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준 (물리학자)

김범준
金範埈
작가 정보
출생1967년(57~58세)
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직업교수, 저술가
학력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활동기간2006년 ~
장르물리학, 통계물리학
수상한국물리학회 용봉상
부모부 김붕열(金鵬烈), 모 조숙영(趙淑永)[1]
자녀자매
형제3남1녀 중 3남
주요 작품
《세상물정의 물리학》, 《전산물리학》

김범준(金範埈, 1967년 ~ )은 대한민국의 통계물리학 및 복잡계물리학 연구자이자 저술가이다.

생애

[편집]

1988년에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 입학한 후 통계물리학 전공으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16년에 팟캐스트파토의 과학하고 앉아있네》, 2023년에 유튜브 《보다 BODA》 등에 출연하며 인지도를 높혔으며, 2015년에 제56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하는 등 저술 및 강연으로 물리학 지식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3년 9월부터 《범준에 물리다》라는 유튜브 채널을 개설 운영하고 있다.

학력

[편집]

경력

[편집]

수상

[편집]
  • 2006년 4월, 한국물리학회 용봉상[6]
  • 2015년 12월, 제56회 한국출판문화상 저술상 (교양 부문)[7]

집필

[편집]

주요 저작

[편집]
  • 2015년, 《세상물정의 물리학 : 복잡한 세상을 꿰뚫어 보는 통계물리학의 아름다움》, 동아시아
  • 2019년, 《관계의 과학 : 복잡한 세상의 연결고리를 읽는 통계물리학의 경이로움》, 동아시아
  • 2020년, 《(김범준 선생님이 들려주는) 빅데이터와 물리학》, 우리학교
  • 2022년, 《전산물리학(Computational physics)》, 교문사
  • 2022년, 《(복잡한 세상을 이해하는 김범준의) 과학상자》, 바다출판사
  • 2023년, 《세상은 왜 다른 모습이 아니라 이런 모습일까?》, 바다출판사
  • 2023년, 《김범준의 이것저것의 물리학 : 호기심 많은 물리학자의 종횡무진 세상 읽기》, 김영사
  • 2024년, 《김범준의 물리 장난감 : 일상 속 사물들에서 찾은 신기한 과학 원리》, 이김
  • 2024년, 《(복잡한 세상을 이해하는 김범준의) 과학상자 : 큰글자책》, 바다출판사
  • 2025년, 《범준에 물리다》, 알파미디어

주요 공저

[편집]
  • 2014년, 《성균관대 융복합 특강 : 소통을 넘어 공감의 시대로》,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2014년, 《책 대 책 : 코스모스에서 뉴런 네트워크까지 13편의 사이언스 북 토크》, 사이언스북스
  • 2015년, 《디지털인문학과 족보의 시각화 연구 : 사회적 관계망 이론을 활용한 한국 족보의 시각화 콘텐츠 개발》, 한다디자인
  • 2015년, 《상상력과 지식의 도약》, 이학사
  • 2016년, 《열 및 통계역학》, 자유아카데미
  • 2016년, 《소년소녀, 과학하라!: 탐구 지수 만렙을 위한 과학자들의 꿀팁 대방출》, 우리학교
  • 2017년, 《과학은 논쟁이다 : 과학vs과학철학, 경계를 묻다》, 반니
  • 2018년, 《과학자를 울린 과학책 : 10인의 과학자들이 뽑은 내 마음을 뒤흔든 과학책》, 바틀비
  • 2019년, 《살아보니 행복은 이렇습니다 : 먼저 살아본 30인의 행복론》, 디자인하우스
  • 2020년, 《과학 산책, 자연과학의 변주곡 : '과학'과 함께하는 인류의 삶》, 청아출판사
  • 2023년, 《과학을 보다 : 문과생도 과알못도 재미있게 읽는 기발하고 수상한 과학책》, 알파미디어
  • 2023년, 《미래를 준비하는 10대에게 : 나의 내일은 오늘의 내가 만든다》, 김영사
  • 2024년, 《과학을 보다2 : 바로 읽고 바로 써먹는 기발하고 수상한 과학책》, 알파미디어
  • 2025년, 《과학을 보다3 : 지식과 흥미를 한 번에 채우는 기발하고 수상한 과학책》, 알파미디어

기타 출간물

[편집]
  • 2015년,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 2015년도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보고서》, 기획재정부
  • 2020년, 《사회 복잡계의 창발현상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범준 교수 #01 - 어쩌다 괴짜가 되어버린 김범준 교수가 말하는 '지성' CJ ENM”. 《유튜브》. 2021년 3월 13일. 
  2. 당시 대입 학력고사 시험에서 충청북도 도내(道內) 자연계 수석 (세광고 제31회 차석 졸업)
  3. 김범준 석사학위 논문, 〈Particles on a circle : duality and quantum coherence - 써클 위 입자 : 이중성과 양자 결맞음〉,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년 2월
  4. 김범준 박사학위 논문, 〈Quantum fluctuations and disorder in superconducting arrays : 초전도 배열에서의 양자요동과 무질서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년
  5. 박사후연구원 근무 후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6. 한국물리학회 창립자인 고(故) 용봉(龍峰) 조순탁(趙淳卓, 1925년 ~ 1996년) 박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06년에 제정한 상이다. 김범준(성균관대), 노재동(충남대)가 공동 수상하였다. 노재동(盧載東, 1968년 ~)은 2025년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7. 《세상물정의 물리학》 집필로 수상하였다. 시상식은 2016년 1월 18일에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