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트롤렌
![]()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1-[5-(4-nitrophenyl)-2-furyl]methylideneamino imidazolidine-2,4-dion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7261-97-04 |
ATC 코드 | M03CA01 |
PubChem | 2952 |
드러그뱅크 | DB01219 |
ChemSpider | 2847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14H10N4O5 |
분자량 | 314.253 g/mol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70%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Liver |
생물학적 반감기 | ? |
배출 | Biliary, renal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C(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Oral, intravenous |
단트롤렌 나트륨(Dantrolene sodium)은 골격근에 직접 작용하는 근이완제이다. Ca2+ 이온이 근소포체(sarcoplasmic reticulum)로부터 유리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근육 세포에서의 흥분과 수축의 연결(excitation-contraction coupling)을 차단하는데, 이는 근이 이완되게 한다. 따라서 이 약물은 중추신경이나 근신경접합부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골격근에 직접 작용하여 근이완을 일으킨다.[1] 경직 증상의 치료에 주로 쓰이고[2] 드물게 악성고열증(malignant hyperthermia)에 쓰인다[1]
대한민국에서는 경질캡슐제인 아노렉스 캡슐(25mg)과 주사제인 단트롤렌 주(20mg)가 유통되고 있다.
효능효과
[편집]캡슐제
[편집]식약처에서 골격근이완제로 분류하는 전문의약품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아노렉스 캡슐(25mg)을 유영제약에서 제조하고 판매한다. 척추손상, 발작, 뇌성마비 또는 다발성경화증 등의 중증 만성 질환으로 인한 경직 증상의 치료에 주로 쓰이나, 류마티스 질환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주사제
[편집]식약처에서 따로 분류되지 않는 대사성 의약품으로 분류하는 전문의약품이며, 희귀의약품이다. Procter & Gamble Pharmaceuticals에서 제조하고 한국희귀의약품센터에서 수입한다. 악성고열증 위기를 가지고 있는 환자나 악성증후군 환자에게 사용한다.[3]
각주
[편집]- ↑ 가 나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약물학분과회 (2012. 2). 《약물학 제 12판》. 신일북스. 138쪽. ISBN 978-89-5702-301-3.
- ↑ (재)약학정보원. “아노렉스캡슐25mg”.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2016. 07. 04.에 확인함.
- ↑ “(재)약학정보원 - 국내유일 종합 의약품정보제공 공익기관”. 《www.health.kr》. 2016년 7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