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녕초등학교
김녕초등학교 金寧初等學校 Kimnyeong Elementary School | |
---|---|
![]() | |
개교 | 1923년 9월 1일 |
설립형태 | 공립 |
교장 | 양인자 |
교감 | 문재필 |
국가 | ![]() |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로 117 (김녕리 1656) |
학생 수 | 104명 (2014년 4월 1일 기준) |
교직원 수 | 23명 (2014년 4월 1일 기준) |
상징 | 수선화(교화), 소나무(교목) |
관할관청 | 제주시교육지원청 |
웹사이트 | http://www.kimnyeong.es.kr |
김녕초등학교는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1]
학교 연혁
[편집]- 1923년 9월 1일 구좌공립보통학교(4년제) 개교
- 1935년 4월 13일 수업연한 개편(정규 6년)
- 1938년 4월 1일 김녕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 1941년 4월 1일 김녕공립국민학교로 개칭
- 1950년 6월 1일 김녕국민학교로 개칭
- 1964년 2월 22일 덕천분교장 설치
- 1977년 3월 1일 특수학급(1학급) 인가
- 1980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1학급 편성 인가
- 1983년 1월 1일 동복분교장 격하 및 편입
- 1990년 3월 1일 덕천분교장 폐교 본교로 통합
- 1996년 3월 1일 김녕초등학교로 개칭
- 2007년 2월 25일 교육역사관 개관
- 2007년 5월 2일 공덕비 제막식
- 2009년 9월 30일 급식소(현대회 리모델링) 개소식
- 2012년 5월 4일 인조잔디운동장 개장식
- 2013년 3월 1일 7학급 편성 인가(특수학급 1학급 포함)
- 2015년 12월 1일 학교 대수선 공사
- 2016년 3월 1일 제34대 양인자 교장 부임
- 2017년 2월 10일 제90회 졸업(본교14명, 분교 4명 졸업(총 졸업생 6,940명)
- 2018년 3월 1일 제35대 박형근 교장 부임
- 2018년 1월 25일 제92회 졸업(본교 17명, 분교 6명 졸업, 총 6,976명
만장굴 발견
[편집]제주시 구좌읍 김녕초등학교 교사이던 부종휴 선생은 어린 학생들과 함께 탐사대를 조직해 1946∼1947년 전체 길이 7천400m, 최대 높이 25m, 너비 18m로 용암동굴로는 제주에서 가장 규모가 큰 만장굴(천연기념물 제98호)을 처음 발견했다. 1969년에는 길이 7천33m의 빌레못동굴(천연기념물 제342호)을 발견하기도 했다.[2]
학교 동문
[편집]외부 링크
[편집]- 김녕초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
참고 자료
[편집]각주
[편집]-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15년 12월 30일). “제주특별자치도 도립학교 설치조례 별표1”.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8월 7일에 확인함.
- ↑ 변지철 기자 (2016년 9월 16일). “‘제주 만장굴 발견’ 부종휴 선생 탐험일화 세계에”. 《연합뉴스》. 2017년 4월 20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제주특별자치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초등학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