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민운동장
전체 명칭 | 경산시민운동장 |
---|---|
원어 명칭 | Gyeongsan Civic Stadium |
이전 명칭 | 경산육상경기장 |
위치 |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남매로 100 (상방동 10번지) |
좌표 | 북위 35° 49′ 13″ 동경 128° 44′ 43″ / 북위 35.820278° 동경 128.745295° |
기공 | 2007년 1월[1] |
건설 기간 | 2년 2개월 |
개장 | 2009년 3월 6일[2][3][4] |
소유 | 경산시청[2] |
운영 | 경산시청 복지문화국 체육진흥과[2][3] |
건설 비용 | 950억 원[2] |
표면 | 천연잔디 (필드), 우레탄 (트랙) |
규모 | 필드: 109 × 75 m 트랙: 400 m × 8 레인 |
좌석 | 7,034석[2][3] |
수용 인원 | 7,034명[2][3] |
![]() |
경산시민운동장(慶山市民運動場, Gyeongsan Civic Stadium)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에 있는 스포츠 시설이다. 천연잔디 필드와 우레탄 트랙이 갖춰진 경기장이며, 2009년 3월에 준공되었다. '경산육상경기장'이라는 이름으로 개장되었고, 2015년 1월 1일에 '경산시민운동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4][5]
각주
[편집]- ↑ 심한식 (2007년 2월 6일). “2009년 도민체전 준비 ‘이상무’”. 경북매일.
- ↑ 가 나 다 라 마 바 《2023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22년 12월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4.
- ↑ 가 나 다 라 “경산시민운동장”. 경산시청. 2022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경산시민운동장〉.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4일에 확인함.
- ↑ 김윤섭 (2015년 1월 2일). “경산 육상경기장→시민운동장으로”. 경북일보.
참고 문헌
[편집]- “경산시민운동장”. 경산시청. 2022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4일에 확인함.
- 〈경산시민운동장〉.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4일에 확인함.
- 《2021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2020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2.
- 《2023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22년 12월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4.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 경산시청 - 경산시민운동장 보관됨 2022-07-24 - 웨이백 머신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경산시민운동장 보관됨 2022-07-24 - 웨이백 머신
- 디지털경산문화대전 - 경산시민운동장
- 네이버 지식백과 - 경산시민운동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