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근
꼬리근 | |
---|---|
![]() 왼쪽 골반바닥 쪽의 근육들. | |
정보 | |
이는곳 | 엉치가시인대와 궁둥뼈가시 |
닿는곳 | 꼬리뼈 가쪽 경계와 인접한 엉치뼈 경계 |
신경 | 음부신경 |
작용 | 배변 이후 꼬리뼈를 앞으로 당김 골반 출구 뒤쪽을 닫음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coccygeus |
영어 | coccygeus muscle |
TA98 | A04.5.04.011 |
TA2 | 2412 |
FMA | 19088 |
꼬리근(coccygeus muscle, ischiococcygeus), 또는 미골근은 골반의 바닥에 있는 근육으로, 항문올림근의 뒤쪽에 위치하며 엉치가시인대의 앞쪽에 위치한다.
구조
[편집]꼬리근은 항문올림근의 뒤쪽에 위치하고 골반바닥의 엉치가시인대 앞쪽에 있다. 근육질 섬유와 힘줄 섬유가 삼각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다. 이는곳은 궁둥뼈가시와 엉치가시인대이다.[1][2] 닿는곳은 꼬리뼈의 가장자리와 엉치뼈의 가장 낮은 부분의 측면이다.[1][2]
음부신경은 꼬리근과 궁둥구멍근의 사이로 주행한다. 궁둥구멍근은 꼬리근 얕은쪽에 위치한다.[4]
신경 분포
[편집]꼬리근은 꼬리근과 궁둥구멍근 사이를 지나는 음부신경의 지배를 받는다.[5]
기능
[편집]꼬리근은 항문올림근과 궁둥구멍근이 골반 출구의 뒤쪽 부분을 닫는 것을 돕는다.[6] 이를 통해 여성의 질과 다른 골반 내의 장기들을 지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6]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424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
[편집]- ↑ 가 나 〈CHAPTER 51 - Lower Urinary Tract Disorders in Postmenopausal Women〉, 《Treatment of the Postmenopausal Woman (Third Edition)》 (영어), Academic Press, 693-737쪽
- ↑ 가 나 〈Chapter 23 - Pelvic Organ Prolapse and Pelvic Floor Dysfunction〉, 《General Gynecology》 (영어), Mosby, 543-581쪽
- ↑ 〈Chapter 13 - Host Response to Biomaterials for Pelvic Floor Reconstruction〉, 《Host Response to Biomaterials》 (영어), Academic Press, 374-423쪽
- ↑ 〈Chapter 24 - PUDENDAL NERVE STIMULATION〉, 《Female Urology (Third Edition)》 (영어), W.B. Saunders, 284-289쪽
- ↑ 〈11 - Lower extremity nerve injuries〉, 《Kline and Hudson's Nerve Injuries (Second Edition)》 (영어), W.B. Saunders, 209-278쪽
- ↑ 가 나 〈Chapter 74 - POSTERIOR WALL PROLAPSE: SEGMENTAL DEFECT REPAIR〉, 《Female Urology (Third Edition)》 (영어), W.B. Saunders, 729-7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