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린자리 베타
기린자리 베타 Beta Camelopardalis | ||
![]() 기린자리의 성도로, 기린자리 베타가 β로 표시되어 있다. | ||
명칭 | ||
---|---|---|
바이어 명명법 | 기린자리 베타, 기린자리 β, β Cam | |
플램스티드 명명법 | 기린자리 10 | |
밝은 별 목록 | HR 1603 |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HD 31910 |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SAO 13351 | |
소천성표 | +60° 856 |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23522 | |
다른 이름 | FK5 182, ADS 3615 A, WDS J05034+6027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기린자리 | |
적경(α) | 05h 03m 25.08963s[1] | |
적위(δ) | +60° 26′ 32.0895″[1] | |
겉보기등급(m) | 4.02[2] | |
절대등급(M) | −3.1[3]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190 km/s[4] | |
적경 고유운동 | −6.50 mas/년[1] | |
적위 고유운동 | −14.15 mas/년[1] | |
연주시차 | 3.74 mas[4] | |
거리 | 870 광년[4] | |
성질 | ||
광도 | 1,592 L☉[5] | |
나이 | 6300만 년[6] | |
분광형 | G1Ib–IIa[6] | |
U-B 색지수 | +0.62[2] | |
B-V 색지수 | +0.93[2] | |
R-I 색지수 | +0.49[2] | |
추가 사항 | ||
반지름 | 58 R☉ | |
표면온도 | 5,300 K[6] | |
중원소 함량 (Fe/H) | −0.06[7] | |
표면 중력 (log g) | 1.79 cgs[6] | |
자전 속도 | 11.7 km/s[8] | |
동반성 수 | 2 | |
항성 목록 |
기린자리 베타(Beta Camelopardalis)는 기린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겉보기등급이 +4.02이기 때문에 맨눈으로 흐리게 볼 수 있다.[2] 기린자리 베타의 연주시차는 3.74 밀리초각이며, 이를 토대로 계산하면 지구와 기린자리 베타의 거리는 약 870 광년이 된다. 기린자리 베타에는 반성 2개가 딸려 있지만, 쌍성은 아니라고 추정되고 있다.[9]
성질
[편집]기린자리 베타는 G형 초거성으로, 항성분류는 G1 Ib–IIa이다.[6] 나이는 6000만 살로 추정되며, 자전 속도는 11.7 km/s로[8] 이 정도 진화단계에 있는 별 치고는 매우 빠르다. 이 때문에, 기린자리 베타에 뜨거운 목성이 있다는 이론이 제기되기도 하였다.[10] 색등급도에서 기린자리 베타와 비슷한 위치에 있는 별들은 불안정해 세페이드 변광성이 되지만, 기린자리 베타는 변광성이 아니며, 기껏해야 수십 일 간격으로 진동이 나타나는 것 뿐이다. 왜 별이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11]
기린자리 베타의 질량은 6.5 M☉이며,[6] 크기는 태양의 58배로 태양과 지구 사이의 3분의 1 정도이다.[12] 밝기는 1,592 L☉이고,[5] 광구의 유효온도는 약 5,300 K이다.[6]
1967년 항공기로 유성을 관측하던 중 기린자리 베타가 약 0.25초 동안 급격히 밝아졌던 현상이 관측되었었다.[11] 이 현상은, 기린자리 베타가 엑스선을 방출한다는 사실[13]과 연관하여, 자기력선의 영향으로 인해 초거대 플레어를 방출했던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11]
기린자리 베타의 겉보기등급은 4.02이며 이를 통해 계산한 절대등급은 -3.1이지만, 기린자리 베타의 위치가 은하수와 가깝기 때문에 우주진에 의해 원래 밝기보다 지구에서 보이는 밝기가 15% 정도 감소하였다고 추정되고 있다.[11]
반성
[편집]기린자리 베타에는 반성이 2개 있다.[9] 하나는 7등급 A5형 별로 84 각초만큼 떨어져 있으며, 다른 하나는 12등급 F형 별로 15 각초만큼 떨어져 있다.[14] 두 반성은 기린자리 베타로부터 약 25,000 AU 떨어져 있으며, 공전 주기는 백만 년 이상이다. 이 이외에는 반성에 관해 밝혀진 사실이 없다.[11]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라 마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Bibcode:2002yCat.2237....0D.
- ↑ Gray, David F.; Pugh, Teznie (2012). “The Third Signature of Granulation in Bright-giant and Supergiant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43 (4): 92. Bibcode:2012AJ....143...92G. doi:10.1088/0004-6256/143/4/92.
- ↑ 가 나 다 Gontcharov, G. A. (2006). “Pulkovo Compilation of Radial Velocities for 35 495 Hipparcos stars in a common system”. 《Astronomy Letters》 32 (11): 759. arXiv:1606.08053. Bibcode:2006AstL...32..759G. doi:10.1134/S1063773706110065.
- ↑ 가 나 McDonald, I.; Zijlstra, A. A.; Boyer, M. L. (2012). “Fundamental parameters and infrared excesses of Hipparcos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7: 343. arXiv:1208.2037. Bibcode:2012MNRAS.427..343M. doi:10.1111/j.1365-2966.2012.21873.x.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Lyubimkov, Leonid S.; Lambert, David L.; Korotin, Sergey A.; Rachkovskaya, Tamara M.; Poklad, Dmitry B. (2015). “Carbon abundance and the N/C ratio in atmospheres of A-, F- and G-type supergiants and bright 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46 (4): 3447. arXiv:1411.2722. Bibcode:2015MNRAS.446.3447L. doi:10.1093/mnras/stu2299.
- ↑ Kovtyukh, V. V.; Gorlova, N. I.; Belik, S. I. (2012). “Accurate luminosities from the oxygen λ7771-4 Å triplet and the fundamental parameters of F-G sper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3 (4): 3268. arXiv:1204.4115. Bibcode:2012MNRAS.423.3268K. doi:10.1111/j.1365-2966.2012.21117.x.
- ↑ 가 나 Rodrigues Da Silva, R.; Canto Martins, B. L.; De Medeiros, J. R. (2015). “On the Nature of Rapidly Rotating Single Evolved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801: 54. arXiv:1503.03447. Bibcode:2015ApJ...801...54R. doi:10.1088/0004-637X/801/1/54.
- ↑ 가 나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 ↑ Rodrigues da Silva, R.; Canto Martins, B. L.; De Medeiros, J. R. (March 2015). “On the Nature of Rapidly Rotating Single Evolved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801 (1): 6. Bibcode:2015ApJ...801...54R. doi:10.1088/0004-637X/801/1/54. 54.
- ↑ 가 나 다 라 마 Jim Kaler. “Beta Camelopardalis”. 《Stars》. 2008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24일에 확인함.
- ↑ Van Belle, G. T.; 외. (2009). “Supergiant temperatures and linear radii from near-infrared interferometr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94 (4): 1925. arXiv:0811.4239. Bibcode:2009MNRAS.394.1925V. doi:10.1111/j.1365-2966.2008.14146.x.
- ↑ Haakonsen, Christian Bernt; Rutledge, Robert E. (September 2009), “XID II: Statistical Cross-Association of ROSAT Bright Source Catalog X-ray Sources with 2MASS Point Source Catalog Near-Infrared Source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184 (1): 138–151, arXiv:0910.3229, Bibcode:2009ApJS..184..138H, doi:10.1088/0067-0049/184/1/138
- ↑ Mason, Brian D.; Wycoff, Gary L.; Hartkopf, William I.; Douglass, Geoffrey G.; Worley, Charles E. (2001).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The Astronomical Journal》 122 (6): 3466. Bibcode:2001AJ....122.3466M. doi:10.1086/323920.
외부 링크
[편집]- (영어) SIMBAD - 기린자리 베타
- (영어) HR 1603
- (영어) CCDM J05034+6026
- (영어) 기린자리 베타의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