종모양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은 네 모서리마다 4천왕상(四天王像)을 1구씩 세워두고, 위층 기단은 4면에 8부신상(八部神像)을 돋을새김하였는데, 뛰어난 조각솜씨는 아니지만 섬세하고 균형감이 있어 단조로운 구조에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조선시대에 유행한 양식을 보이고 있는 탑신은 별다른 꾸밈을 하지 않은 채 꼭대기에 큼직한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를 조각해 두었다.

절 안에 세워져 있는 석가여래비에는, 석가의 사리를 모시고 이 계단을 쌓았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기록을 통해 조선 광해군 5년(1613)에 계단이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구조가 섬세하고 조각기법이 예리하며, 특히 17세기 초에 만들어진 작품으로서 당시의 석조건축과 조각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사진

[편집]

각주

[편집]
내용
  1. 지정 당시 명칭은 용연사석조계단(龍淵寺石造戒壇)이었고, 2010년 12월 27일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達城 龍淵寺 金剛戒壇)으로 변경되었다.[2]
출처
  1. 관보 제5897호 1971년 7월 13일. 51쪽. 문화공보부고시제158호. 문화재〈보물〉지정 목록. 문화공보부장관. 2016년 5월 15일 확인함.
  2. 관보 제17413호 보관됨 2017-10-19 - 웨이백 머신 2010년 12월 27일. 291-318쪽. 304쪽. 문화재청고시제2010-133호(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석조문화재> 지정명칭 변경). 문화재청장. 2016년 5월 10일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