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가프필스
다우가프필스 Daugavpils | |||||
---|---|---|---|---|---|
![]() 다우가프필스 박물관 | |||||
| |||||
행정 | |||||
국가 | ![]() | ||||
역사 | |||||
설립 | 1275년 | ||||
지리 | |||||
면적 | 72.37 km2 | ||||
해발 | 86 ~ 139 | ||||
시간대 | UTC+2 (EET) · 일광 절약 시간제: UTC+3 (EEST) | ||||
인문 | |||||
인구 | 80,627명(2020년) | ||||
인구 밀도 | 1,100명/km2 | ||||
지역 부호 | |||||
우편번호 | LV-54(01–65) | ||||
지역번호 | (+371) 654 | ||||
웹사이트 | (라트비아어/러시아어/영어) 공식 웹사이트 |
다우가프필스(라트비아어: Daugavpils [ˈdaʊɡaʊpils] (도움말·정보) 다우가우필스)는 라트비아 최동단의 도시이다. 다우가바강에 위치해 있다.
역사적 지명
[편집]- 러시아어: 드빈스크(Двинcк)
- 독일어: 뒤나부르크(Dünaburg)
- 이디시어: 데넨부르그(דענענבורג)
- 폴란드어: 디네부르크·지비누프·지빈스크(Dyneburg·Dźwinów·Dźwińsk)
- 벨라루스어: 즈빈스크(Дзвінск)
- 리투아니아어: 다욱필리스(Daugpilis)
인구
[편집]인구는 11만 5265명(2000년)이다. 라트비아에서 2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 러시아인: 53.96% (58,414)
- 라트비아인: 17.3% (18,725)
- 폴란드인: 14.9% (16,126)
- 벨라루스인: 8.22% (8,897)
- 우크라이나인: 2.23% (2,417)
- 리투아니아인: 0.96% (1,041)
- 유대인: 0.45% (492)
- 에스토니아인: 0.03% (30)
- 기타: 1.96% (2 118).
1991년부터 라트비아어는 라트비아의 학교와 행정부서에서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라트비아의 러시아인들과 마찬가지로, 다우가프필스에 거주했던 대부분의 러시아인들은 이것에 대해 긴장을 초래하게 되었다.
역사
[편집]1275년, 문헌에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1278년, 독일 기사단의 영토로 들어감에 따라 이 도시가 건설되었다(Jewish Encyclopedia). 1561년에서 1772년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속했다. 당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령 리보니아의 수도였다.
기후
[편집]다우가프필스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11.1 (52.0) | 13.1 (55.6) | 18.4 (65.1) | 27.4 (81.3) | 31.8 (89.2) | 33.1 (91.6) | 35.1 (95.2) | 33.5 (92.3) | 31.3 (88.3) | 23.6 (74.5) | 16.3 (61.3) | 10.6 (51.1) | 35.1 (95.2)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1.8 (28.8) | −1.1 (30.0) | 4.0 (39.2) | 12.2 (54.0) | 18.1 (64.6) | 21.4 (70.5) | 23.7 (74.7) | 22.5 (72.5) | 17.0 (62.6) | 9.9 (49.8) | 3.6 (38.5) | −0.2 (31.6) | 10.8 (51.4) |
일일 평균 기온 °C (°F) | −4.1 (24.6) | −4.1 (24.6) | 0.0 (32.0) | 6.7 (44.1) | 12.2 (54.0) | 15.8 (60.4) | 18.1 (64.6) | 16.8 (62.2) | 11.9 (53.4) | 6.3 (43.3) | 1.5 (34.7) | −2.2 (28.0) | 6.6 (43.8)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7.0 (19.4) | −7.7 (18.1) | −4.3 (24.3) | 1.1 (34.0) | 5.7 (42.3) | 9.7 (49.5) | 12.1 (53.8) | 11.0 (51.8) | 7.0 (44.6) | 2.7 (36.9) | −0.8 (30.6) | −4.5 (23.9) | 2.1 (35.8) |
역대 최저 기온 °C (°F) | −42.7 (−44.9) | −43.2 (−45.8) | −32.0 (−25.6) | −18.6 (−1.5) | −5.5 (22.1) | −1.3 (29.7) | 2.1 (35.8) | −1.5 (29.3) | −5.0 (23.0) | −14.7 (5.5) | −24.1 (−11.4) | −38.7 (−37.7) | −43.2 (−45.8)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40.3 (1.59) | 38.7 (1.52) | 35.5 (1.40) | 34.6 (1.36) | 61.6 (2.43) | 74.2 (2.92) | 72.9 (2.87) | 71.7 (2.82) | 56.1 (2.21) | 58.6 (2.31) | 48.4 (1.91) | 42.8 (1.69) | 635.4 (25.03)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11 | 10 | 9 | 7 | 9 | 11 | 10 | 10 | 9 | 10 | 10 | 11 | 117 |
평균 상대 습도 (%) | 87.1 | 84.8 | 76.6 | 68.2 | 68.6 | 72.3 | 74.6 | 77.0 | 82.0 | 85.4 | 88.7 | 88.7 | 79.5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35.1 | 62.2 | 133.4 | 195.1 | 270.2 | 271.9 | 277.2 | 244.5 | 156.4 | 87.9 | 30.5 | 24.9 | 1,789.3 |
출처 1: 라트비아 환경지질기상센터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891년~현재)[1][2] | |||||||||||||
출처 2: 미국 해양대기청 (강수일수/상대습도),[3] Infoclimat[4] |
유대인의 데넨부르크
[편집]러시아 제국시절에는 유대교 거주 지역 디넨부르크 읍으로 속했었다. 2개의 철도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 1897년 조사에서 인구는 7만2231명으로 3만2369명이 유대인이었다.
참고 문헌
[편집]- Moskovskiya Vyedomosti, 1886, No. 234;
- Voskhod, 1900, No. 53; 1901, Nos. 18 and 28; 1902, No. 40
유명한 사람들
[편집]- 드빈스크의 메이어 심하 Meir Simcha of Dvinsk
- 울랴나 세묘노바 Uljana Semjonova - 농구 선수
- 그제고시 피텔베르크 Grzegorz Fitelberg - 바이올리니스트・작곡가・지휘자
- 솔로몬 미호엘스 Solomon Mikhoels - 이디시 배우
- 블라디슬라프 라기니스 Władysław Raginis - 폴란드 군 지휘자
- 마크 로스코 Mark Rothko - 20세기를 대표 화가
- 요세프 로젠Yosef Rozen, der Rogatshover Goen
- 모제스 아리에 뢰프 프리들란트 Moses Arye Löb Friedland [1]
- 비타스 - 러시아의 가수
각주
[편집]- ↑ “Klimatisko normu dati” (라트비아어). 라트비아 환경지질기상센터. 2023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Gaisa temperatūras rekordi” (라트비아어). 라트비아 환경지질기상센터. 2023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Daugavpils Climate Normals 1991–2020” (미국 영어). 미국 해양대기청.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Climatologie de l'année à Daugavpils” (프랑스어). Infoclimat. 2023년 10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라트비아어/러시아어/영어) 공식 홈페이지
- (러시아어) 다우가프필스 정보 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