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조자리 감마
극락조자리 감마 | ||
명칭 | ||
---|---|---|
다른 이름 | FK5 611, 글리제 626.1, HD 147675, HIP 81065, HR 6102, SAO 257407.[1] |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
별자리 | 극락조자리 | |
적경(α) | 16h 33m 27.08379s[2] | |
적위(δ) | −78° 53′ 49.7372″[2] | |
겉보기등급(m) | 3.86[3] | |
위치천문학 | ||
시선속도 | +5.7[3] | |
연주시차 | 20.87 ± 0.16 밀리초각[2] | |
거리 | 156 ± 1 광년(47.9 ± 0.4 파섹)[2] | |
성질 | ||
분광형 | G9 III[3] | |
추가 사항 | ||
표면온도 | 5,040 켈빈[4] | |
중원소 함량 (Fe/H) | –0.05[4] | |
표면 중력 (log g) | 3.5[4] | |
자전 속도 | 2.7[3] | |
항성 목록 |
극락조자리 감마(γ Aps, γ Apodis)는 남반구 하늘의 극락조자리에 보이는 항성이다. 시차 자료에 따르면 이 별과 우리 사이 거리는 약 156광년이다.[2] 겉보기 등급은 +3.86으로 맨눈으로 볼 수 있다.[3] 분광형은 G9 III로[3] 거성에 속하며 항성진화의 후반 단계에 접어든 상태이다. 감마별은 활동적인 엑스선원으로 그 밝기는 1.607 × 1030 erg s–1로 태양으로부터 50파섹 내 있는 100개의 강력한 엑스선원 중 하나이다.[5]
이름
[편집]극락조자리를 중국어로 옮기면 ‘이작’(異雀, Yì Què)으로 ‘이국적인 새’라는 뜻이다. 이 이작에 속한 별들로 극락조자리 감마, 제타, 요타, 베타, 팔분의자리 델타, 델타1, 에타, 알파, 엡실론이 있다. 감마별 자체를 부르는 명칭은 ‘이작사’(異雀四, Yì Què sì)로 ‘이작 별자리의 네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6]
각주
[편집]- ↑ “gam Aps -- Star”, 《SIMBAD Astronomical Object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6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van Leeuwen, F. (2007년 11월),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다 라 마 바 da Silva, L.; 외. (2009년 12월), “Search for associations containing young stars (SACY). III. Ages and Li abundanc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8 (2): 833–839, arXiv:0909.0677, Bibcode:2009A&A...508..833D, doi:10.1051/0004-6361/200911736.
- ↑ 가 나 다 Abia, C.; 외. (1988년 11월), “Abundances of light metals and NI in a sample of disc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206 (1): 100–107, Bibcode:1988A&A...206..100A.
- ↑ Makarov, Valeri V. (2003년 10월), “The 100 Brightest X-Ray Stars within 50 Parsecs of the Sun”, 《The Astronomical Journal》 126 (4): 1996–2008, Bibcode:2003AJ....126.1996M, doi:10.1086/378164.
- ↑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29 日”. 2011년 5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