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군도단풍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장미군 |
목: | 무환자나무목 |
과: | 무환자나무과 |
속: | 단풍나무속 |
종: | 네군도단풍 |
학명 | |
Acer negundo | |
L., 1753 | |
향명 | |
| |
네군도단풍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네군도단풍(학명: Acer negundo 아케르 네군도[*])은 낙엽이 지는 활엽교목으로 단풍나무의 일종이다. 북아메리카(캐나다~온두라스 사이)가 원산이다.[2] 속성수(速成樹)이며 수명이 짧다. 물푸레나무의 잎을 닮아있는 대생의 깃꼴 겹잎으로, 3-7개의 타원형인 작은잎을 가지고 있다. 남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유럽의 대부분,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외래종이나 귀화종으로 존재하고 있다.[3][4]
종소명인 negundo는 좀목형(Vitex negundo)의 잎을 닮았다 하여 붙인 것이다.
생김새
[편집]네군도단풍은 나무높이 최대 10~25m, 흉고직경 30~50cm(드물게는 최대 1m)로 자라는 단명하는 속성수이다. 종종 여러 개의 줄기가 있으며 뚫을 수 없는 덤불을 형성할 수 있다.[4] 수령은 평균 60~75년이다. 매우 유리한 조건에서는 100년까지 살 수 있다.[5]
눈은 녹색이며, 어릴 때는 종종 희끄무레했다가 분홍색 또는 보라색으로 변하는 왁스질의 피막이 있다. 가지는 매끄럽고 다소 무르며 단단하고 어두운 색의 나무껍질을 형성하기보다는 녹색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줄기의 껍질은 연한 회색 또는 연한 갈색이며, 넓은 능선으로 깊게 갈라져 있고 비늘 모양이다.[6]
네군도단풍은 (보통 단순잎, 장상엽을 가진) 대부분의 다른 단풍나무들과는 달리, 보통 3~7개의 작은 잎들이 달리는 깃꼴겹잎(羽狀複葉)이다.[7] 단순잎도 이따금씩 나타나지만 이는 엄밀히 따지자면 단수깃꼴겹잎이다. 피껍질단풍(A. griseum), 복장나무(A. mandshuricum) 등의 일부 다른 단풍나무들과 가까운 친척인 세손단풍(A. cissifolium)은 삼출엽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네군도단풍만이 규칙적으로 작은 잎이 세 개 이상 난 삼출엽의 모습을 보인다. 작은 잎은 크기가 약 5~10cm이며 너비 3~7cm로 잎의 가장자리(葉緣)는 약간 톱니모양이다.
4-5월경 이른 봄에 작은 황록색 꽃이 10~20cm 길이의 총상꽃차례를 이루면서 피어난다. 열매가 익으면 긴 이삭이 되어 늘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10월 경에 익는 열매는 두 개의 단일 씨앗들이 달리는 분리과(分離果)이자 시과(翅果)로 축 늘어진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각각의 씨앗은 길쭉하며 길이 1~2cm에 안으로 굽은 날개는 길이 2~3cm이다. 가을에 떨어지나 겨울까지 매달리기도 한다. 씨앗은 보통 많이 열리고 생식력이 있다.[6]
수꽃과 암꽃은 각각의 나무에 피어나는데(암수딴그루),[8] 수꽃의 경우 보통 네 개의 꽃이 함께 피는 꽃송이를 이루며, 암꽃의 경우 총상꽃차례로 피어난다.[9]
- 잎과 열매
- 가을의 잎 색깔
- 겨울에도 매달린 채 유지되어 있는 씨앗들
- 새싹
- 복수의 가지가 여기저기 뻗어나가 자란 형태
- 열매
분류
[편집]향명
[편집]넓은 지리 범위에 걸쳐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함이 느껴지는 네군도단풍에는 수많은 향명이 붙어있다. "box elder"(회양딱총나무) 또는 "boxelder maple"(회양딱총단풍)은 흰색의 목재가 회양목속과 비슷하다는 점과 깃꼴겹잎이 딱총나무속의 일부 종과 비슷하다는 점에 바탕을 두고 있다.[10]
다른 향명들은 물푸레나무속을 닮은 부분, 선호 환경, 당분이 많은 수액, 잎의 묘사, 학명 등을 기반으로 둔다. 그러한 향명으로는 "Manitoba maple"(매니토바단풍), "ash-leaf maple"(물푸레잎단풍), "cut-leaved maple"(자른잎단풍), "three-leaf maple"(세잎단풍), "ash maple"(물푸레단풍), "sugar maple"(설탕단풍), "negundo maple"(네군도단풍), 그리고 "river maple"(강단풍)이 있다.[11]
향명은 지역적으로 다양하다. 회양딱총나무, 회양딱총단풍, 물푸레잎단풍, 그리고 물푸레단풍은 미국에서 쓰이는 그런 향명들이다. 캐나다에서는 보통 매니토바단풍으로 널리 부르며 때때로 요정단풍(elf maple)이라 부르기도 한다.[12] 영국에서는 회양딱총나무[13] 또는 물푸레잎단풍(ashleaf maple)[14]으로 부른다. 러시아에서는 아메리카단풍(러시아어: америка́нский клён 아메리칸스키 클룐[*])과 물푸레잎단풍(러시아어: клён ясенели́стный 클룐 야세넬리스트니[*])로 부른다.
작은잎들이 무늬라디칸스옻나무의 작은잎들과 외형상 닮은 점들이 있기 때문에 네군도단풍의 묘목은 종종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물로 오해받고는 한다. 무늬라디칸스옻나무는 엽연이 고르지 못한 세 개의 작은잎들로 이루어진 겹잎을 가지고 있는 반면, 네군도단풍은 무늬라디칸스옻나무의 호생엽서와는 반대되는 대생엽서를 보인다.[15] 무늬라디칸스옻나무와 마찬가지로, 유명한 하안 식물종이기도 하며, 강바닥과 일반적으로 습한 토양에서 자라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모든 이유와 명백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네군도단풍은 비공식적으로 "poison ivy tree"라고 부르기도 한다.[16]
아종
[편집]네군도단풍은 종종 세 개 이상의 아종으로 세분되는데, 일부는 원래 별개의 종으로 기재되었다.[17]
- Acer negundo subsp. negundo - 대서양 연안~로키산맥 사이에 산다.[4]
- Acer negundo subsp. interior (Britton) Sarg. - 지명 아종보다 잎의 결각이 더 많고 잎 표면이 광택이 좀 더 난다. 동부 및 서부 아종 사이의 서스캐처원주와 뉴멕시코주까지가 원산지이다.[4]
- Acer negundo var. arizonicum Sarg. - 애리조나주, 뉴멕시코주, 멕시코 북부에 서식한다.[17]
- Acer negundo subsp. californicum (Torr. & A.Gray) Sarg. - 잎이 좀더 크고 질감은 부드럽다. 캘리포니아주 일부 지역에서 발견된다.[4][17]
- Acer negundo subsp. mexicanum (DC.) Wesm. - 멕시코, 과테말라, 온두라스에서 서식한다.[17]
- Acer negundo var. texanum Pax - 미국 남부에서 버지니아주와 뉴멕시코주 및 멕시코 북동부 사이에서 서식한다.[17]
- Acer negundo var. violaceum (Booth ex Loudon) H.Jaeger - 미국 북동부 해안과 오하이오 밸리에서 컬럼비아 강 유역까지 미국 북부 내륙에 서식한다.[17]
분포 및 서식지
[편집]

네군도단풍은 미국 대부분의 지역(대부분 동부)[7] 및 캐나다 중남부에 서식하며 과테말라 등 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발견된다.
유타주의 박스엘더군(Box Elder County)은 사우스다코타주의 박스엘더 마을처럼 이 나무의 향명에서 이름을 따왔다.[18]
북아메리카에 서식하지만, 미국 북동부 등의 일부 지역에서는 잡초목에 해당하는 식물종으로 여기며 이 지역에서 그 수가 크게 증가했다.[19] 1928년, 펜실베니아주의 수석 산림관인 조셉 일릭(Joseph Illick)은 『펜실베이니아 나무』(Pennsylvania Trees)[20]에 '네군도단풍이 이 주에서는 "희귀하고 국부적으로 한정"되어있었다.' 라고 썼다.
쓰임새
[편집]목재
[편집]목재는 나바호족의 경우 풀무관 제작을[21], 샤이엔족의 경우 통의 제작을[22], 그리고 몬태나주의 토착민들은 커다란 나무 옹이나 혹을 통, 그릇, 북, 피리대로 만드는 등[23], 미국 원주민들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했다. 테와인들은 작은 나뭇가지들을 피리대로 썼으며[24] 케레스족은 가지들을 기도용 막대로 만들었다.[25]
다코타족과 오마하족[26][27]은 네군도단풍의 목재를 숯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의식용 회화 및 문신용으로 쓰기 위함이었다.[28][26] 카이오와족은 페요테 의식을 치르는 동안 제단불에 목재를 넣어 불태운다.[29]
네군도단풍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재 플루트의 재료로 쓰인 것이 확인되었다. 1931년 애리조나주 북동부에서 얼 H. 모리스(Earl H. Morris)가 발굴한 이 플루트는 기원전 620~67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0]
의약적 이용
[편집]미국 원주민들이 몇 가지 의료 목적으로 사용했다. 샤이엔족은 태양춤 의식 동안[23] 영약을 만들기 위해 향으로 나무를 불태운다.[23] 메스콰키족은 안쪽 껍질의 탕약을 토제로 사용하며,[31] 오지브와족은 마찬가지로 안쪽 껍질의 혼합물을 사용한다.[32]
각주
[편집]- ↑ Barstow, M.; Crowley, D.; Rivers, M.C. (2017). “Acer negundo”. 《IUCN 적색 목록》 (IUCN) 2017: e.T62940A3117065. doi:10.2305/IUCN.UK.2017-3.RLTS.T62940A3117065.en. 2021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 “Acer negundo L..”. 《Plants of the World Online》. Royal Botanic Gardens, Kew. 781412-1. 2024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Acer negundo”. 《keyserver.lucidcentral.org》. Weeds of Australia. 2018년 12월 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van Gelderen, C.J. & van Gelderen, D.M. (1999). Maples for Gardens: A Color Encyclopedia.
- ↑ CABI datasheet. Available at https://www.cabi.org/isc/datasheet/2862 (accessed 04/10/2022)
- ↑ 가 나 Keeler, H. L. (1900). 《Our Native Trees and How to Identify Them》.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85–87쪽.
- ↑ 가 나 Arno, Stephen F.; Hammerly, Ramona P. (2020). 《Northwest Trees: Identifying & Understanding the Region's Native Trees》 (영어) field guide판. Seattle: Mountaineers Books. 261–262쪽. ISBN 978-1-68051-329-5. OCLC 1141235469.
- ↑ “Acer negundo”.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24년 10월 14일에 확인함.
male and female flowers on separate plants
- ↑ “Acer negundo”. 《Van den Berk Nurseries》. 2024년 10월 14일에 확인함.
compact clusters of usually four flowers together. The female flowers appear in long pendent raceme
- ↑ “DePauw Nature Park Field Guide to Trees” (PDF). DePauw University. 14쪽. 2018년 5월 24일에 확인함.
- ↑ “Windsor Plywood”. Some of the common names given in this reference are questionable, "stinking ash" and "black ash" typically refer to Ptelea trifoliata and Fraxinus nigra, respectively. This reference is retained as an example of the confusion which arises when plants such as A. negundo are discussed by other than their scientific names.
- ↑ “Community trees of the Prairie provinces”. 《Natural Resources Canada》. 2007년 2월 22일. 2008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Acer negundo”. 《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BSBI List 2007》 (xls). Botanical Society of Britain and Ireland. 2015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 (xls)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7일에 확인함.
- ↑ 《Trees with Don Leopold - boxelder》 (영어), 2011년 10월 21일,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 ↑ 《Tree Talk: Boxelder》 (영어), 2019년 5월 8일, 2021년 6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Acer negundo L. Plants of the World Online, Kew Science. Accessed 26 January 2023
- ↑ “Utah History Encyclopedia”. 《www.uen.org》.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Uva, R.H., J.C. Neal, and J.M. DiTomaso. 1997. Weeds of the Northeast.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ew York.
- ↑ Illick, Joseph S. (1928). 《Pennsylvania Trees》 4판. [Harrisburg., Pa.]: Pennsylvania Department of Forests and Waters. 203쪽.
- ↑ Elmore, Francis H. (1944). Ethnobotany of the Navajo. Santa Fe, NM. School of American Research (p. 62)
- ↑ Hart, Jeffrey A. (1981). "The Ethnobotany of the Northern Cheyenne Indians of Montan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4:1–55 (p. 46).
- ↑ 가 나 다 Hart, Jeff (1992). Montana Native Plants and Early Peoples. Helena. Montana Historical Society Press (p. 4)
- ↑ Robbins, W.W., J.P. Harrington and B. Freire-Marreco (1916). "Ethnobotany of the Tewa Indians." SI-BAE Bulletin #55 (p. 38).
- ↑ Swank, George R. (1932). The Ethnobotany of the Acoma and Laguna Indians. University of New Mexico, M.A. Thesis (p. 24).
- ↑ 가 나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Gilmore, Melvin R p. 101
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 ↑ Gilmore, Melvin R. (1913). "A Study in the Ethnobotany of the Omaha Indians." Nebraska State Historical Society Collections 17:314–57. (p. 336).
- ↑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Gilmore, Melvin R p. 366
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 ↑ Vestal, Paul A. and Richard Evans Schultes (1939). The Economic Botany of the Kiowa Indians. Cambridge MA. Botanical Museum of Harvard University (p. 40)
- ↑ Clint Goss (2011). “Anasazi Flutes from the Broken Flute Cave”. 2011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Smith, Huron H. (1928). "Ethnobotany of the Meskwaki Indians." Bulletin of the Public Museum of the City of Milwaukee 4:175–326 (p. 200)'
- ↑ Smith, Huron H. (1932). "Ethnobotany of the Ojibwe Indians." Bulletin of the Public Museum of Milwaukee 4:327–525 (p. 353)
- Maeglin, Robert R.; Lewis F. Ohmann (1973). “Boxelder (Acer negundo): A Review and Commentary”. 《Bulletin of the Torrey Botanical Club》 100 (6): 357–363. doi:10.2307/2484104. JSTOR 2484104.
- Philips, Roger. Trees of North America and Europe. New York: Random House. ISBN 0-394-50259-0,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