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폰독수리아과
![]() | ||
---|---|---|
![]() 주름민목독수리(왼쪽)와 흰등독수리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조강 | |
목: | 수리목 | |
과: | 수리과 | |
아과: | 그리폰독수리아과 (Gypinae) | |
속 | ||
|
그리폰독수리아과(Gypinae)는 수리과에 속하는 맹금류 아과이다. 독수리아과(Aegypiinae)로 불리기도 한다. 구세계독수리에 속하는 2개의 아과 중 하나로 나머지 아과는 수염수리아과이다.
특징
[편집]구세계독수리는 아주 큰 새로 몸 크기가 최대 1m, 날개 길이가 최대 2.9m에 이른다. 다수 종의 전형적인 특징은 털이 없거나 짧은 털이 있는 돌출된 목의 주름이다.
분포
[편집]남유럽과 아프리카 및 아시아에서 발견된다.
생태
[편집]구세계독수리는 주로 청소동물이다. 높은 곳에서 날면서 사체를 찾거나 먼저 발견한 독수리를 주시한다.
하위 속
[편집]- 붉은머리독수리속 (Sarcogyps) - 유일종 붉은머리독수리 (S. calvus)
- 흰머리독수리속 (Trigonoceps) - 유일종 흰머리독수리 (T. occipitalis)
- 독수리속 (Aegypius) - 유일종 독수리 (A. monachus)
- 주름민목독수리속 (Torgos) - 유일종 주름민목독수리 (T. tracheliotos)
- 두건민목독수리속 (Necrosyrtes) - 유일종 두건민목독수리 (N. monachus)
- 고산대머리수리속 (Gyps) - 8종
계통 분류
[편집]2021년 카타나흐(Catanach) 등과 생스터(Sangster) 등의 연구에 기초한 수리과 계통 분류이다.[1]
수리과 |
| |||||||||||||||||||||||||||||||||||||||||||||||||||
2021년 카타나흐(Catanach) 등과 생스터(Sangste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그리폰독수리아과 계통 분류이다.[1]
그리폰독수리아과 |
| ||||||||||||||||||||||||||||||
각주
[편집]- ↑ 가 나 Amaral et al. (2006, 2009), Arshad (2009), Barrowclough et al. (2014), Breman et al. (2013), Bunce et al. (2005), Catanach et al. (2021), Gamauf and Haring (2004), Griffiths et al. (2007), Haring et al. (2007b), Helbig et al. (2005), Knapp et al. (2019), Kocum (2006), Kruckenhauser et al. (2004), Lerner and Mindell (2005), Lerner et al. (2008, 2017), Nagy and T¨ok¨olyi (2014), Oatley et al. (2015), Ong et al. (2011), Riesing et al. (2003), Sangster et al. (2021), Wink and Sauer-G¨urth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