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 목록

기초과학연구원 산하에 2020년 1월 기준 30개의 연구단이 있다.[1] 연구단들은 6개의 연구 분야로 나누어져 있다.[2]
본원, 캠퍼스, 외부 연구단
[편집]

2025년 3월 현재 운영 중인 기초과학연구원의 본원 연구단, 캠퍼스 연구단, 외부 연구단 목록은 아래와 같다(가나다순).[1]
이름 | 단장 | 도시, 대학교 | 연구분야 |
---|---|---|---|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 | 노태원 | 서울, 서울대학교 | 물리학 |
기하학 수리물리 연구단 | 오용근 | 포항, 포항공과대학교 | 수학 |
기후물리 연구단 | 악셀 팀머만 (Axel Timmermann) | 부산, 부산대학교 | 지구과학 |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 이영희 | 수원, 성균관대학교 | 물리학 |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 유룡 | 대전,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 |
나노의학 연구단 | 천진우 | 서울, 연세대학교 | 학제간 연구 |
나노입자 연구단 | 현택환 | 서울, 서울대학교 | 화학 |
뇌과학이미징 연구단 - 뇌공학 그룹 | 김성기 | 수원, 성균관대학교 | 학제간 연구 |
뇌과학이미징 연구단 - 인지 및 계산 신경과학 그 | 라우 하콴 (Lau Hakwan) | 수원, 성균관대학교 | 학제간 연구 |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 로드니 루오프 (Rodney S. Ruoff) | 울산, 울산과학기술원 | 화학 |
복소기하학 연구단 | 황준묵 | 대전, 본원 | 수학 |
복잡계 이론물리 연구단 | 세르게이 플라크 (Sergej Flach) | 대전, 본원 | 물리학 |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 김기문 | 포항, 포항공과대학교 | 화학 |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 조민행 | 서울, 고려대학교 | 화학 |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 | 장석복 | 대전,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 |
순수물리이론 연구단 - 입자이론 및 우주론 그룹 | 최기운 (영어) | 대전, 본원 | 물리학 |
순수물리이론 연구단 - 우주물리 및 중력이론 그룹 | 야마구치 마사히데 (山口昌英 [ヤマグチ マサヒデ]) | 대전, 본원 | 물리학 |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 김은준 | 대전, 한국과학기술원 | 생명 과학 |
신변종 바이러스 연구센터 | 최영기 | 대전, 한국과학기술원 | 생명 과학 |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 - 암흑물질 액시온 그룹 | 윤성우 | 대전, 한국과학기술원 | 물리학 |
양자나노과학 연구단 |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Andreas Heinrich) |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 물리학 |
양자변환 연구단 | 김유수 | 광주, 광주과학기술원 | 융합연구분야 |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 염한웅 | 포항, 포항공과대학교 | 물리학 |
유전체 교정 연구단 | 구본경 | 대전, 본원 | 학제간 연구 |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보관됨 2020-08-11 - 웨이백 머신 | 명경재 | 울산, 울산과학기술원 | 생명 과학 |
이차원 양자 헤테로구조체 연구단 | 신현석 | 수원, 성균관대학교 | 융합연구분야 |
인공지능 및 로봇 기반 합성 연구단 보관됨 2018-03-27 - 웨이백 머신 (이전에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Bartosz Grzybowski) | 울산, 울산과학기술원 | 학제간 연구 |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인지 및 교세포과학 연구그룹 | 이창준 | 대전, 본원 | 생명 과학 |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학습 및 기억 연구그룹 | 강봉균 | 대전, 본원 | 생명 과학 |
에피 반데르발스 양자물질 연구단 | 조문호 | 포항, 포항공과대학교 | 물리학 |
지하실험 연구단 | 김영덕 | 대전, 본원 | 물리학 |
첨단 반응동역학 연구단 | 이효철 | 대전,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 |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 김경택 | 광주, 광주과학기술원 | 물리학 |
혈관 연구단 | 고규영 | 대전, 한국과학기술원 | 생명 과학 |
희귀 핵 연구단 | 한인식 | 대전, 본원 | 물리학 |
RNA 연구단 | 김빛내리 | 서울, 서울대학교 | 생명 과학 |
PRC
[편집]PRC(Pioneer Research Center)는 본원 연구단의 일부로 연구단장이 아닌 5명 이내의 CI(Chief Investigators) 리더들이 운영한다. 2022년 8월 현재 운영 중인 PRC 목록은 아래와 같다. (가나다순)[3]
이름 | 그룹 | CI | 연구분야 |
---|---|---|---|
기후 및 지구과학 연구단 | 행성대기 그룹 | 이연주 | 지구과학 |
바이오분자 및 세포 구조 연구단 | 바이오분자 사회학 그룹 | 우재성 | 학제간 연구 |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 극단조합및확률그룹 | 홍 리우 (Liu Hong, 刘鸿) | 수학 |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 차미영 | 수학 | |
이산 수학 그룹 | 엄상일 | 수학 | |
의생명 수학 그룹 | 김재경 | 수학 |
종료 연구단
[편집]이름 | 단장 | 도시, 대학교 | 연구분야 | 종료일 |
---|---|---|---|---|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 | 찰스 서(Charles Surh) | 포항, 포항공과대학교 | 생명 과학 | 2019년 10월 |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 남홍길 | 대구,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생명 과학 | 2021년 8월 |
바이러스 면역 연구센터 | 신의철 (영어) | 대전, 본원 | 생명 과학 |
기초과학연구원은 바이러스 기초원천 역량 확보로 국가 감염병 안보에 공헌하기 위해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를 2021년 7월 1일(목)자로 출범시켰다. 연구센터장으로는 최영기 충북대의대 교수와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가 선임됐다. 초대 연구소장은 최영기 교수가 맡는다.
이름 | 연구센터장 |
---|---|
신변종 바이러스 연구센터 | 최영기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Controlling the messenger with blue light: A new optogenetic tool to manipulate target messenger RNA in living cells”. 《기초과학연구원》 (영어). 2020년 2월 18일. 2020년 2월 21일에 확인함.
- ↑ “Research Centers”. 《기초과학연구원》. 2019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Novel sponge-like 2D material with interest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agnetic properties: Researchers synthesize a new 2D Metal Organic Framework with an ever-growing list of possible applications”. 《기초과학연구원》 (영어). 2019년 10월 31일. 2019년 11월 1일에 확인함.
...29 research centers as of October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