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거투코투코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호저아목 |
과: | 투코투코과 |
속: | 투코투코속 |
종: | 군거투코투코 (C. sociabilis) |
학명 | |
Ctenomys sociabilis | |
Pearson & Christie, 1985 | |
보전상태 | |
|
군거투코투코(Ctenomys sociabilis)는 투코투코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아르헨티나의 토착종이다. 자연 서식지는 아열대 또는 열대 기후 지역의 건조 저지대 초원이다.
분포
[편집]군거투코투코는 해발 약 1000m의 중습 목초지 지역에서 발견된다. 분포 면적은 약 700 km2으로 작고, 동쪽으로 리오 리마이 지역부터 북쪽으로 리오 트라풀 지역, 남쪽으로 라고 나우엘 우아피 지역까지이다.[3]
습성
[편집]군거투코투코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무리 생활을 하는 특징이다. 성체 투코투코는 굴을 공유하고, 암컷은 자신이 태어난 장소에 머무르며 공동 육아를 하는 경향이 있다. 높은 사회성을 갖고 있지만, 유전적 다양성을 훨씬 적은 것처럼 보인다.[3]
각주
[편집]- ↑ “Ctenomys sociabil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3.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14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Woods, C. A. and C. W. Kilpatrick. 2005. "Infraorder Hystricognathi." In: Wilson, D. E. and D. M. Reeder. Mammal Species of the World (3rd e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 1538-1600.
- ↑ 가 나 Hadly, E. A., M. Van Tuinen, Y. Chan, and K. Keiman. 2003. Ancient DNA evidence of prolonged population persistence with negligible genetic diversity in an endemic tuco-tuco (Ctenomys sociabilis). Journal of Mammalogy. 84 (2): 403-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