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지암 남양신경정신병원
국가 | 대한민국 |
---|---|
주소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대리 114 |
좌표 | 북위 37° 21′ 44.9″ 동경 127° 20′ 08.8″ / 북위 37.362472° 동경 127.335778° |
개원 | 1992년 12월 9일 |
폐원 | 1996년 7월 |
![]() |
곤지암 남양신경정신병원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대길 114에 위치했던 정신병원이다. 1996년 7월 폐업하였으며 이 건물은 CNN에서 '세계에서 소름 돋는 7개의 장소'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
1992년 12월, 곤지암 남양신경정신병원이 개원했고 3년 후 1996년 7월에 폐원했다. 2018년 5월 28일 병원 건물이 들어선 대표 필지 외 3개 필지 6만9000여m2에 대한 매매 계약이 이뤄져 철거되었다.[2][3] 또한, 이곳에 떠도는 괴담과 미스터리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에서 제작한 영화 《곤지암》이 2018년에 개봉하였다. 현재는 철거되었다.
논란
[편집]불법 침입 문제
[편집]CNN이 '세계에서 소름돋는 7곳의 장소'로 선정한 이후 공포체험을 하려는 사람이 많아져 이로 인해 지역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4] 특히 여름 피서철에 사람들이 찾고, 그 뒷정리를 하지 않거나 소음 문제로 주민들이 경찰에 신고하거나 국민신문고에 민원을 제기하기도 했으며, '무단 침입은 주거침입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는 경고문에도 불구하고 무단으로 침입하는 행위가 발생하고 있다.[5] 이를 모티브로 한 영화가 2018년에 개봉하였고, 건물 소유주는 영화 제작사 등을 상대로 허위사실 유포, 건조물 무단 침입을 이유로 형사소송을 고려하고 있다.[6]
허위 사실 유포
[편집]지속적으로 '입원한 환자들이 죽어나가 병원이 폐쇄되었다.'거나 '병원 원장은 자살했다.', '건물주는 행방불명 상태이다.'와 같은 허위사실이 유포되고 있다.[7] 그러나 곤지암 남양신경정신병원의 원장은 다른 병원에서 일하고 있으며, 원장의 자녀들이 병원을 물려받았으나 하수처리 시설 설치 비용으로 인해 건물주와 원장의 갈등과 경영난으로 인하여 폐업하고 건물주는 미국으로 이민을 갔으며, 환자들은 용인정신병원으로 전원되었다.[8] 건물이 철거되지 않은 이유는 30억 가량의 양도소득세 때문이다.[7]
대중문화
[편집]각주
[편집]- ↑ “7 of the freakiest places on the planet”. CNN Travel. 2016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김민욱 (2018년 6월 3일). “곤지암 정신병원 '철거'…"공포 테마파크 개발은 아니야"”. 중앙일보. 2018년 6월 3일에 확인함.
- ↑ 이윤희 (2018년 5월 28일). “'공포영화 모티브' 괴담 낳았던 곤지암 N정신병원 건물, 철거 시작”. 경인일보. 2018년 6월 3일에 확인함.
- ↑ 박예슬 (2018년 2월 21일). “'곤지암' 개봉 박두…"지역 주민 피해 이만저만 아냐" VS "'곡성'처럼 좋아질 것"”. 동아일보. 2018년 5월 5일에 확인함.
- ↑ 유준호 (2016년 8월 11일). “공포체험족 몰리는 곤지암정신병원 터 마을 가보니”. 매일경제. 2018년 5월 5일에 확인함.
- ↑ 김수경·조유미·전정원 (2018년 2월 22일). “문 닫은 병원이 영화사·CNN에 소송하는 까닭은”. 조선일보. 2018년 5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문해인 (2014년 2월 25일). “'3대 흉가' 곤지암 정신병원? 루머는 거짓… 방문 강력제재”. 머니투데이. 2018년 5월 5일에 확인함.
- ↑ 정락인 (2018년 4월 27일). “귀신 나온다는 ‘한국 3대 흉가’는 조작됐다”. 시사저널. 2018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