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교통방송
![]() | |
방송국 | TBN 교통방송 |
---|---|
방송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창원천로94번길 82-4 |
주파수 | FM 95.5MHz |
개국일 | 2013년 8월 26일 |
방송언어 | 한국어 |
외부 링크 | 경남교통방송 |
경남교통방송은 TBN 교통방송 계열의 방송국 중의 하나이며, 한국도로교통공단의 관할에 있다. 2013년 8월 26일에 개국하였다. 사옥은 창원컨벤션센터(CECO) 맞은편의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창원천로94번길 82-4에 위치하고 있으며, 2013년 12월 13일 완공하였으며, 2016년 8월 1일 송신소를 천주산으로부터 불모산으로 이전한 이후 경상남도 전역에서 방송을 청취 할 수 있게 되었고, 2018년 1월 1일 창원교통방송에서 경남교통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방송 송출 현황
[편집]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방송구역 |
---|---|---|---|---|---|
불모산 송신소 | FM 95.5㎒ | 1㎾ | HLEE-FM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 창원시 일원, 함양군 일부, 산청군 일부, 창녕군 일부, 합천군 일부, 의령군 일부, 고성군 일부, 거제시 일부, 김해시 일부, 밀양시 일부, 양산시 일부, 통영시 일부, 함안군 일부, 부산광역시 일부 |
장군대산 중계소 | FM 100.1㎒ | 경남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 325-5 | 진주시 일원, 사천시 일부, 하동군 일부, 남해군 일부, 거창군 일부, 산청군 일부, 의령군 일부, 고성군 일부, 함양군 일부, 창녕군 일부, 합천군 일부 | ||
감악산 중계소 | FM 107.3㎒[1] | 경남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 산12-1 | 거창군 일원, 진주시 일부, 사천시 일부, 하동군 일부, 남해군 일부, 의령군 일부, 고성군 일부, 함양군 일부, 산청군 일부, 창녕군 일부, 합천군 일부 |
라디오 시보 멘트
[편집]- 창원 95.5 진주 100.1, 거창 107.3MHz TBN 경남교통방송입니다. HLEE
박지혜
[편집]- 김혜란
- 김지윤
- 강민규
- 박은현
- 송규원
- 이규래
- 이설희
- 임현정
- 장리나
- 정나미
- 황규인
- 정지원
- 김수민
경남교통방송 편성표
[편집]- 07:00 (평일) 출발! 경남대행진
- 09:00 (평일) 스튜디오 955
- 12:00 (주말) TBN 차차차 (경남주말)
- 14:05 (평일) TBN 차차차 (경남)
- 14:00 (주말) 추억스케치 2시
- 16:05 (평일) TBN 경남매거진
- 17:32 (평일) 사람과 경남
- 16:00 (주말) 오후N 티비N
- 18:00 (평일) 달리는 라디오 (경남)
앱 청취 방법
[편집]- 스마트 폰 앱 tbn한국교통방송(http://www.tbn.or.kr/) 어플 통tong을 내려받아 방송국을 경남으로 설정. tbn한국교통방송 홈페이지에서 방송국을 경남으로 설정.
- 방송 참여 문자번호: #9550, 짧은 거 50원, 사진 포함 긴 거 100원의 정보이용료가 추가로 부과 됨.
개국 준비
[편집]2004년 도로교통공단이 두대동 일대 3305㎡의 사옥 부지를 매입하는 것을 시작으로 교통방송 설립이 추진되기 시작하였다.[2] 당초 2006년 개국을 목표로 2005년 4월에 설립 허가 신청을 내고 이주영 당시 경상남도 정무부지사가 정보통신부를 방문하는 등 노력을 벌여왔으나, 주파수 포화 문제가 대두되어 제한적 주파수 배정정책이 시행되면서 한동안 추진되지 못하였다.[3]
이후 통합 창원시의 출범을 전후로 지역구 이주영 국회의원을 비롯하여 경상남도 중부 광역권에 대한 교통방송 설립에 대한 의견이 다시금 제기되었고[4], 2011년 9월 6일에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회에서 창원교통방송에 대한 조건부 허가 및 주파수 배정이 의결되었으며, 주파수 배정은 FM 95.5 MHz 대역을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5] 허가 조건은 '세부 예산 확보계획을 수립해 예산 관계기관과 협의 후 그 결과를 보고'하는 것으로, 2013년 개국까지 창원시는 교통방송 개국을 위한 정부 예산 확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개국 원년인 2013년 새해에는 93억원의 건립 예산을 확보하여 연내 개국이 가시화되었다.[6]
2012년 11월에 연주소가 착공되었으며, 2013년 12월 13일 완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7] 이와는 별개로 창원교통방송은 임시 스튜디오를 마련하여 2013년 8월 26일에 개국하였으며, 사옥 완공 시기까지 이 임시스튜디오를 활용하게 된다.[8] 송신소는 2010년 2월 1일에 방송을 개시한 BBS 부산불교방송의 창원중계소 철탑에 창원교통방송의 송신기기가 추가 설치되는 형태로 협조하여 활용하기로 하였다. (2016년 8월 1일에 창원 불모산 송신소로 이전하였다.)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각주
[편집]- ↑ EBS FM 제주도 견월악 동일한 주파수가 이상하다.
- ↑ 창원교통방송 8년 만에 설립 허가, 《경남도민일보》 2011년 9월 8일
- ↑ 창원교통방송 설립 추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경남신문》 2005년 6월 25일
- ↑ 이주영 의원 "교통방송 경남 푸대접" 비난, 《뉴시스》 2009년 12월 28일
- ↑ 경남ㆍ창원 교통전문 방송 탄생, 《경남매일》 2011년 9월 8일
- ↑ 창원시, 올해 국고예산 8032억 원 확보 보관됨 2016-03-07 - 웨이백 머신, 《뉴스웨이브》 2013년 1월 4일
- ↑ “도로교통공단 - 《본부 건설단》창원교통방송국 신축공사 현황”.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2일에 확인함.
- ↑ 도로교통공단 - 《TBN부산교통방송》 본부장과 방송기술국 직원의 의견청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