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보수주의 정당 목록
보수주의 |
---|
![]() |
이 문서는 세계의 국민보수주의 정당들의 목록이다. 강경 보수, 우파 포퓰리즘 정당의 사례도 많지만 중도우파 정당도 드물게 존재한다.
지역별 국민보수주의 정당
[편집]아시아
[편집]유럽
[편집]북아메리카
[편집]오세아니아
[편집]기타
[편집]- 지역정당은 따로 표기
- 타이완은 중화민국으로 표기
- 대륙별로 분류, 대륙 내 국민보수주의 정당이 존재하는 국가의 순서는 가나다 순으로 분류하되 정당은 그 나라의 인기, 의석수로 분류
각주
[편집]- ↑ Berger, Mark (2014). 《Rethinking the Third World》. Macmillan. 98쪽.
- ↑ Wolfram Nordsieck.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Parties-and-elections.eu.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 Wolfram Nordsieck.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Parties-and-elections.eu. 2016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 O'Reilly, Gerry (2019). 《Aligning Geopolitics, Humanitarian Action and Geography in Times of Conflict》. Springer. 47쪽.
- ↑ Bonikowska, Monika (2014). “India After The Elections”. 《Centre for International Relations》 (6): 2. 2017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Ganesan (2015). 《Bilateral Legacies in East and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67쪽.
- ↑ “'Tsai wants to continue her balancing act'”. 《International Politics and Society Journal》. 2020년 1월 13일.
- ↑ Simon Franzmann (2015). 〈The Failed Struggle for Office Instead of Votes〉. Gabriele D'Ottavio; Thomas Saalfeld. 《Germany After the 2013 Elections: Breaking the Mould of Post-Unification Politics?》. Ashgate. 166–167쪽. ISBN 978-1-4724-4439-4.
- ↑ “Is 'National Conservatism' the New Ideology of the Russian People? / Diena”. 《Diena.lv》. 2018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Wolfram Nordsieck.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Parties-and-elections.eu.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 ↑ Vít Hloušek; Lubomír Kopecek (2010). 《Origin, Ideology and Transformation of Political Parties: East-Central and Western Europe Compared》. Routledge. 196쪽. ISBN 978-1-317-08503-4.
- ↑ Herszenhorn, David M. (2011년 1월 27일). “Senate Tea Party Caucus Holds First Meeting”. 《New York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