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보 메타데이터
교육정보 메타데이터[1](Korea Educational Metadata 또는 Korea Education Metadata[2]; KEM, 한국형 교육 메타데이터)교육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개발한 대한민국 메타데이터 규격이다. 흔히 약어 KEM을 켐이라고 읽는다.[3]
개요
[편집]KERIS는 메타데이터로 표현하기 위한 규격(제목, 설명, 저자, 교육적 활용방법, 파일관련 정보, 분류 정보 등과 같은 요소 및 이들 요소에 기록할 값의 자료형)을 정의하였고, 수요자에게 일관성 있는 설명과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메타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메타데이터 표준화). 2004년 12월에 초∙중등 교육정보 메타데이터 국가표준(KS X 7001)으로 제정되었다.
구성
[편집]구분 | 설명 |
---|---|
<general> | 자원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는 일반적 정보 |
<life cycle> | 자원의 이력, 현재의 상태, 발전에 영향을 끼친 사람 등과 관련한 정보 |
<metaMetadata> | 메타데이터 기록 자체에 대한 정보 |
<technical> | 자원의 기술적인 필요조건들과 특징들에 관한 정보 |
<educational> | 자원이 갖고 있는 교육적 특징과 교수방법상의 특징들에 대한 정보 |
<rights> | 자원과 관련한 지적소유권 및 사용권에 대한 정보 |
<relation> | 사용하고 있는 자원과 다른 목표 자원과의 관계를 정의하고 있는 정보 |
<annotation> | 자원의 교육적 사용에 대한 주석과 언제, 누가 주석을 달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 |
<classification> | 자원이 특별한 분류 시스템(Classification System) 안에서 어디에 위치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포함 |
각주
[편집]- ↑ 교육정보 메타데이터(KEM) 지침해설서《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5-07-12
- ↑ (영어) 한국형 교육 메타데이터(KEM) 3.0판의 개요 및 기대효과 보관됨 2016-03-04 - 웨이백 머신
- ↑ 교육정보 메타데이터 `켐` 글로벌 e러닝표준 노린다《디지털타임스》2005년 1월 19일자
같이 보기
[편집]- 학습객체 메타데이터(LOM)
- 한국교육학술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