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론적 유한 상태 기계 3의 배수인 이진수만을 받아들이는 결정적 유한 오토마타의 한 예이다. 계산이론의 한 분야인 이론 전산학에서 결정론적 유한 상태 기계(Deterministic finite automaton, DFA)는 각각의 입력 문자열 안의 각 심볼에 대하여 유일한 상태변화를 취하는 유한 상태 기계이다.[1] 이 용어에서 결정적이란 계산의 유일함을 뜻한다. [2][3] 같이 보기[편집] 튜링 기계 각주[편집] ↑ Hopcroft 2001: ↑ McCulloch and Pitts (1943): ↑ Rabin and Scott (1959): vte오토마타 이론: 형식 언어 및 형식 문법 촘스키 위계0유형(없음)1유형2유형3유형 형식 문법무제약 문법재귀 문법문맥 의존 문법문맥 자유 문법정규 문법 형식 언어재귀 열거 언어재귀 언어문맥 의존 언어문맥 자유 언어정규 언어 오토마타튜링 기계판정자선형유한 오토마타내리누름 오토마타유한 상태 기계 각 언어 및 문법은 바로 윗줄의 진부분집합이다. 또한 각 기계와 문법은 바로 윗줄의 기계와 문법으로 동등하게 기술될 수 있다. 이 글은 공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