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하이드로프테로산
![]() | |
이름 | |
---|---|
IUPAC 이름 4-{[(2-amino-4-oxo-1,4,7,8-tetrahydropteridin-6-yl)methyl]amino}benzo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1226443 | |
ChEBI | |
ChemSpider | |
KEGG | |
PubChem CID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14H14N6O3 | |
몰 질량 | 314.3 g/mol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다이하이드로프테로산(영어: dihydropteroate)은 폴산 합성의 중요한 대사 중간생성물이다. 다이하이드로프테로산은 다이하이드로프테로산 생성효소에 의해 파라-아미노벤조산(PABA)로부터 생성되는 프테린이다.[1]
![]() |
설폰아마이드와 같은 정균제는 다이하이드로프테로산 생성효소를 표적으로 한다. 다이하이드로프테로산 생성효소의 저해 효과는 또 다른 정균제인 트라이메토프림에 의한 다이하이드로폴산 환원효소의 저해 효과와 비슷하다. 트라이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MP-SMX) 조합과 같은 이 두 가지 유형의 약물 조합은 일반적으로 재발성 요로, 이질균, 살모넬라 및 기포자충(Pneumocystis jivoreci)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Hevener, Kirk E; Yun, Mi-Kyung; Qi, Jianjun; Kerr, Iain D; Babaoglu, Kerim; Hurdle, Julian G; Balakrishna, Kanya; White, Stephen W; Lee, Richard E (2010). “Structural Studies of Pterin-Based Inhibitors of Dihydropteroate Synthase”.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53 (1): 166–177. doi:10.1021/jm900861d. PMC 2804029. PMID 19899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