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고정
다이고정 大子町 だいごまち | |||||
---|---|---|---|---|---|
![]() | |||||
| |||||
국가 | ![]() | ||||
지방 | 간토 지방 | ||||
도도부현 | 이바라키현 | ||||
군 | 구지군 | ||||
시정촌코드 | 08364-0 | ||||
면적 | 325.76 km2 | ||||
인구 | 13,626명 [편집] (추계인구, 2025년 5월 1일) | ||||
인구 밀도 | 41.8명/km2 | ||||
정목 | 너도밤나무 | ||||
정화 | 차 | ||||
정조 | 원앙 | ||||
정장 | 高梨哲彦 | ||||
정사무소 소재지 | 〒319-3526 이바라키현 구지군 다이고정 오이자 다이고 866번지 북위 36° 46′ 5.2″ 동경 140° 21′ 18.8″ / 북위 36.768111° 동경 140.355222° ![]() | ||||
웹사이트 | 다이고정 ![]() | ||||
![]() | |||||
다이고정(일본어: 大子町 다이고마치[*])은 이바라키현 북서부에 있는 구지군의 정이다.
일본 3대 폭포의 하나인 "후쿠로다 폭포"로 알려진 정이며, 오쿠쿠지 지역의 중심이다. 온천이나 린고 사냥으로도 유명하다. 일찍이 인구가 42,000명을 넘었으나 지금은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다른 기타칸토의 각 현에 비해 눈이 적은 이바라키현에 있고, 후쿠로다 폭포가 빙폭으로서 알려질 만큼 있어 특히 한랭한 지역이다.
역사
[편집]-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시행에 의해 구지군 다이고촌이 성립하였다.
- 1891년 7월 20일 - 다이고촌이 정으로 승격해 다이고정이 되었다.
- 1934년 12월 4일 - 스이군선이 전선 개통되었다.
- 1953년 9월 18일 - 국도 제118호선이 제정되었다.
- 1955년 3월 31일 - 후쿠로다촌, 미야카와촌, 사하라촌, 구로사와촌, 나미세촌, 가미오가와촌, 시모오가와촌의 일부와 신설합병해 새로운 다이고정이 성립하였다.
- 1993년 6월 1일 - 국도 제461호선이 제정되었다.
- 2019년 10월 12일 - 태풍 19호로 인해 정사무소 본청사가 침수되고 575채의 건물 피해가 발생하였다.
교통
[편집]철도
[편집]도로
[편집]인구
[편집]연도 | 인구 | ±% |
---|---|---|
1950 | 44,784 | — |
1960 | 40,178 | −10.3% |
1970 | 32,953 | −18.0% |
1980 | 29,524 | −10.4% |
1990 | 27,067 | −8.3% |
2000 | 23,892 | −11.7% |
2010 | 20,041 | −16.1% |
기후
[편집]다이고정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17.9 (64.2) | 22.5 (72.5) | 26.0 (78.8) | 31.5 (88.7) | 35.5 (95.9) | 36.5 (97.7) | 38.3 (100.9) | 39.0 (102.2) | 37.3 (99.1) | 32.0 (89.6) | 24.3 (75.7) | 24.1 (75.4) | 39.0 (102.2)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8.2 (46.8) | 9.3 (48.7) | 12.9 (55.2) | 18.5 (65.3) | 23.5 (74.3) | 26.2 (79.2) | 29.9 (85.8) | 31.3 (88.3) | 27.1 (80.8) | 21.3 (70.3) | 15.7 (60.3) | 10.5 (50.9) | 19.5 (67.2) |
일일 평균 기온 °C (°F) | 0.6 (33.1) | 1.8 (35.2) | 5.4 (41.7) | 10.9 (51.6) | 16.2 (61.2) | 20.1 (68.2) | 23.9 (75.0) | 24.9 (76.8) | 21.0 (69.8) | 14.8 (58.6) | 8.3 (46.9) | 2.8 (37.0) | 12.6 (54.6)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5.1 (22.8) | −4.2 (24.4) | −1.0 (30.2) | 4.2 (39.6) | 10.2 (50.4) | 15.6 (60.1) | 20.0 (68.0) | 20.9 (69.6) | 16.9 (62.4) | 10.2 (50.4) | 2.9 (37.2) | −2.7 (27.1) | 7.3 (45.2) |
역대 최저 기온 °C (°F) | −15.6 (3.9) | −14.0 (6.8) | −11.0 (12.2) | −6.0 (21.2) | −0.6 (30.9) | 5.6 (42.1) | 10.3 (50.5) | 11.3 (52.3) | 4.6 (40.3) | −1.7 (28.9) | −6.2 (20.8) | −10.8 (12.6) | −15.6 (3.9)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38.9 (1.53) | 42.7 (1.68) | 92.1 (3.63) | 115.8 (4.56) | 134.0 (5.28) | 148.0 (5.83) | 203.6 (8.02) | 187.7 (7.39) | 197.8 (7.79) | 163.3 (6.43) | 75.6 (2.98) | 43.3 (1.70) | 1,451.3 (57.14)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4.5 | 5.2 | 9.1 | 10.6 | 11.8 | 12.7 | 14.4 | 11.4 | 12.0 | 10.5 | 6.9 | 4.6 | 113.7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201.7 | 187.3 | 198.6 | 196.0 | 186.9 | 133.7 | 133.8 | 157.6 | 128.4 | 144.3 | 160.6 | 184.2 | 2,011.8 |
출처: 일본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8년~현재)[1][2] |
각주
[편집]- ↑ 観測史上1~10位の値(年間を通じての値). 일본 기상청. 2022년 3월 31일에 확인함.
- ↑ 気象庁 / 平年値(年・月ごとの値). 일본 기상청. 2022년 3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