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조선의 문신)
김동연 金東淵 | |
---|---|
조선의 사헌부 장령 | |
임기 | 1774년 ~ 1775년 |
군주 | 영조 이금 |
섭정 | 왕세손 이산 |
이름 | |
별명 | 자(字)는 백우(伯愚) |
신상정보 | |
출생일 | 1724년 |
거주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몰년 미상 |
국적 | 조선 |
학력 | 1768년 정시문과 병과 급제 |
경력 | 홍문관 사관(1768년~1770년) 승정원 사관(1770년~1771년) 사간원 정언(1771년~1772년) 사간원 사간(1775년) 사헌부 집의(1775년) 사간원 헌납(1775년~1778년) |
정당 | 노론 시파 세력 |
본관 | 언양(彦陽) |
부모 | 양부(養父): 김양묵(金陽默)[1] 생부(生父): 김여석(金汝錫)[2] |
형제자매 | 형: 김준연(金俊淵) |
종교 | 유교(성리학) |
웹사이트 | 김동연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
김동연(金東淵, 1724년 ~ ?)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문관)이다.
그는 홍문관 사관, 승정원 사관, 사간원 정언, 사헌부 장령 등의 각 관직을 두루 지냈으며 자(字)는 백우(伯愚)이다.
생애
[편집]어린 시절
[편집]아버지 김여석(金汝錫)의 슬하 2남 중 막내로 출생하였고 다섯 터울의 친형 김준연(金俊淵)이 있었으며 1737년 당시 14세 때 5촌 종숙부 김양묵(金陽默)한테 양자(養子)로 출계(出系)되었다.
장성한 이후
[편집]초야(草野)에서 글 읽는 유림 유생(儒林 儒生)으로 지내다가 1768년(영조 44)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 사관(弘文館 史官)을 지냈다. 1772년 벽파(僻派)를 공격하다가 관직에서 삭탈 및 충군(充軍)되었으며, 1774년 사헌부 장령(司憲府 掌令)으로 재차 기용되었다. 1775년 사간원 헌납(司諫院 獻納)으로 화폐 주조 관련 정책의 폐단을 논하고, 1776년 노론 예하 시파(時派)의 선봉장이 되어 노론 예하 벽파의 탄핵에 앞장섰다.
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 | 이 글은 조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