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림잡전 《계림잡전》(鷄林雜傳)은 신라의 학자 김대문(金大問)이 성덕왕 때에 펴낸 책이다. 신라·백제·고구려의 설화(說話)를 모은 설화집이다. 역시 그가 지은 《고승전》, 《화랑세기》, 《한산기》, 《악본》이라는 책과 함께 고려의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지을 때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고 한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같이 보기[편집] 김대문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te신라주요 인물 박혁거세 성한 김알지 석우로 박제상 이차돈 이사부 사다함 김거칠부 비담 김유신 김인문 강수 원광 원효 장보고 최치원 신라 초기 신라의 건국 신화 원삼국 시대 진한 진 진한 6부 사벌국 거도 우시산국 거칠산국 내물왕 금관가야 종발성 공격 신라의 성장지증왕·법흥왕 우산국 정벌 포항 냉수리 신라비 이차돈의 순교 불교 공인 상대등 설치 경주 흥륜사지 진흥왕 나제동맹 결성 관산성 전투 북한산비 창녕비 황초령비 마운령비 대가야 정복 사다함 이사부 단양 신라 적성비 선덕여왕 분황사 첨성대 황룡사 9층 목탑 대야성 전투 비담의 난 신라의 삼국통일백제의 멸망 태종 무열왕 김유신 당 고종 소정방 의자왕 계백 의직 성충 흥수 황산벌 전투 백강 전투 웅진도독부 백제 부흥운동 고구려의 멸망 고구려 부흥운동 안동도호부 보덕국 나당 전쟁 문무왕 김유신 김원술 검모잠 고연무 안승 설인귀 계림대도독부 백빙산 전투 호로하 전투 천성 전투 매소성 전투 기벌포 전투 남북국 시대행정 구역 9주 5소경 군사 제도 중앙군 9서당 지방군 6정 10정 토지 제도 녹읍 관료전 정전제 민정문서 무역항 청해진 당성진 혈구진 대외 관계 발해 발해의 교통로 당 신라방 신라소 신라원 일본 신라정토계획 반란 왕위계승전쟁 김흠돌의 난 김헌창의 난 장보고의 난 원종·애노의 난 적고적의 난 후삼국 시대주요 인물 신라 경순왕 마의태자 후백제 견훤 신검 후고구려 궁예 궁예도성 왕건 주요 전투 공산 전투 고창 전투 일리천 전투 황산 전투 정치 제도역대 국왕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중앙 관제 골품 제도 신라의 관등 시중 화백 화랑도 신라장적 상수리 제도 촌주 호족 신라의 관등vte신라의 관등 (태대각간) (대각간) 이벌찬(각간) 이척찬 잡찬 파진찬 대아찬 아찬 일길찬 사찬 급벌찬 대나마 나마 대사 사지 길사 대오 소오 조위 대외 관계 고구려 백제 왜 당 문화언어와 문자 이두 향찰 한자 불교 자장 원측 원효 불국사 석굴암 부석사 통도사 해인사 희방사 팔관회 연등회 유교 독서삼품과 임신서기석 국학 음악 음성서 신라악 향가 우륵의 12곡 백결 선생 문학 설총 화왕계 최치원 격황소서 최승우 최광유 신라의 인장 당대 문헌 징심록 계원필경 계림잡전 고승전 국사 신라고기 악본 한산기 삼대목 제왕연대력 화랑세기 수이전 신라국기 왕오천축국전 범망경 기타드라마와 영화 대왕의 꿈 삼국시대 영웅전 서동요 선덕여왕 해신 화랑 신라의 달밤 후대 신라 역사서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국사략 삼국사절요 동국통감 고려사 한국의 역사 이 글은 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