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발가락개구리과

긴발가락개구리과
Leptodactylus gracilis
Leptodactylus gracilis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양서강
목: 개구리목
아목: 신와아목
상과: 청개구리상과
과: 긴발가락개구리과
(Leptodactylidae)
Werner, 1896
아과
  • 본문 참조
긴발가락개구리과의 분포 지역

긴발가락개구리과의 분포 지역(검은색)

긴발가락개구리과(Leptodactylidae)는 개구리목 신와아목 청개구리상과에 속하는 대형 양서류 과이다. 14속 201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생대 동안 혹은 중생대 말에 청개구리상과에 속하는 다른 과들과 갈라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 멕시코카리브해 그리고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한다.

하위 분류

[편집]
  • Leiuperinae - 5속 90종
    • Edalorhina Jiménez de la Espada, 1870 - 2종
    • Engystomops Jiménez de la Espada, 1872 - 9종
    • Physalaemus Fitzinger, 1826 - 46종
    • Pleurodema Tschudi, 1838 - 15종
    • Pseudopaludicola Miranda-Ribeiro, 1926 - 18종
  • 긴발가락개구리아과 (Leptodactylinae) - 4속 98종
    • Adenomera Steindachner, 1867 - 18종
    • Hydrolaetare Gallardo, 1963 - 3종
    • Leptodactylus Fitzinger, 1826 - 76종
    • Lithodytes Fitzinger, 1843 - 1종
  • Paratelmatobiinae - 4속 13종
    • Crossodactylodes Cochran, 1938 - 5종
    • Paratelmatobius Lutz and Carvalho, 1958 - 6종
    • Rupirana Heyer, 1999 - 1종
    • Scythrophrys Lynch, 1971 - 1종

계통 분류

[편집]

2014년 현재,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2][3][4]

신와아목

유령개구리과

나시카바트라쿠스과

세이셸개구리과

칼립토케팔렐라과

림노디나스테스과

거북개구리과

청개구리상과/
황금개구리상과

알소데스과

바트라킬라과

두꺼비과

뿔개구리과

키클로람푸스과

뿔청개구리과

힐로데스과

긴발가락개구리과

오돈토프리누스과

코개구리과

텔마토비우스과

알로프리네과

유리개구리과

청개구리과

아로모바테스과

독개구리과

황금개구리상과

가는발가락개구리과

황금개구리과

크라우가스토르과

개구리상과

각주

[편집]
  1. Heinicke, M.P., W.E. Duellman & S.B. Hedges (2007). “Major Caribbean and Central American frog faunas originated by ancient oceanic dispersal”. 《Proc. Nat. Acad. Sci.》 104 (24): 10092–7. doi:10.1073/pnas.0611051104. PMC 1891260. PMID 17548823. 
  2. 2012. UC Regents, Berkeley, CA.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AmphibiaWeb》. 
  3. Barej; 외. “The first endemic West African vertebrate family . a new anuran family highlighting the uniqueness of the Upper Guinean biodiversity hotspot”. 《Frontiers in Zoology 2014, 11:8》. 
  4. JOSÉ M. PADIAL, TARAN GRANT & DARREL R. FROST. “Molecular systematics of terraranas (Anura: Brachycephaloidea) with an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alignment and optimality criteria” (PDF). 《Zootaxa. 2014 Jun 26;3825:1-13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